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도그마’ 원리로 풀어본 헌법의 의미 작성일 07-17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font color="#333333">주철현의 커넥션</font><br> (37) 헌법 도그마</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bydRcGkr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92c22a086391baa48776f902f7ad3dc7f1f5a1bb01d7ede51f218f233c3556e" dmcf-pid="2KWJekHEm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가 발전이 지속되려면 헌법이라는 도그마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은 2023년 국회 본관에 설치된 제헌절 경축 현수막과 국회 잔디광장의 무궁화 꽃.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27570fhop.jpg" data-org-width="640" dmcf-mid="7zwaosFOE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27570fho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가 발전이 지속되려면 헌법이라는 도그마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은 2023년 국회 본관에 설치된 제헌절 경축 현수막과 국회 잔디광장의 무궁화 꽃.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c9e1dcc83a9a3b40bd9a0c138f13c7f38ca7b2729c2cc4bec2ae533be1f3988" dmcf-pid="V9YidEXDmY" dmcf-ptype="general"> “사람이 아닌 헌법의 정부.”<br><br> -존 애덤스 (1735-1826)<br><br> 미국 2대 대통령 존 애덤스는 미국 독립 선언서를 작성하였다. 그는 ‘정치는 인간의 행복에 관한 학문'이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헌법을 전개하였다. 이는 사람이 아닌 법에 의한 통치라는 개념으로 발현된다. 미국 헌법은 입법, 행정, 사법의 견제와 균형을 삼권분립으로 담아낸 최초의 성문법이다. 의회는 법을 만들고 행정부는 법을 운용하고 사법부는 법을 수호한다. 그리고 국민은 선거를 통해 의회와 대통령을 선출한다. 이를 통해 국가의 형성과 유지에 참여하게 된다. 미 대통령은 위치를 의미하는 ‘프레지던트(president)’다. 수반의 자리는 지속되고 사람은 바뀌기 때문이다. 과거 봉건제 국가의 국민은 왕에게 충성하였다. 하지만 현대 민주 국가의 국민은 사람이 아닌 헌법에 충성한다. 현대 국가에서 헌법은 국가 자체로 취급되기 때문이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d9287506d68875d7e4ea3c51507f23188574db3fc318f6ef66d16baeb30d0e4" dmcf-pid="f2GnJDZwr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28845uupp.jpg" data-org-width="300" dmcf-mid="zKtWT0xpO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28845uupp.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8d8cb44838484de952abbb550cb50a595e0ecfbbb05507f7706da38e2bf79f28" dmcf-pid="485aosFOwy" dmcf-ptype="general"> 이처럼 중요한 헌법을 기리는 국경일이 제헌절이다. 비록 공휴일은 아니지만 이날을 맞이해 헌법의 의미와 중요성을 다시 생각해본다. 대한민국의 헌법은 1919년 임시헌장에 뿌리를 둔 제헌헌법을 시작으로, 1987년 대통령 직접 선거가 반영된 헌법까지 열 번의 개헌이 있었다. 하지만 그 시작이 국민이 권력을 가진 민주공화국이라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헌법 정신 지속의 중요성은 인문학적 관념에만 그치지 않는다. 과학적 관점에서도, 국가라는 집단이 번영하려면 헌법이라는 도그마(dogma)의 견고한 지속이 중요하다.<br><br> 오월 밤하늘에 펼쳐진 사자자리 방향으로 126광년 거리에 k2-18b 행성이 있다. 외계 생명체의 가능성을 탐색하던 케플러 망원경이 십년 전 발견한 행성이다. 행성의 물리적 환경이 지구와 유사할수록 생명의 존재 가능성이 높아진다. 