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님, MBTI가 뭐예요?" 취임사는 PPT로, 훈화 대신 직원들과 격의없는 타운홀 미팅(종합) 작성일 07-17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기업인 출신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의 이색 취임식 현장 <br>프레젠테이션으로 취임식…직후 직원들과 질의응답으로 소통<br>‘온라인 회의’ 정례화 예고…적극적 AI활용 독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4CtrpMUt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538b44ad40240e597924a87a521ba4ef834794fa66f418f360c9bdd3222049e" dmcf-pid="3rBeUnhLX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마친 뒤 가진 직원과의 대화에서 인사하고 있다. 2024.07.17. ppkjm@newsi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newsis/20250717170643551iqvt.jpg" data-org-width="720" dmcf-mid="5DdwQO3IY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newsis/20250717170643551iqv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마친 뒤 가진 직원과의 대화에서 인사하고 있다. 2024.07.17. ppkjm@newsis.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596040fbee5886948db1cf86cf477b2499fa46f02bff24cc0ea3368b484ec66" dmcf-pid="0mbduLlo5L"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 심지혜 박은비 기자 = "제 MBTI는 ENTJ 입니다."</p> <p contents-hash="b9df267ef594d4f34d42942edf5e3ac2ae659a627c06ca477d015031efe327b8" dmcf-pid="psKJ7oSg5n" dmcf-ptype="general">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취임했다. 정장에 구두를 갖춰 입고 단상에 올랐지만 그의 소통 방식은 기존 장관들과는 확실히 달랐다. </p> <p contents-hash="7d41cd02ddd72856d606193508509b8ddfdc934d26e2f4de9dcbfb738bbe8c83" dmcf-pid="UO9izgvati" dmcf-ptype="general">으레 단상에 올라 취임사를 낭독하는 대신 PPT 파일을 띄워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했다. 이후 자리를 떠나지 않고 직원들과 타운홀 미팅을 이어갔다. 이날 타운홀 미팅은 배 장관이 직접 제안했다고 한다. 소통이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직원들은 자유롭게 손을 들고 배 장관에게 질문을 이어갔다. </p> <p contents-hash="1399ecb52f6e2611e6df0653d4642e76345a6b0a38ce3642a8b1755ddf19f973" dmcf-pid="uE7x3dOJZJ" dmcf-ptype="general">30여 분간 이어진 자유로운 질의응답에서는 그의 조직 운영 철학부터 인공지능(AI) 활용법, 이공계 인재 정책, 장관의 성격과 취미까지 다양한 질문이 쏟아졌다. 배 장관은 고개를 끄덕이며 하나하나 답했고 때로는 경험담을 섞어 설명했다. 중간중간에는 직원들의 박수와 환호, 웃음이 자연스럽게 터져 나왔다.</p> <h3 contents-hash="853f294f8d42535504b2778577d8dc5320be6f913f89743a42a0de85e3eef8d3" dmcf-pid="7wqRpiCnZd" dmcf-ptype="h3"> 기업인 출신 최연소 과기정통부 장관…확 달라진 취임식 풍경</h3> <div contents-hash="daa9a64df03713601c2b3fdcac3bca4abf7b54a4cbbd250a195e34f149e7f9eb" dmcf-pid="zrBeUnhLYe" dmcf-ptype="general"> 1976년생인 배 장관은 역대 과기정통부 장관 가운데 가장 젊은 나이에 취임했다. 그는 LG AI연구원의 창립 멤버이자 초대 원장으로 설립 과정 전반을 실질적으로 이끌었던 인물이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공무원 조직과의 문화 차이에 대한 관심도 모였다. </div> <p contents-hash="251dc7965ff0387df1c458444f0a358324d3f8ca4aeb6a7652c9685eed2267f3" dmcf-pid="qmbduLloYR" dmcf-ptype="general">이 날 마침 민간 기업과 정부 조직의 차이에 대해 묻는 공무원의 질문이 먼저 나왔다. 그는 “생각보다 큰 차이는 느끼지 못했다”며 "과기정통부 구성원 모두가 헌신적으로 나라 발전을 위해 높은 로열티를 갖고 일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치켜세웠다.