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옴, 최소 회로전류 실현한 '초소형 CMOS OP Amp' 개발 작성일 07-17 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n5LYue7r4">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12a7b9234d0252aad31eec98787b1ceac4c2d608200c35fbe5a40fbea9e3726" dmcf-pid="XL1oG7dzm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로옴의 초소형 CMOS OP Amp(제공: 로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timesi/20250717114406319ircx.jpg" data-org-width="700" dmcf-mid="xfbIqxwMw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timesi/20250717114406319irc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로옴의 초소형 CMOS OP Amp(제공: 로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0edbb3f6fb7d0e9ca1037b24dbb0703e74869eaabce9e6ac3a7a5eeb884bb17" dmcf-pid="ZotgHzJqmV" dmcf-ptype="general">로옴 (ROHM) 주식회사 (이하 로옴)는 동작 시의 회로전류를 업계 최소로 억제한 초소형 CMOS OP Amp 'TLR1901GXZ'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전지 및 충전식 배터리로 구동하는 휴대용 계측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 실내용 검출기 등 소형 어플리케이션에서 계측 검출 앰프에 최적화된 제품이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dfde71f0c1154b17904e84ea317e11a1c2e5925e2cfbfdcc19756bf6165dbe8" dmcf-pid="5gFaXqiBO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품 사진(제공: 로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timesi/20250717114407616antj.jpg" data-org-width="700" dmcf-mid="ymjzaI0CI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timesi/20250717114407616ant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품 사진(제공: 로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990da03d2af7414ad2d0af2d3b3236ff00a9df8e8c2cad6df54e2e6d3195942" dmcf-pid="1a3NZBnbO9" dmcf-ptype="general">최근 휴대용 계측기, 웨어러블 단말기 등 전지나 배터리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고도화 제어가 요구되고 이에 따라 온도, 습도 및 진동, 압력, 유량 등을 수치화하기 위한 센서와 센서 신호를 증폭하는 OP Amp의 역할도 중요해졌다. 또한 지속 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소형화, 저전력화가 중요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개별 디바이스에도 소형화 및 저전력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p> <p contents-hash="84040432f1449617cfebe2c6a13926747904e96e714011f43811cd9d80fa8ce3" dmcf-pid="tN0j5bLKwK" dmcf-ptype="general">이에 로옴은 지금까지 축적해온 독자적인 프로세스 기술, 패키지 기술, 나노에너지 회로 기술을 한층 더 진화시켜 소형, 저소비전류, 고정밀도에 대응하는 OP Amp를 개발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8e23394e449450652f4071b10ee20cd26823b76c9342c0d45aa88cfd1462113" dmcf-pid="FjpA1Ko9r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저소비전류 OP Amp 특성 비교(제공: 로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timesi/20250717114409003hxyi.jpg" data-org-width="700" dmcf-mid="WFs4rYKGr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timesi/20250717114409003hxy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저소비전류 OP Amp 특성 비교(제공: 로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a892d67161da892c3acbf01a198415e8b1fce8a2037f1c7d3e7ec487291d225" dmcf-pid="3eGdv3Q0IB" dmcf-ptype="general">신제품은 ball pitch를 0.35mm까지 좁힌 WLCSP를 채용함으로써 1mm×1mm 이하의 초소형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동작 시 회로전류를 160nA (Typ.)로 억제하여 초저소비전류화를 실현했다. 이에 따라, 한정된 면적에서의 고밀도 실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장수명화 및 장시간 구동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3a38047cae0155b6d89ac305d9a12d07937667a006fc87684ca5d56fdf969474" dmcf-pid="0dHJT0xpsq" dmcf-ptype="general">또한, 입력 오프셋 전압은 저소비전류 OP Amp로는 압도적인 0.55mV로 매우 낮아, 일반품 대비 약 45% 저감을 실현했다. 입력 오프셋 전압 온도 드리프트도 최대 7μV/℃를 보증하여, 외부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운 기기에서도 고정밀도 동작이 가능하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b4c1c276be758a893713a358bd683bf6640baf3265bb1fa6c9558b94292fefc" dmcf-pid="pJXiypMUr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품 주요 특성(제공: 로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timesi/20250717114410282whxk.jpg" data-org-width="700" dmcf-mid="YIZnWURuI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timesi/20250717114410282whx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품 주요 특성(제공: 로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2d545e8bc8acaa2465836ebfb6cd08993591a881f934762f1a5512227aa2418" dmcf-pid="UiZnWURur7" dmcf-ptype="general">로옴의 범용 저항기인 초소형 MCR004 (0402 사이즈) 및 MCR006 (0603 사이즈)을 OP Amp의 게인 조정 등 주변부품으로 함께 사용함으로써 한차원 높은 설계 자유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0402 사이즈로는 환경 부하를 저감한 완전 Pb-Free 타입의 MCR004E도 구비하고 있다.</p> <p contents-hash="3c5d7bd87a77081d62ab7bb70a99e9cf0edcd7dd8b556e447ea002d697ebda01" dmcf-pid="un5LYue7wu" dmcf-ptype="general">신제품은 지난 6월부터 월 2만개의 생산 체제로 양산을 개시했다. 인터넷 판매도 개시하여 Chip 1 Stop, CoreStaff Online 등 온라인 부품 유통 사이트에서 구입 가능하다. 초기 평가 및 대체 검토를 서포트하기 위해 IC 실장을 완료한 SSOP5로의 변환 기판도 구비하고 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6ac660b87abfb4e0800e20b2825716054a0a0dc29adf2e996072870982d8c87" dmcf-pid="7L1oG7dzr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IC 실장 완료 변환 기판(제공: 로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timesi/20250717114411564mjsi.jpg" data-org-width="700" dmcf-mid="GXDBjhUlD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etimesi/20250717114411564mjs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IC 실장 완료 변환 기판(제공: 로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a606ff5879ab259caacdf85ec4b44711165eb678186f2aa57dd5c4334845fe8" dmcf-pid="zotgHzJqrp" dmcf-ptype="general">로옴 관계자는 “앞으로도 로옴은 소형화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초저소비전류 기술을 활용하여 OP Amp의 한차원 높은 저전력화를 추구해 나갈 것”이라며 “Low Noise, 낮은 오프셋, 전원전압 범위 확장과 같은 고성능화를 지속적으로 전개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의 고정밀도화를 통해 사회 과제 해결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p> <p contents-hash="6cdf21b6af2ee776f1351715a37104f2744f01ccde7bc976e0ac9885183f3eef" dmcf-pid="qgFaXqiBm0" dmcf-ptype="general">임민지 기자 minzi56@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와탭랩스 "폭증하는 AI 워크로드, GPU 가시성이 기업 성패 가른다" 07-17 다음 불법 스포츠 도박 신고, 상반기 포상금 3억 원 07-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