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5년까지 추진할 우주탐사 비전과 전략 공개 작성일 07-17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우주청,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 공청회' 개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skAMCphIM"> <p contents-hash="1a43c3a0219abf150c3fcae46c65014c45d3fbe072b8334f83cc9ae26ff31471" dmcf-pid="XOEcRhUlsx"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우주항공청이 17일 한국연구재단 대전청사에서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 공청회를 열고, 오는 2045년까지 추진할 우리나라의 우주탐사 비전과 중장기 전략을 공개했다.</p> <p contents-hash="1cc400ee3125ab12f99ac3c6bf0268e00fdffafe5c9e8fba9155cc0a5135cc59" dmcf-pid="ZIDkeluSwQ" dmcf-ptype="general">이번 로드맵은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과 ’우주과학탐사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수립됐다. ’우주 경제 영토와 인류 지식 확장’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를 중심으로 △태양계·우주의 기원과 진화 탐구 △과학발전 혁신 △달·화성 기지 건설 △우주자원 활용 △신산업 창출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우주탐사의 방향성을 제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8b7458eb62419fde2c19e52ad0ecd6bd275d4626ed1116eea205b20acc6f1c3" dmcf-pid="5CwEdS7vm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공청횡; 참석한 전문가들이 로드맵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사진=우주항공청)"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daily/20250717174905215fktz.jpg" data-org-width="670" dmcf-mid="GOANQO3II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daily/20250717174905215fkt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공청횡; 참석한 전문가들이 로드맵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사진=우주항공청)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8473d77298f88ed9bdbbfd4dabb08ce73b4e0d73417994628315565599660958" dmcf-pid="1hrDJvzTI6" dmcf-ptype="general"> 우주청은 탐사 영역을 지구·달, 태양권, 심우주로 구분하고 △저궤도·미세중력 탐사 △달 탐사 △태양 및 우주과학 탐사 △행성계 탐사 △천체물리 탐사의 5개 주요 프로그램으로 나눠 각각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임무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공학적 임무를 제시하고 있다. </div> <p contents-hash="1db1f6e2dd7a34f11a3727c62385bf85c566786b1abd37a43b98b7eab00b0377" dmcf-pid="tR8f0JIiE8" dmcf-ptype="general">특히, 달 탐사 분야에서 독자적인 달 도달·이동 기술 개발, 자원 활용, 경제기지 인프라 구축을 통해 달을 과학 연구 대상을 넘어 우주 경제 생태계의 기반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태양·우주과학 분야에서는 태양권 관측 탐사선 개발을 통해 태양에 대한 이해와 우주탐사 안전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e26ed8fe96e172ba1d025ea47e3dc1d96d5c5d628b060037e216ba5cc21b4e16" dmcf-pid="Fe64piCnD4" dmcf-ptype="general">행성계 탐사에서는 우리나라 강점 분야를 활용한 심우주 탐사 전략기술 확보를 강조했다. 이 밖에 관측장비 고도화를 통한 천체물리 탐사, 우주의학·우주농업 등 저궤도에서의 미래 신산업 실증 방안도 함께 논의했다.</p> <p contents-hash="7578cdee6ed504dc4fb15018a05a36c1af3335bcb9be7357d776f239e7af3961" dmcf-pid="3dP8UnhLwf" dmcf-ptype="general">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이번 로드맵이 대한민국이 글로벌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적 기반이 되도록 공청회에서 수렴한 의견을 반영해 수정·보완하고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 심의를 거쳐 올해 안에 최종 로드맵을 확정·발표할 예정”이라며 “국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민간 중심 우주 생태계 조성과 지속 가능한 탐사체계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017d27e06f07e58c71ad5fa34127b22fb2ed4f11ffb42e3796274328ae9c91ca" dmcf-pid="0JQ6uLlorV"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당구, 스포츠를 넘어 무대로… 2025 남원 전국당구선수권대회 성료 07-17 다음 '냉부해' 이어 '한끼합쇼', 5년 공백 싹 날렸다 07-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