</p> <p contents-hash="f531eab88be76881b928409336c0c7260ac29c3d0ce5d63280d9ca0bfe83a234" dmcf-pid="BsKJ7oSgHM" dmcf-ptype="general">그러면서도 “청문회 TF를 광화문에서 준비를 했는데, (직원들이)세종에서 서울까지 이동해 보고하는 걸 보면서 물리적 거리와 시간 낭비에 대한 고민도 들었다”며 “AI와 첨단기술을 담당하는 부처답게, 우리부터 온라인 회의와 원격 근무 문화를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p> <p contents-hash="934af02f2085400172624d95e4528f709629d283c1db4dc7de9aa79d67f7c3e6" dmcf-pid="bO9izgvaGx" dmcf-ptype="general">그는 "공직과 민간 많이 다를 수 있지만 LG AI연구원이란 전담 조직 만들 때 여러 반대도 있었고 부침도 있었다. AI로 세상이 바뀔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고, 기업이 먼저 AI로 변화하지 않으면 기술을 연구하고 도입하더라도 시장을 선점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과감히 추진했다"고 자평했다. </p> <p contents-hash="2d8716ce2142eff53a0dee8574ed08ef8a6ce76576fbff379027e5bf3ec524f2" dmcf-pid="Kj085xwMZQ" dmcf-ptype="general">이러한 경험은 장관으로서의 조직 운영 철학으로도 이어진다. 그는 “공동의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힘을 한군데로 모아야 한다”며 “1차관, 2차관, 혁신본부 간 강한 협업은 물론, 부처 간 이기주의나 사일로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하나의 목표를 향한 전 부처의 집중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정책 추진의 중심 가치로 삼겠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a3f69e3dd6577b070a2bd14f8fccb5eb7b97c3d341804b9c61bb72613e7ea7e" dmcf-pid="9Ap61MrRG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2024.07.17. ppkjm@newsi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newsis/20250717170643765ejik.jpg" data-org-width="720" dmcf-mid="1lzM0JIiG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newsis/20250717170643765eji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2024.07.17. ppkjm@newsis.com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636f8db1fadeae63db2fa607ba0476bd8d60040f123aecf91d2faab527941777" dmcf-pid="2cUPtRmet6" dmcf-ptype="h3"><strong> 생각도, 일도 AI 활용하는 장관…"인사 청문회 예상 질문도 AI에 물었다"</strong></h3> <h3 contents-hash="8364e6915bbe8c716503784eae434ed724e297dcbb0a6821758da6a5a995b455" dmcf-pid="VkuQFesd58" dmcf-ptype="h3"><strong> "소통하는 수평적 문화 만들 것"</strong></h3>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dcf82a5ce906bdb61e04c74c9e3db1ae5d8f6b0fe83f5654ff30f72f09f2edc" dmcf-pid="fE7x3dOJ1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마친 뒤 가진 직원과의 대화에서 밝은 표정을 짓고 있다. 2024.07.17. ppkjm@newsi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newsis/20250717170643922gucp.jpg" data-org-width="720" dmcf-mid="tZeDPsFOX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newsis/20250717170643922guc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마친 뒤 가진 직원과의 대화에서 밝은 표정을 짓고 있다. 2024.07.17. ppkjm@newsis.com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71bf2c64dc2e775897e4d8d53f1369272960ae9ad20b9241b0439246545fd6be" dmcf-pid="4QvpIzJqGf" dmcf-ptype="general"> <strong> AI 전문가로 여겨지는 만큼 배 장관은 'AI를 어떻게 잘 활용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답했다. 