생명 현상을 지배하는 물리 법칙은 관찰 가능한 우주에서 보편적 절대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지구의 8배인 질량이 형성하는 k2-18b의 중력은 지구의 1.18배다. 그리고 우리 태양의 절반 정도인 항성을 중심으로 33일 주기로 공전한다. 공전 궤도가 골디락스 존에 있어 0도에서 40도의 기온이 유지된다. 덕분에 표면을 바다가 덮고 있으며, 대기는 수증기를 품고 있다. 액체 상태의 물은 생명 활동의 필수 환경이다. <br><br> 최근 k2-18b의 대기에서 제임스웹망원경이 특정한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행성의 대기에 이 화합물이 고농도로 존재하는 것은 생명 활동의 징후로 여겨진다. 물리적 환경 이외에, 화학적으로도 이 행성에 생명의 존재 가능성이 제시된 것이다. 현재 학계에서는 이 발견을 둘러싼 뜨거운 논쟁이 진행 중이다. 물론 검증이 되어도 고등 지적 생명체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생물학적 대사를 수행하는 원시적 단세포 생물의 존재를 의미할 뿐이다. 그럼에도 외계 생명에 대한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는, 생명의 중심 도그마(Central Dogma of Life)를 둘러싼 호기심 때문이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51b531cdfcc874a5d91fe47b17e79e5cf781795167455794da75761acb0f509" dmcf-pid="861NgO3Im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외계 생명에 대한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는 ‘생명의 중심 도그마’를 둘러싼 호기심 때문이다. 외계행성 K2-18b와 그 중심별을 묘사한 그림. 위키미디어 코먼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30119ycwq.jpg" data-org-width="800" dmcf-mid="qEUZHzJqm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30119ycw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외계 생명에 대한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는 ‘생명의 중심 도그마’를 둘러싼 호기심 때문이다. 외계행성 K2-18b와 그 중심별을 묘사한 그림. 위키미디어 코먼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813a9b2b257c2b33ad959406914a401c6bcf0acb3f48a0c1c40b0355546cbd8" dmcf-pid="6PtjaI0Crv" dmcf-ptype="general"><strong>도그마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생명</strong><br><br> 생명의 중심 도그마는 생명 정보에 대한 일방통행 규칙이다. 구체적으로는 DNA가 RNA를 만들고, RNA가 단백질을 만드는 순서를 기술한다. 지구 생태계에 존재했고, 존재하고, 존재할 모든 생명은 이 도그마를 따른다. 생명의 도그마가 지배적인 이유는 모든 생물이 루카(Last Universal Common Ancestor)의 후손이기 때문이다. 원시 생태계의 생존을 위한 공진화 경쟁에서 살아남은 최후의 승자가 루카다. 이 루카의 생물학적 특징이 생명의 도그마가 된 것이다. 만약 다른 원시 세포가 승자가 되었다면 생명의 도그마는 지금과 달랐을 것이다. <br><br> 상위계 법칙의 지배를 받지만, 그것만 설명 불가능한 새로운 법칙을 가진 하위계의 등장 시점을 특이점(sigularity)이라 한다. 물리학에서 빅뱅이 특이점인 것처럼, 생물학에서 루카는 생태계의 특이점이다. 빅뱅은 우주의 물리 법칙이 왜 그렇게 형성되었는지 설명하지 못한다. 하지만 빅뱅은 우주에서 관찰되는 모든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이다. 루카도 생명의 도그마가 왜 그렇게 정해졌는지 설명하지 못한다. 하지만 생태계에서 관찰되는 모든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이다. <br><br> 생명의 도그마는 지구를 벗어나면 성립하지 않는다. 지구의 물리적 환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지구 생태계의 고유 원리이기 때문이다. 물리적 관점에서 외계의 생명 도그마가 지구와 같아야 할 이유는 없다. 기본적 물리법칙은 지구와 동일하지만, 생명의 창발(emergence) 과정에서 자기 조직화되는 도그마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단백질에서 유전자가 만들어져도 상관없고, 단백질에 유전 정보가 보관되어도 상관없다. 