[단통법 폐지, 뭐가 궁금?②] 공짜폰·마이너스폰 '성지'는 어떻게 찾나요? 작성일 07-20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단통법 폐지 영향, 소비자 유형별 Q&A</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eVwsr1mt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f841c80324a9b17ba0fc0bd33845c4e023c17521c0a014252a515dc7048ec59" dmcf-pid="WdfrOmts5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I 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0/dailian/20250720050242107epxb.png" data-org-width="700" dmcf-mid="HCE8gLlo5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0/dailian/20250720050242107epxb.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I 이미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f45094113673ee52b3ebaa9daeb46d6e1ed60a34467b07fca7a6eba782eb822" dmcf-pid="YJ4mIsFOYz" dmcf-ptype="general">22일부터 단말기유통법(단통법)이 폐지됩니다. 2014년 도입 이후 10년 넘게 유지됐던 제도인지라 '단통법 없는 세상'을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소비자 유형별로 궁금할 만한 항목을 뽑아 답해드립니다.</p> <p contents-hash="b88e7c60a76b7f1aa0617801b2f42faf749417e10f43948e8abc1555355dfd60" dmcf-pid="Gi8sCO3IZ7" dmcf-ptype="general"><strong>공짜폰·마이너스폰 '성지'는 어떻게 찾나요?</strong></p> <p contents-hash="85d4b3f9daf8a442f9a58cb25858ba86a72b02f244f23c869d249076c1d38bff" dmcf-pid="Hn6OhI0CZu" dmcf-ptype="general">단통법이 폐지되면서 공짜폰, 심지어 페이백까지 얹어 받을 수 있는 마이너스폰을 판매한다는 이른바 ‘성지(聖地)’의 위치가 궁금하신 분이 많을 거 같습니다. 죄송하지만 성지는 직접 찾아야 합니다. 찾아서 알려드리기 귀찮아서가 아니라, 제가 알려드리면 그곳은 더 이상 성지가 아닌 곳이 되기 때문입니다.</p> <p contents-hash="52b45637f65b8d2258a50b724ae84f070df6ffe2e015932493fbd902fb45e07b" dmcf-pid="XLPIlCphZU" dmcf-ptype="general">휴대폰 판매자는 개인사업자입니다. 고객을 특정 통신사에 가입시키는 대가로 일정한 수수료와 리베이트를 받습니다. 추가지원금은 이 개인사업자들이 자신에게 떨어지는 몫 일부를 포기하고 고객에게 미끼로 던지는 겁니다. 추가지원금을 많이 줄수록 자신의 몫이 줄어드는데 아무에게나 막 퍼줄 리 없습니다.</p> <p contents-hash="5790915f39f65ef3385a4ba2adeab9d106311156699458113550592d6432b851" dmcf-pid="ZoQCShUl1p" dmcf-ptype="general">여기저기 발품을 팔며 가입 조건을 까다롭게 따지는 고객이라면 휴대폰 판매자도 본인의 몫을 최소화하더라도 공짜폰이든 마이너스폰이든 내주겠지만, 까다롭지 않은 고객에게는 상대적으로 적은 지원금을 제시하는 게 인지상정입니다. 쉽게 낚이는 물고기한테 미끼를 많이 쓸 이유는 없죠.</p> <p contents-hash="0d9509370630b6125eb2a119c5c7a5b4e6a91042092481649e1d87fb29f870fa" dmcf-pid="5gxhvluSZ0" dmcf-ptype="general">즉, 고객 차별은 정부가 모든 판매점에 CCTV를 달아 놓고 감시하지 않는 이상 벌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성지를 찾는다 한들 ‘성은(聖恩)’을 입는다는 보장은 없는 겁니다.</p> <p contents-hash="468e9c170575c1a3ca748ab41d256dbe7ba926d7b966a28b389af3097a955942" dmcf-pid="1xKkwEXDZ3" dmcf-ptype="general">정부는 단통법을 폐지하더라도 특정 채널의 과도한 지원금이나 차별적 판매는 규제한다고 합니다. 