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만 치우면 되는 줄 알았더니” 알고 보니, 소변이 ‘충격’…다 말라 죽는다 [지구, 뭐래?] 작성일 07-16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PH8SI0CHa">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91b7dcff0b4f9f881056c1cdc183d1fcc2b71eddbb862086fa49543abbe293a" dmcf-pid="xTJSPfj45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반려견이 가로수에 소변을 보고 있다.[독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5691tpkh.jpg" data-org-width="1280" dmcf-mid="96I8SI0Ct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5691tpk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반려견이 가로수에 소변을 보고 있다.[독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00bbff002011473deeeffda5218318c08a34c41118cbc22b1e9be844fd029be" dmcf-pid="yQX6vCphZo"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strong>“소변은 괜찮을 줄 알았다.”</strong></p> <p contents-hash="242b513f35b60d7b4717bfa8a33cab103628404a0e52b308c72799fda5045194" dmcf-pid="WxZPThUlGL" dmcf-ptype="general">반려동물 인구 1500만명 시대. 반려견의 대변을 직접 처리하는 것은 이미 ‘상식’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strong> ‘소변’은 예외다.</strong></p> <p contents-hash="d3aae7ec72618d790c1dd26f4c5c15d7a9a830c36404737e87fc3392bc752b2b" dmcf-pid="YM5QyluS5n" dmcf-ptype="general">현행법에서도 화단, 공원 등에 반려견이 본 소변을 치우지 않는다고 해도 위법으로 보지 않는다. 문제는 <strong>반복적으로 소변이 쌓이면서 식물 고사, 토양 오염 등 환경 오염을 유발한다는 것.</strong></p> <p contents-hash="17566e70fe3b468b5ac54c7ecee94714bef4592737ceb612968e93325d79e807" dmcf-pid="GR1xWS7vYi" dmcf-ptype="general">인구 밀집도가 낮은 시골이라면 큰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도심에 인구가 밀집한 국가. 특정 구역에 반려견 소변이 쌓일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p> <p contents-hash="11432e2e10807f2fa90ab111ccdfb8bceb28c57bf9c0f7cf569b74fbcfe9a729" dmcf-pid="HetMYvzTtJ" dmcf-ptype="general">그렇다고 배설을 막을 수는 없는 노릇. 적어도 <strong>소변을 본 곳에 물을 뿌려 희석하는 ‘매너워터(Manner water)’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는 제안</strong>이 나온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347c424220e80910526ae02dd2bad07d443878f85d541d4a90e0ba07ea9701c" dmcf-pid="XdFRGTqy5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한 아파트 화단에 ‘반려견 소변금지’ 안내문이 설치돼 있다.[독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6077vieo.png" data-org-width="1280" dmcf-mid="2guDBue7Y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6077vieo.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한 아파트 화단에 ‘반려견 소변금지’ 안내문이 설치돼 있다.[독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88dff55bf1d9af8293d47491a287d389b2d016da2a85497473fe76a60a3e26c" dmcf-pid="ZJ3eHyBWXe" dmcf-ptype="general">KB금융그룹 ‘2025년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려동물 인구는 1500만명을 넘어섰다. 국민 10명 중 3명이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다는 것. 그중에서도 반려견 수는 546만마리로 가장 흔하다.</p> <p contents-hash="ec955eb2a03bc1326dd6faa0d02ea069910484f7894c0a98a89c17cab9b366cb" dmcf-pid="5i0dXWbYXR" dmcf-ptype="general">반려견이 늘어나며 각종 갈등도 촉발된다. 대표적인 게 배설물 문제다. 