단백질 정보를 유전자로 변환하여 죽지 않고 살아가는 생명이 우주 어딘가에 존재할 수 있다. 행성 k2-18b를 둘러싼 논란은 이런 호기심에 불을 붙인다.<br><br> 생명의 중심 도그마는 생물에게 죽음이라는 숙명을 짊어지게 하였다. 동시에 생물은 유전자의 진화라는 운명을 개척해야 했다. 현대 진화론에서 진화의 주체는 생물이 아니라 유전자에 저장된 생명 정보다. 실존주의 관점에서 생물은 생명 정보가 실존으로 피투(geworfenheit)되는 것이다. 그리고 생물은 시행착오의 운명을 기투(entwurf)하게 된다. 유전 정보가 피투된 생물에게 죽음은 숙명이고, 새로운 세대로 변화를 실험하는 것은 기투의 운명이다. <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9b4013f1821709dee43f7bce1e621774baa225da6e3982ad0eb7a045d3e6106" dmcf-pid="PQFANCphs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로또에서 매주 일등이 당첨되는 것은 사람들이 고르는 번호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유전자 진화에 큰 수의 법칙이 적용되려면 다양성이 필요하다. 픽사베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31408gamb.jpg" data-org-width="800" dmcf-mid="Bm2OmG9Hw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31408gam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로또에서 매주 일등이 당첨되는 것은 사람들이 고르는 번호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유전자 진화에 큰 수의 법칙이 적용되려면 다양성이 필요하다. 픽사베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7679dc871cfa939927a9e47b0f0db3a7a4226297764d96d13116512605eff9e" dmcf-pid="Qx3cjhUlrl" dmcf-ptype="general"><strong>로또는 왜 매주 일등 당첨자가 나올까</strong><br><br> 생물에게 생명의 도그마는 죽음의 법칙이다. 생명 정보는 일방통행이며, 죽을 때까지 유전 정보는 불변이다. 새로운 변화는 후손을 만드는 유전자 복제 과정에서만 가능하다. 변화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후손의 몫이다. 살아남아 다시 후손을 복제하면 변화는 성공, 죽으면 실패가 된다. 성공한 유전 정보의 변화는 유전자에 기록되어 세대를 관통해 전승된다. 실패한 변화는 즉각 소멸되어 사라진다.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듯, 유전자도 성공의 기록이다. 유전자 진화는 죽음의 게임이며 패자는 말이 없다. 진화 게임에서 패배해 사라진 유전 정보의 수는 우주의 원자 개수도 까마득히 뛰어넘는다. 현존하는 유전자에는 이런 시행착오에서 일어난 천문학적인 죽음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br><br> 내가 로또를 사면 일등에 당첨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하지만 매주 누군가는 일등에 당첨된다. 이처럼 집단과 개인의 확률은 의미가 다르다. 카지노는 큰 수의 법칙 덕분에 반드시 돈을 번다. 하지만 개인은 돈을 잃는 경우가 더 많다. 큰 수의 법칙은 시행 횟수가 많아지면 일정한 확률에 수렴하는 것이다. 동전을 던져 앞이 나와야 살아남는 게임을 상상해보자. 큰 수의 법칙에 의해 구성원이 많을수록 집단의 생존 확률은 0.5에 가까워진다. 하지만 반만 죽고 반만 사는 의미가 없는 개인에게 집단의 확률은 의미가 없다. 피투된 유전 정보로 운명을 기투하는 생물은 동전에 생명이 달린 개인의 입장이다. 하지만 유전 정보는 큰 수의 법칙에 의해 진화하게 된다. <br><br> 로또에서 매주 일등이 당첨되는 것은 사람들이 고르는 번호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만약 모두가 같은 번호를 선택한다면, 일등 당첨자가 나올 확률이나 내가 일등에 당첨될 확률이나 같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유전자 진화에 큰 수의 법칙이 적용되려면 다양성이 필요하다. 환경이 지속되면 최적으로 적응한 지배종이 등장한다. 이 상황에서 유전적 다양성은 불필요한 잡음에 불과하다. 하지만 특정 환경에 최적으로 적응한 유전 정보만 존재하면, 환경 변화에 바로 멸종하게 된다. 다양한 번호에서 로또 일등이 당첨되는 것처럼, 유전적 다양성이 있어야 환경 변화에 살아남는 유전자가 하나라도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양성은 유전정보의 구명보트와 같다. 