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MBTI는 ENTJ"…배경훈 신임 과기정통장관, 'AI로 일하는 정부' 선언 작성일 07-17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17일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취임…李정부 첫 임명<br>취임식서 PPT 띄우고 직원과 타운홀미팅 열어<br>"소버린 AI·R&D 복원·인재 양성…선도 전략 필요"<br>“공직과 민간 나누지 않겠다…AI는 업무 동반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JKPG7dzc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4cb3473b796d23454ec0d8cc9f7c96758954acf6ee85b73fbad7359ea7c5cbb" dmcf-pid="bJKPG7dzN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임 장관이 17일 정부세종청사 취임식에서 PPT를 띄워놓고 취임사를 낭독했다. 사진=박유진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akn/20250717111328150uicv.jpg" data-org-width="745" dmcf-mid="qTvZaI0Cc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akn/20250717111328150uic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임 장관이 17일 정부세종청사 취임식에서 PPT를 띄워놓고 취임사를 낭독했다. 사진=박유진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23aed2023b89617a8321d874b47e5f14f28bf9b29d4d5d0afc4a7763dde2d4b" dmcf-pid="Ki9QHzJqjr" dmcf-ptype="general">배경훈 신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취임 직후 타운홀 미팅을 열고 "AI 기반의 국가 대전환을 통해 '진짜 대한민국'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민간 기업인 출신답게 행사 방식부터 이례적이었다. 정형화된 착석 대신 반원형 좌석에 직접 만든 프레젠테이션(PPT)을 띄우고, 직원들과 직접 마주 앉아 자유로운 질의응답을 이어갔다. 기존 관료 문화와는 결이 다른, '일하는 방식의 전환'을 상징하는 장면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p> <p contents-hash="2181cc4b36ef1ebdfba57a9f8e1209584615f3bf43ab7d99248a5173107bb750" dmcf-pid="9n2xXqiBow" dmcf-ptype="general">배 장관은 취임사에서 "우리는 그간 선진국의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추격하는 전략을 통해 유례없는 성장을 이뤄냈으나,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선 지금 국력 세계 5강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과거 방식의 답습만으로는 더 이상 나아갈 수 없다"라고 밝혔다. 이어 "AI·양자·반도체 등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국가 대전환을 통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b8a8fda86d7b3301079815ed2e932b76649d2784527f20166aa0e9cefd68abc8" dmcf-pid="2LVMZBnboD" dmcf-ptype="general">특히 그는 "'AI 3대 강국 도약'의 실현을 위해 튼튼한 AI 생태계를 갖추고, AI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국가 컴퓨팅 센터, 슈퍼컴 6호기 등 세계 수준의 AI 인프라를 조속히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또 "세계 최고의 초고성능·초지능 디지털 인프라를 전면 구축하겠다"고도 덧붙였다.</p> <p contents-hash="889587b90fd2f8cdf9180605c7ecf56df015651c5c33e09ef8c12aec21d6eeb8" dmcf-pid="VofR5bLKaE" dmcf-ptype="general">이날 타운홀에서 배 장관은 과기정통부의 AI 활용 문화를 직접 언급했다. "간담회나 인터뷰 전에도 AI에게 먼저 질문을 던지고 생각을 정리한다"며 "내 업무 기록을 정제해 AI와 연결하고 예측모델을 만든 적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 질의응답 수준을 넘어서 부처 내부 문서와도 결합할 수 있는 '소버린 AI'가 필요하다"며 "과기정통부가 앞장서 AI 활용도를 끌어올리겠다"고 했다.</p> <p contents-hash="fd2bfd83bc272f29a140364af830afd0b45e4ebb38c248edcf561d3f61907de0" dmcf-pid="fg4e1Ko9Nk" dmcf-ptype="general">AI를 R&D 체계에 적용하는 구상도 내놨다. 그는 "앞으로는 연구소장급 에이전트 AI가 과학자와 함께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분석하는 시대가 온다"며 "미국과 중국은 이미 추론형 AI를 중심으로 연구혁신을 준비 중이고, 한국도 하루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99d39a7b66cf6bb45ac5c9e788d1adfd602529ad98d03f31ac69b5bf041e1f32" dmcf-pid="4a8dt9g2Ac" dmcf-ptype="general">이공계 인재 확보 전략과 관련해선 "연봉만 높여서는 인재를 못 잡는다"며 "지속 가능한 연구 환경과 인프라가 핵심"이라고 했다. "한 명의 인재가 또 다른 인재를 부르고, 조직 전체의 시너지를 만드는 구조를 정부가 만들어야 한다"는 설명이다.</p> <p contents-hash="4b5c6806749195a9aa4ef8ff99a64a15e07d423dd8b23564cc0bdc00e092ee25" dmcf-pid="8N6JF2aVgA" dmcf-ptype="general">장관으로서의 소통 철학도 드러냈다. 그는 "공직자들의 로열티와 헌신이 크다는 걸 느꼈지만, 비효율적인 회의·보고 문화는 개선해야 한다"며 "우리가 AI 주무 부처인 만큼, 온라인 회의와 원격 업무 환경도 더 진화해야 한다"고 했다.</p> <p contents-hash="49f43938bbe04ee4551369877285495c3c26f3ca2addc55b42635035f13610b2" dmcf-pid="6jPi3VNfcj" dmcf-ptype="general">간담회 말미에는 예상 밖의 질문도 나왔다. "MBTI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배 장관은 "ENTJ"라며 "목표 지향적인 성격이라 스스로도 피곤할 때가 있다"고 웃어 보였다. 그는 "앞으로 누구든 편하게 얘기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고 싶다"며 "어떤 부처보다도 소통이 잘 되는 조직, 어떤 구성원이든 언제든 면담할 수 있는 부처라는 말을 듣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과 공직의 차이를 두지 않고 싶다"며 "앞으로도 이런식으로 소통하고 싶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66b86e2d716958889d4f0bd6387971272a09a3c074bf75e7cd3b87790914b649" dmcf-pid="PAQn0fj4oN" dmcf-ptype="general">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단독]국내기업 건너뛰고 美 직행하는 AI인재① 07-17 다음 배경훈 신임 과기장관 "누구나 AI 활용할 환경 조성…풀뿌리 기본연구 복원" 07-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