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 등 융합 연구 착수 작성일 07-17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정부, 미래개척융합과학기술개발 수행 기관 선정<br>6개 신규 과제 선정…2029년까지 총 216억 투입</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p0oHzJq1R">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50674943947d7f21512ad6b856830a5aad5da69630e3b534506c6bf0c9a4d92" dmcf-pid="7z7j1Ko9t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newsis/20250717120134992xyrc.jpg" data-org-width="340" dmcf-mid="pzdW8oSgH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newsis/20250717120134992xyrc.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d96aa5389450c2e9de22169e77605370741c6b7ae76d196aaa39546ad4f0a5a" dmcf-pid="zqzAt9g2Yx"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박은비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미래개척융합과학기술개발' 사업의 6개 신규 과제를 수행할 기관을 선정하고 연구에 본격 착수한다고 17일 밝혔다.</p> <p contents-hash="5f64fe36cefb679c7732fef0f072670c719ebbec495a3474bd87281a73490ea6" dmcf-pid="qBqcF2aVYQ" dmcf-ptype="general">이 사업은 융합연구 분야 과기정통부 대표 사업으로 이종간 융합연구·기술 시너지를 통해 미래 기술·산업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유망 융합신기술을 지원한다. 올해부터 2029년까지 총 216억원이 투입된다.</p> <p contents-hash="3981a95ff1f1ad19efaee7f8d3f26e7173966588433c3a47583919b65879bf97" dmcf-pid="BbBk3VNf5P" dmcf-ptype="general">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등 총 4개 과제제안요청서를 공고한 결과 61개 과제를 접수하고 6개 신규 과제를 선정했다. 평균 경쟁률은 10대 1이다.</p> <p contents-hash="51a262c63bc5cc52a181e11ff0cd0ba6ea5c967c5cfa6784d74a1532b7781e0a" dmcf-pid="bKbE0fj4X6" dmcf-ptype="general">AI휴머노이드는 대량의 데이터 학습으로 단독 반복 작업만 가능한 한계가 존재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성욱 연구팀과 동국대 임수철 교수팀은 현 모방학습 대비 10% 이하인 소량 데이터 학습으로 접촉 물체와 환경 변화에도 다지 핸드 조작이 가능한 AI휴머노이드 기술을 경쟁할 예정이다. </p> <p contents-hash="dbf0d26ccace43b891044bfcfdfecbf6f7dd5f6b4f90482b798c0457256202d8" dmcf-pid="K9KDp4A8G8" dmcf-ptype="general">가천대 김대건 교수팀과 성균관대 백정민 교수팀은 배터리와 별도 전원 없이 소형기기 구동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에너지원을 통합·활용하는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을 경쟁한다.</p> <p contents-hash="f235482ce0f466148601e6b2f15b318756ebf93c0e99c262ef82ac402bd07bd6" dmcf-pid="929wU8c6X4" dmcf-ptype="general">글로벌융합연구에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이수 연구팀이 미 텍사스대와 협력해 AI휴머노이드가 장시간 구동할 수 있도록 인체 전신 감각과 운동 원리를 활용한 에너지 효율화 기술을 개발한다.</p> <p contents-hash="1106d4568c891fa75b54232937c980b7bf644448e763316524d6a4ad6f81f373" dmcf-pid="2V2ru6kPtf" dmcf-ptype="general">울산과학기술원 장지욱 교수팀은 미 스탠포드대 인터페이스 과학 및 촉매센터(SUNCAT)와 협력해 외부 태양광이나 전력 없이 자체 촉매 반응만으로 물로부터 수소를 지속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9b4c39d9a615d2caa993f794ed67c61b89eed1850867a4f73c6bfcfc9150872a" dmcf-pid="VfVm7PEQHV"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silverline@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배두나의 가장 빛나는 순간 [화보] 07-17 다음 "어르신도 쉽게 쓰도록" 키오스크에 편의성 등급제 생긴다 07-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