현행법에 따르면 반려견이 야외에서 배설할 경우, ‘오물’에 해당해 이를 보호자가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소변의 경우 실내 공간, 야외의자 등 특정 공공구역을 제외하면 특별히 이를 처리해야 할 의무가 없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d024e78830103c14cc5e5c46affe9e0039a5d1e8d68740bd17ea87ead909c66" dmcf-pid="1IQs2Bnb1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반려견과 걷고 있는 시민들. [서대문구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6480lclb.jpg" data-org-width="1280" dmcf-mid="VeJ1oJIi1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6480lcl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반려견과 걷고 있는 시민들. [서대문구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9d770aaecfe1e422de68cf5f69df31701ad6a600b19a65cd8b6920650f09d31" dmcf-pid="tCxOVbLKZx" dmcf-ptype="general">문제는 아파트 화단 등 특정 구역에 반려견 소변이 집중적으로 쌓이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는 것. 우선 개 소변에는 고농도의 질소가 함유돼 있다. 질소는 식물 성장에 필수 성분이다. 하지만 반복적으로 높은 함량에 노출될 경우, 질소 과다로 고사할 가능성이 크다.</p> <p contents-hash="3bdbffd4397b072ad6270a19a3ef0f41846b7a0216b0a61ec1b1d5fa010c66f3" dmcf-pid="FhMIfKo91Q" dmcf-ptype="general">다량의 염분이 함유된 것 또한 문제다. 만약 흙에 염분이 많아질 경우, 식물의 뿌리가 물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사람이 바닷물을 먹을 경우 쉽게 갈증이 해소되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d4a0c061451321869ef7aed88b3c47bb5b48c44499d7497aba3568e8b2dfb67" dmcf-pid="3lRC49g2Z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5일 인천 중구 영종도 선녀바위해수욕장에서 열린 ‘인천 댕댕(반려견) 썸머비치’를 찾은 반려견과 보호자들이 더위를 식히고 있다.[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6769rpxb.jpg" data-org-width="1280" dmcf-mid="f32h82aVZ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6769rpx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5일 인천 중구 영종도 선녀바위해수욕장에서 열린 ‘인천 댕댕(반려견) 썸머비치’를 찾은 반려견과 보호자들이 더위를 식히고 있다.[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6c976b4ff065ad8878e0804c23ac46c7f0700495360ab533b278b98b438e082" dmcf-pid="0Seh82aVG6" dmcf-ptype="general">심지어 소변이 축적되는 도심 가로수나 화단 등의 경우 좁고 인위적인 토양 공간에 해당한다. 도로와 인도 사이의 공간이 한정된 탓에, 배수가 원활하지 않다. 이에 빗물이나 인위적인 물 공급이 없을 경우, 성분이 그대로 흙 속에 남을 가능성이 크다.</p> <p contents-hash="18ca85d4b3af6ac5fdddc91c2dad8338c53566aa95c8d76064f0482d95e937db" dmcf-pid="pvdl6VNft8" dmcf-ptype="general">핀란드 헬싱키대학교 연구팀이 개 소변의 토양화학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개 소변에 노출된 지점의 토양 질소 농도는 배설이 통제된 구간에 비해 10~15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소에 강한 특정 잡초와 식물만 우세한 현상이 나타나, 생물다양성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efce87535afc43ff580b20a8a9617513f6f5c18291e44babe3e86ea8bad9e6f" dmcf-pid="UTJSPfj4G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웰니스 서울 2024가 6일 오후 서울 반포대교 남단에서 열린 가운데 ‘느림보 거북이 마라톤’에 참가한 시민들과 반려견들이 밝은 표정으로 걷고 있다. 박해묵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7086lphk.jpg" data-org-width="1280" dmcf-mid="4vgpAgvat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7086lph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웰니스 서울 2024가 6일 오후 서울 반포대교 남단에서 열린 가운데 ‘느림보 거북이 마라톤’에 참가한 시민들과 반려견들이 밝은 표정으로 걷고 있다. 박해묵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ac202e71520093906dbe65d2cf33231d8dc52d3e3c318172c6fa438ff20dfd0" dmcf-pid="uyivQ4A8Zf" dmcf-ptype="general">지하수의 미세 오염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소변의 주요 오염물질인 질소, 암모니아 등은 지하수로 스며들어 ‘질산염’ 형태로 축적된다. 질산염의 일부는 토양 미생물 등에 의해 정화된다. 하지만 일부 질산염은 지하수에 함유돼 마시는 물의 수질 저하를 일으킨다.