평상시는 성가신 물건이지만 폭풍우에 배가 난파하면 생명선이 된다. <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693ef10ceb49feed60a59c80e875b2c91bb3d622b3a0bdf5a6c1eb75a4fc1c4" dmcf-pid="xM0kAluSO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생물 다양성은 생태계가 환경 변화에 저항하는 능력과 비례한다. 픽사베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32680quou.jpg" data-org-width="800" dmcf-mid="bUYRxjWAO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32680quo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생물 다양성은 생태계가 환경 변화에 저항하는 능력과 비례한다. 픽사베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12609fbd2b1a6c70114774eae8b6c892ea5223cab8ead2ff6c49fd5e12277b6" dmcf-pid="yWN7U8c6mC" dmcf-ptype="general"><strong>국가는 도메인, 헌법은 도그마 </strong><br><br> 지구 생태계에서는 모든 생물들이 참여하는 끝없는 생존게임이 벌어지고 있다. 모든 생물이 먹이 사슬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이유는 생명의 도그마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식물이 만든 쌀, 돼지의 삼겹살은 소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생명의 도그마를 벗어난 기름이나 흙은 소화가 불가능하다. 지구 외계의 생명체도 도그마가 다르면 소화를 통한 에너지 공유가 불가능하다. 지구 생태계에서 일어나는 진화 게임은 그 어떤 게임보다 공정하다. 규칙의 합리성이 아니라 규칙의 절대성 때문이다. 생명의 도그마 집행관은 죽음이다. <br><br> 진화의 축은 도그마고 바퀴는 다양성과 환경변화다. 환경의 변화가 없었다면 지금 지구에는 세균만 득실대고 있을 것이다. 환경 변화가 없다면 기존 환경에 최적으로 적응한 지배종의 질서가 지속되기 때문이다. 이때 다양성은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는 성가신 잡음에 불과하다. 하지만 환경 변화가 닥쳤을 때 다양성이 없으면 멸종이 일어난다. 미래에 일어날 환경 변화는 방향을 예측할 수 없다. 대신 다양성을 풍부하게 확보해야 어떤 환경 변화라도 적응하는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생물 다양성은 생태계가 환경 변화에 저항하는 능력과 비례한다. 그렇다고 생물 다양성이 무한대로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생명의 중심원리가 다양성의 한계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br><br> 집단의 신조나 이념을 의미하는 도그마는 과학의 보편적 절대성과 거리가 먼 단어다. 문답무용의 도그마는 논리적 이성적 반박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생물학에서는 도그마라는 용어를 예외적으로 사용한다. 우주에서 지구 생태계라는 공간에서만 적용된다는 특징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도그마가 적용되는 범위를 도메인(domain)이라고 한다. 생명의 중심 도그마의 도메인은 지구 생태계다. 도메인이라는 단어는 중세 시대 왕의 힘이 미치는 범위를 의미했다.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에서 로마가 도메인, 로마법은 도그마다. 도메인이 다른 대한민국에서는 로마법을 따를 필요가 없다. 도그마는 도메인에 한정된 절대성을 의미한다. 국가를 도메인이라고 하면 헌법은 국가의 도그마라 할 수 있다. <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731b336d017e0e52ecbb7a019c13f86d207758bbd742ceb2ee7d9e606f86f84" dmcf-pid="WYjzu6kPr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환경이 변화하고 세대가 바뀌면 진보가 보수로, 다양성이 질서가 되는 순환이 발생한다. 