단통법이 만들어진 2014년 이전 방식으로 되돌아간다면, 성지는 ‘규제 대상이 되는 행위를 몰래 하는 곳’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런 곳의 위치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다면 계속 같은 방식으로 장사를 하기 힘들겠죠. 그래서 알려드릴 수도 없고, 알려드려 봐야 소용이 없는 겁니다.</p> <p contents-hash="4a1af231f0bd1452b440fdd790197a21f4aef4c8840e067246934090bb629863" dmcf-pid="tM9ErDZwXF" dmcf-ptype="general">▼ 관련기사 보기<br>[단통법 폐지, 뭐가 궁금?①] 아무 대리점이나 가면 호갱 되는건가요?<br>https://www.dailian.co.kr/news/view/1524670<br>[단통법 폐지, 뭐가 궁금?③] 자급제폰·알뜰폰은 여전히 통신비 절감에 유리할까요?<br>https://www.dailian.co.kr/news/view/1524672<br>[단통법 폐지, 뭐가 궁금?④]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을 택하면 추가 혜택이 없나요?<br>https://www.dailian.co.kr/news/view/1524886</p> <p contents-hash="a95dec4f4752b134badafbd1e127df725401ae638b2fff7cf1d5ac35453f64cc" dmcf-pid="FR2Dmw5rtt" dmcf-ptype="general">보통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 성지의 좌표가 찍히기도 하지만, 일단 발품은 팔아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특정 통신사에서 직접 운영하거나 통신사와 계약된 대리점보다는 복수의 통신사를 취급하는 판매점 중에 성지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p> <p contents-hash="ed81650efb90c6e72e3c86a81b945cb69da6795751804e8b880ef19e2d1ad0a0" dmcf-pid="0dfrOmts55" dmcf-ptype="general">강변·신도림 테크노마트와 같이 판매점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을 돌며 서로 조건을 비교해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이런곳들은 단통법 시행 이후 한물 갔다는 소리를 들었지만, 이제 단통법이 사라졌으니 다시 활기를 띨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무래도 근처에 경쟁자들이 즐비해야 “다른 데 돌아보고 올게요” 스킬을 시전하기도 좋겠죠.</p> <p contents-hash="d35d3587829d903da52f3498343d15086d8117226439669c1aa1d31f6558d55e" dmcf-pid="pJ4mIsFOZZ" dmcf-ptype="general">되도록 많은 판매점을 방문해 정보를 축적하는 게 중요합니다. 방금 전 손님에게는 성지였던 판매점도 당신이 아무 정보 없이 방문한다면 호갱을 만들어버릴 수 있습니다.</p> <p contents-hash="fd4774932cc72d48f2c1f4189d2c981807c913f8994e253a1065e9bf491beae2" dmcf-pid="Ui8sCO3I1X" dmcf-ptype="general">계약서 내용도 꼼꼼히 따져야 합니다. 공짜폰이라고 해놓고 고가 요금제를 여러 개월 의무 가입하게 만들어 결국은 추가지원금 이상을 토해내게 하거나, 페이백을 해준다 해놓고 잠수를 타는 사례도 있습니다. 특히 페이백은 계약서상에 명시가 돼야만 합법입니다. 구두 약속은 그 자체로 불법이지만, 이행 의무도 없습니다.</p> <p contents-hash="9318a61c5b39b1e1086209fb42acd8349912714211e264633152d23c224ef314" dmcf-pid="7LPIlCphYG" dmcf-ptype="general">성지는 치열하게 발품을 팔고 꼼꼼하게 따지며 밀당을 하는 자에게만 존재합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백년대계' 과학기술, '성과 검증'을 2년마다…가능한가 07-20 다음 넷플릭스도 응답… BTS '정국 효과', 이제 시작 [김유림의 연예담] 07-2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