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AI 휴머노이드 등 ‘미래개척융합기술’ 6개 신규과제 착수 작성일 07-17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총 61개 과제 중 경쟁률 10:1… 5년간 최대 54억 원 지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0Y8QzJqIj"> <p contents-hash="b1386c39deaa56086704b1317c30cc90f4f413c8af49f236e65f2fa3b37f3639" dmcf-pid="bPBjkesdIN"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는 ‘2025년 미래개척융합과학기술개발’ 사업의 6개 신규 과제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고 17일 밝혔다.</p> <p contents-hash="8b233f3bf404e4cf55a1916161c69db4e0792e2f8af86cf04bb434bcdd0bb285" dmcf-pid="KQbAEdOJOa" dmcf-ptype="general">해당 사업은 기술 간 융합을 통해 미래 산업 패러다임 전환을 견인할 유망 융합 신기술을 발굴·지원하는 과기정통부 대표 융합연구 프로그램으로,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와 ‘글로벌융합연구지원’으로 구성된다.</p> <p contents-hash="770d47c0b22710c2a8a57495fccf399c3f883ae78121b81e85d8fecee7352095" dmcf-pid="9xKcDJIimg" dmcf-ptype="general">올해는 AI 휴머노이드, 에너지하베스팅 등 4개 주제의 과제제안요청서(RFP)에 총 61개 과제가 접수됐으며, 평균 경쟁률 10:1을 뚫고 최종 6개 과제가 선정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0827b730764be298fa8ef133813fa625efc913209bd852fca45d6c48d13dff0" dmcf-pid="2M9kwiCnm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daily/20250717153507768rrle.jpg" data-org-width="315" dmcf-mid="qn9kwiCnr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daily/20250717153507768rrle.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737162c262ac3ffb8ca9fc4ce88e69dfa8b53d6c7ca374b80a010348e2a2f35b" dmcf-pid="VR2ErnhLOL" dmcf-ptype="general"> <strong>경쟁형 R&D로 4개 과제 선정</strong> </div> <p contents-hash="fb7dc202224a89a303ae38627496159d375615653dd0f26651ea5161e0f85a1f" dmcf-pid="feVDmLlomn" dmcf-ptype="general">‘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는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융합기술을 발굴하기 위한 경쟁형 지원사업으로, 1단계(2년, 연 6억 원), 성과 우수 과제에 한해 2단계(3년, 연 12억 원)를 추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과제당 최대 5년, 총 45억 원이 지원된다.</p> <p contents-hash="a168e1fd1fa379fdeff191e759b45edda11637f16c2f59aa4b0c215f10bce0c9" dmcf-pid="4dfwsoSgwi" dmcf-ptype="general">AI 휴머노이드 분야에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성욱 팀과 동국대 임수철 교수팀이 선정됐다.</p> <p contents-hash="350f6cabc6c13db6014ed559b2e0eb8651a9cc46798d16f8dec1e485dc4adb8e" dmcf-pid="8J4rOgvamJ" dmcf-ptype="general">양 팀은 소량 데이터 학습만으로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 가능한 다지 핸드 조작 AI 기술 개발을 목표로 경쟁에 나선다.</p> <p contents-hash="abc47018785a46ec61207c8b4dcd25075e4f59281af9ec6751954f0a87fdcc69" dmcf-pid="6i8mIaTNEd" dmcf-ptype="general">에너지하베스팅 분야에서는 가천대 김대건 교수팀과 성균관대 백정민 교수팀이 선정됐다.</p> <p contents-hash="f24a3b55eca368da4b899283b6fd27f3daad40816afe97a9341a5b28fc515631" dmcf-pid="Pn6sCNyjOe" dmcf-ptype="general">두 팀은 배터리 없이 다양한 에너지원(수분, 열, 마찰전기, 자연 환경 요소)을 활용해 소형기기를 구동하는 기술을 개발한다.</p> <p contents-hash="cbf04d5248a15f39e09066e527c2e0e969ac03058047aec22ec31a6b6e7a55c1" dmcf-pid="QIA13vzTDR" dmcf-ptype="general">예를 들어, 가천대는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 적용을, 성균관대는 산불 감지 시스템 적용을 겨냥한다.</p> <p contents-hash="c8a4156ce2ee8437c436700df43dba112ba66e57c07cddab5b3bc4396ec1372c" dmcf-pid="xCct0TqywM" dmcf-ptype="general"><strong>해외 공동 R&D 통해 2개 과제 선정</strong></p> <p contents-hash="746d988c030cc4a536285653e11c02cab60406c312d8bf7155371f010dd8f323" dmcf-pid="yfuoNQDxEx" dmcf-ptype="general">‘글로벌융합연구지원’ 사업은 국내 단독으론 어려운 미래기술 확보를 위해 해외 유수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지원한다. 과제당 최대 5년간 총 54억 원이 지원된다.</p> <p contents-hash="6002f5c467fd0c4d354aaf25b47aecf20a758bb5155685f62069a7063d4b2a61" dmcf-pid="W47gjxwMrQ" dmcf-ptype="general">KIST 이이수 팀은 미국 텍사스대와 협력해 인체 감각·운동 원리를 응용한 AI 휴머노이드 에너지 효율화 기술(효율 20% 이상 향상)을 개발한다.</p> <p contents-hash="00e19c39f53e1e8beb9c44400df634bcb06352c07741ee46696606131af6a310" dmcf-pid="Y8zaAMrROP" dmcf-ptype="general">UNIST 장지욱 교수팀은 미국 스탠퍼드대 SUNCAT 센터와 협력해 전력 없이 수소를 지속 생산하는 촉매 기반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a064b306075c1bf4e74481432c50aa08b6e0aed5a261440398a97603e416fbe9" dmcf-pid="G6qNcRmer6"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미래 기술을 선도할 파괴적 융합 기술을 조기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라며 “국내외 연구자 간 협력과 경쟁을 통해 실질적 기술성과를 도출하고, 산업 적용 가능성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3862417a34f798ebbb872b345980bdc9346c257c4d86c1fca5c5a46dbf1313c3" dmcf-pid="HPBjkesdO8" dmcf-ptype="general">해당 사업은 ‘한계 극복형 R&D’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신기술 기반의 도전적 연구를 지속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p> <p contents-hash="34bd8fb59429b94d5c92f3f712d0068fb3c0924a571d7d91143f0ee7c7dac722" dmcf-pid="XQbAEdOJO4"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배전망 ‘ADMS’ 전국 확대… 재생에너지 수용성 강화 07-17 다음 "AI로 ‘진짜 대한민국’ 연다"···ENTJ 배경훈 장관의 타운홀 방식 취임식 07-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