배 장관은 "매일 AI를 사용한다"며 "인사청문회 준비 또한 AI에 질문을 하면서 생각을 정리했다"고 답했다. <br><br> 그는 "단순히 질문하고 답하는 수준을 넘어 업무 중 발생한 데이터, 회의 내용 등을 모아 AI와 결합시킨 후 예측 모델을 만들기도 한다"며 "실제 업무 영역에서 AI와 정보를 결합해 활용하면 굉장히 높은 업무 생산성과 혁신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br><br> 이에 과기정통부가 AI 주무부처인 만큼 모든 업무에 AI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독려하기도 했다. <br><br> 배 장관은 "특정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을 거라고 말하고 싶지 않다. 우정사업본부도 물류 전체 시스템의 혁신을 위해 AI를 활용한다면 전체적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br><br> 이어 "우리 부처가 이런 부분에 있어 먼저 변화해야 한다"며 "보안 문제가 있지만, 이 조차도 AI와 연결해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면 굉장히 높은 생산성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br><br> 그러면서 "작은 일부터 활용하면 된다"고 했다. <br><br> 배 장관은 글로벌AI의 흐름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단순히 딥러닝, 생성형AI 단계를 넘어 추론형AI 기반의 '에이전틱AI'로 단계가 진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br><br> 그는 "새로운 에이전틱AI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대통령님께도 말씀 드린 적이 있다"며 "연구개발(R&D) 분야도 에이전틱AI로 혁신해야 한다. '연구소장급AI'를 만들어 연구원이 AI와 소통하고 가설을 세우는 등으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br><br> 이어 "대한민국 인구가 줄고 있는 상황에서 근본적 성장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이런 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제가 생각하는 과기정통부 장관으로서 제 1의 미션"이라고 강조했다. <br><br> 우수 인재 양성 방안에 대한 질문에는 "지속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줘야 한다"며 "높은 연봉을 준다 해도 연구 환경이 잘 갖춰져 있지 않으면 잠시 머무르다 다른 생각을 한다"고 답했다. <br><br> </strong> 질문과 대답이 오갈 수록 분위기는 한층 더 화기애애해졌다. 한 직원은 장관의 MBTI와 입맛에 대해 묻기도 했다. </div> <p contents-hash="8b01e6a4161dea758a465c4c9b260b8edbc859c9a06043345a0a7a751fbffdb4" dmcf-pid="8xTUCqiBXV" dmcf-ptype="general">배 장관은 웃으며 "제 2청문회가 맞네요. ENTJ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스스로를 '목표 지향적인 사람'이라고 설명하며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대로 실행하는 걸 좋아하는 성격"이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79089319948a87506fd14c216816556eec5f9dea4f7dbfed454afdbe5b0f1d09" dmcf-pid="6MyuhBnbG2" dmcf-ptype="general">좋아하는 음식과 술에 대한 질문엔 “남이 차려준 건 다 잘 먹는다”며 “술은 예전엔 좀 마셨지만 이제 체력이 약해져, 요즘은 와인이나 막걸리 정도가 맞더라”고 말해 장내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p> <p contents-hash="806999b0cd43156d05197fb29c7ea60c9867221aeeed3ef105e418a003fc82f6" dmcf-pid="PRW7lbLKG9"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배 장관은 "공직과 민간 사이에 굳이 벽을 세우고 싶지 않다"며 "자유롭게 소통하고 수평적인 문화를 만들어가자"고 당부했다.</p> <p contents-hash="0bbca8e551e60f242bd8d23356d7cf7e2e04c0c05fffe9449bd4ef6dd360eb35" dmcf-pid="QBDYjZf5tK" dmcf-ptype="general">그는 "과거에는 위계 때문에 하고 싶은 말조차 하지 못하던 시절이 있었다. 우리가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선 결국 조직 내에서 얼마나 잘 소통하느냐가 핵심”이라며 “과기정통부는 장·차관과 누구나 자유롭게 면담할 수 있는 부처가 되도록 함께 만들어 가자”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99e38f0797cd8ffcd4eeea2b2035f026dac1c5c3db30e65b10612b9f06e6f06b" dmcf-pid="xbwGA541Xb"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siming@newsis.com, silverline@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적재, ‘♥허송연과 결혼’ 악플러에 일침 “네 인생이나 돌아봐” 07-17 다음 최장혁 개보위 부위원장 "국제무대 통용될 개인정보 법체계 만든다" 07-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