픽사베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34033vllp.jpg" data-org-width="800" dmcf-mid="KP6Sh18tI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7/hani/20250717103634033vll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환경이 변화하고 세대가 바뀌면 진보가 보수로, 다양성이 질서가 되는 순환이 발생한다. 픽사베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86af4afb4480e7ffbf1f30142d42b40c9d3421694f2709d21b4c0d14ad1bac8" dmcf-pid="YGAq7PEQEO" dmcf-ptype="general"><strong> 도그마 없는 다양성의 위험</strong><br><br> 은하계, 태양계, 지구계, 생태계에는 집합 관계가 있다. 하위 도메인은 상위 도메인에 포함되고, 상위 도메인은 다수의 하위 도메인을 포함한다. 야기서 하위 도메인의 도그마는 상위 도메인의 도그마를 위배할 수 없는 원칙이 존재한다. 하위 도메인은 상위 도메인을 기반으로 창발이 되기 때문이다. 인류의 문명은 생태계의 하위 도메인이다. 따라서 문명에서도 다양성이 필요하고 중심원리에 해당하는 도그마가 필요하다. 도그마가 없는 다양성은 엔트로피를 증가시켜 집단을 소멸시킨다. 그런데 문명과 생태계의 도그마는 강제력의 차이가 있다. 생태계의 도그마는 절대 불가침의 영역이다. 이를 어기는 생명은 아예 존재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문명의 도그마는 강제력이 필요하다. 문명은 자연 생태계의 냉혹한 생존 법칙에 대한 울타리를 친 인공 생태계다. 따라서 도그마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에는 사람의 노력이 필요하다. <br><br> 인간이 만드는 도그마에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은 보편성과 지속가능성이다. 보편성은 다양한 도메인의 공통점, 지속가능성은 환경 변화에 흔들리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원하던 원하지 않던 자본 시장의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환경변화의 혼란이 밀어 닥치고 있다. 세계화는 희망의 단어이기도 하지만, 문명의 한계를 의미하는 섬뜩한 단어이기도 하다. 팬데믹과 기후 위기는 문명의 확장을 더 이상 품을 수 없는 지구 생태계의 경고다.<br><br> 문명 집단에서 도그마 계층 관계가 명확하지 않으면 혼란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도메인에 속해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가족, 친족, 동료, 마을, 종교, 민족, 국가 등의 도메인에 소속되어 있다. 온라인에서도 정치, 취미, 성별, 세대, 학벌, 직업 등의 수많은 도메인에도 소속된다. 한 개인이 수많은 도메인에 소속되면 도그마의 충돌과 혼란이 발생한다. 동일한 상황에 대해서도 적용 도메인에 따라 도그마가 충돌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도그마의 충돌을 해결하려면 무엇이 상위 도메인인지 판단해야 한다. 세계화 시대에 지속가능한 도그마를 찾는 출발점은 문명이라는 도메인이다. 인류가 만든 문명이기에 여기에는 인본주의라는 도그마가 적용된다. 그리고 현재 우리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도메인은 국가, 도그마는 헌법이다. <br><br> 과거 환경 변화에 적응한 결과가 부모 세대의 유전자라면,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잠재력은 자식 세대의 유전적 다양성이다. 이를 정치에 비유하면 부모는 보수, 자식은 진보라 할 수 있다. 환경이 변화하고 세대가 바뀌면 진보가 보수로, 다양성이 질서가 되는 순환이 발생한다. 이러한 순환을 지속시키는 축이 생명의 중심 도그마다.<br><br> 마찬가지로 국가의 발전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헌법이라는 도그마의 견고한 유지가 중요하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이것이 우리 도그마의 핵심이다. 이 본질이 견고히 지켜진다면 세계화 시대에 환경 변화가 일으키는 위기는 극복될 것이고 발전은 지속될 것이다.<br><br> 주철현 | 울산의대 미생물학·의학교육학 교수</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입소문 타고 'N차' 관람… 'F1 더 무비' 150만 흥행 질주 07-17 다음 재규어 TCS 레이싱, 베를린 E-프리서 2연승…포뮬러 E 통산 20승 달성 07-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