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도 쉽게 쓰도록" 키오스크에 편의성 등급제 생긴다 작성일 07-17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과기정통부, 키오스크 관련 규제 완화…접근성 기준 정비<br>소형 테이블오더형 키오스크도 '글자 크기' 등 규제 합리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vMy4Llot9">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cdba8d80842be21d9f38696aa571a4f0a1de524985cd5aadfad20c9ac5e233a" dmcf-pid="2TRW8oSgH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키오스크 현장체험 교육. 2025.05.08. (사진=강남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newsis/20250717120143891yoey.jpg" data-org-width="720" dmcf-mid="KQ1nYue75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newsis/20250717120143891yoe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키오스크 현장체험 교육. 2025.05.08. (사진=강남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519621517f00313b975d431f9681a790abcf892cf41fd036bc1167446a5eb3f" dmcf-pid="VyeY6gvaXb"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정부가 중·소 무인정보단말기(키오스크) 제조사의 부담을 완화하고, 전국민이 쉽고 편하게 키오스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 특히 식당 테이블 등에 설치된 소형 키오스크 대상 규제를 보다 합리화하고, 장애인·고령자 등을 위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등급제 등을 도입한다.</p> <p contents-hash="10113d0c51fda490f316dfa3f7aac0fb9e4b1c3fd693eb282f9522e8608ab8ec" dmcf-pid="fWdGPaTNtB"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고시' 일부개정안을 마련해 행정예고 한다고 17일 밝혔다.</p> <p contents-hash="b264bd03613873aa2fb9ef33421d449e5c506c02ddd8c741ddaa865d95741d5b" dmcf-pid="4YJHQNyjtq" dmcf-ptype="general">지난해 3월 개정된 지능정보화 기본법 및 관련 규정에 따라 키오스크의 설치·운영자로 하여금 보조인력을 배치하거나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를 설치하는 등 키오스크 이용편의 제공을 위한 조치를 이행하게 하는 제도가 신설됐다. </p> <p contents-hash="2688bb1a6948aad1fa58023a2c552e2be3dd9445b849c668c19f1b09b225fff9" dmcf-pid="8GiXxjWAYz" dmcf-ptype="general">이번 개정안은 이 중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접근성 기준을 정비하기 위해 마련됐다. 테이블오더 관련 규제를 정비하고 키오스크 등급제를 도입하는 등 제도의 실효성과 현장 적용성을 높이고, 키오스크의 전반적인 사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p> <p contents-hash="33df735596038c1975874628e840ace200ec30c46aa9cf83c1d78a04cfd34a20" dmcf-pid="6HnZMAYc57" dmcf-ptype="general">개정안은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접근성 기준을 전면 정비했다. 기존 규정은 전문 기술 용어나 추상적이고 모호한 문장이 많고, 일부 항목 간에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표현이 포함되어 있어 현장에서 키오스크를 제작하는 실무자들이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p> <p contents-hash="a6090695c0c4d2a0f264dea9d9058f694fa993dbe2f9891b707d7443f4dfd2c4" dmcf-pid="PXL5RcGk1u"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이번 개정에서는 유사 항목을 통폐합해 중복 요소를 정비했다. 또 기술적 기준을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표현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 국민들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p> <p contents-hash="589f1f942a5b190b284057aa3b83a3d3098bb72652f8995aba09014cca11d129" dmcf-pid="QZo1ekHE1U" dmcf-ptype="general">최근 외식업 등을 중심으로 테이블오더형 키오스크의 보급이 빠르게 확대됨에 따라 테이블오더를 포함하여 화면의 대각선 길이가 28㎝(약 11인치) 이하인 소형 키오스크에 대한 접근성 기준도 현실에 맞게 조정했다. </p> <p contents-hash="5865edd4db4138fdaf81c50f2e0e192d4b278f24b74ba68dd59a6c646f71a763" dmcf-pid="x5gtdEXDGp" dmcf-ptype="general">기존 규정에 따르면 ▲글자 크기(최소 12㎜) ▲물리적 키패드 ▲물리적 키패드 위치 안내(점자 또는 음성) 항목의 경우 소형 키오스크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번 개정안은 글자 크기 기준을 일괄해 최소 7.25㎜로 완화하고, 소형 키오스크의 경우 키오스크에 물리적 키패드를 부착하는 대신 블루투스 등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p> <p contents-hash="3d8e66649971d374436519e12b72d3ca4a7bb77ac17a848d90ece92ef87ecbd1" dmcf-pid="ynFoHzJqG0" dmcf-ptype="general">아울러 이번 개정안에는 장애인·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최소한의 접근성 기준을 충족하는 수준을 넘어, 전국민의 키오스크 사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자발적 노력과 기술 혁신을 유도하는 키오스크 등급제(1등급·2등급)가 도입됐다. </p> <p contents-hash="12f0b2875210a38152afd6258f4f3247e2d8b40ac026ae50655d49dc5bbfd2af" dmcf-pid="WL3gXqiBG3"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키오스크 등급제를 위해 접근성 기준 항목 중 사용 편의성과 관련된 8개 항목에 대해 '우수' 또는 '보통'의 평가 요소를 추가하기로 했다. 4개 이상의 항목에 대해 우수로 평가된 경우에는 1등급을, 3개 이하 항목에 대해 우수로 평가된 경우에는 2등급을 부여할 계획이다. </p> <p contents-hash="8804a44f063a97aaba439307bb7b7c7597f4b988850528996a8bbc9daaeff2d0" dmcf-pid="YI8hKesdGF" dmcf-ptype="general">이러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등급 관련 정보는 이번 개정으로 새롭게 도입되는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도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공공기관과 민간 현장에서 1등급 키오스크의 보급과 홍보가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4082e8c9f23584f9f0b31b047308faef3fa2db293919e358460c26212f9f5fac" dmcf-pid="GC6l9dOJZt" dmcf-ptype="general">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고시 개정을 통해 시각 장애인도 별도의 키패드를 사용해 테이블오더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제조사들도 접근성 기능 구현 부담을 덜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과기정통부는 AI·디지털 기술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와 제품을 모든 국민이 쉽게 활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bc0540f0830eb5be5a213a1d8f2edfbbfa96ed2b613a1c37b682ce1c1f721aa" dmcf-pid="HhPS2JIiY1"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행정예고 기간 동안 의견 수렴을 거쳐 고시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번 고시 개정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경우 국민참여입법센터를 통해 의견을 제출하거나 과기정통부 디지털포용팀으로 직접 제출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고시 최종안이 확정되는 대로 키오스크 제조사 및 키오스크 설치·운영자가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배포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5b7a40ec4df0dee4c515f2646699d5f154ac414b754b7be0b85388f7b156c39e" dmcf-pid="XlQvViCnG5"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hsyhs@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 등 융합 연구 착수 07-17 다음 정부, 韓 독자 AI 성능평가 위한 데이터셋 구축 추진 07-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