</p> <p contents-hash="4d78ba93c68d7b22b59cd1b56181e8f2232aa6a9d0ec61b87bd220ae5a6b8fd7" dmcf-pid="7WnTx8c6HV" dmcf-ptype="general">인구 밀집도가 낮은 시골이나 자연환경이라면 배설 행위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는 좁은 공간에 인구와 반려동물이 밀집된 도심이다. 심지어 도심은 녹지가 한정돼 있다. 특정 장소에 집중돼 배설물이 쌓이는 현상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것. 실제 똑같은 곳에서 여러 마리 반려견의 소변이 발견되는 경우는 허다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264080c3e24504780beebe9608031d0cb113e0fceccee7e23a3664025d93d8c" dmcf-pid="zYLyM6kPH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놀이터의 반려견들 [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7408luov.jpg" data-org-width="1024" dmcf-mid="8w8Tx8c6Z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7408luo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놀이터의 반려견들 [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cde4cfac1f72c2f907ff0f4696f380173522ad8508bf29c4f2ef64cac842d4b" dmcf-pid="qvCzDAYcG9" dmcf-ptype="general">사정이 이렇다 보니 우리나라에서도 개 소변과 관련된 크고 작은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아파트 화단에 소변을 금지하는 안내판이 등장하며, 찬·반 논란이 생기는 사례도 빈번하다. ‘화단과 식물 피해를 막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과 ‘위법도 아닌 소변을 통제하는 것은 과도하다’는 입장이 대립하는 셈.</p> <p contents-hash="56aad3fbb283cd7524815f047ebae37bbf6ede342e8ef9541c0a6ad9f8189380" dmcf-pid="BThqwcGkGK" dmcf-ptype="general">국내 다수 지자체에서는 반려동물 전용 소변기를 설치하는 등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소변을 한 지점에 집중적으로 누지 않고, 일정 구간을 지나며 소변을 보는 본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려견의 행동 특성상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fe982573f5018dfab43265b0b57568509084c3a0fcf997f4167b063578c52b9" dmcf-pid="bylBrkHEG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양재천 근린공원 ‘연인의 거리’ 옆 도롯가에 형성돼 있는 양재천 카페거리.[헤럴드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7712hdyg.jpg" data-org-width="1280" dmcf-mid="6MzrKzJqX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7712hdy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양재천 근린공원 ‘연인의 거리’ 옆 도롯가에 형성돼 있는 양재천 카페거리.[헤럴드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7ddf9d51a749c6895b4e0ea3bba333ce7f1b1b0f77e69d82b78e1d9168b5f99" dmcf-pid="KWSbmEXDGB" dmcf-ptype="general">이에 일각에서는 ‘매너워터’ 확산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매너워터는 반려견 산책 시, 물을 지참하고 소변을 본 자리에 물을 뿌려 성분을 희석하도록 하는 일종의 캠페인을 의미하는 말이다.</p> <p contents-hash="3e26b58c174ab4ae263ff6dbeade48c796184b0ccdcae740a8c28f9e0f33b01e" dmcf-pid="9YvKsDZw5q" dmcf-ptype="general">실제 퍼듀대학교 확장센터 연구팀에 따르면 소변 후 즉시 충분한 물을 부어 희석해 주는 것만으로도 질소·염류 농도가 낮아지며, 식물에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본 등 해외에서는 지자체의 주도로 매너워터 캠페인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p> <p contents-hash="27af48f39a533ef0655e0f067e37cefaafaa2ed3478b7e6a624d84c3012734db" dmcf-pid="2GT9Ow5rtz" dmcf-ptype="general">일본 도쿄도는 각 구 단위로 배포한 반려견 산책 예절 가이드를 통해 “산책 중에 소변을 볼 때는 물로 씻어내는 것이 상식이니, 대변이나 오줌을 방치하지 않고 책임감 있게 청소해야 한다”며 “특히나 오줌은 냄새를 남기기 때문에, 충분한 물로 씻어내야 한다”고 보호자 지침을 명시하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915859a49aa8510cd1b6876c53beb621277cb42fd7555a189cdcc57c1b3c425" dmcf-pid="VHy2Ir1m5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8030ysnc.jpg" data-org-width="1280" dmcf-mid="PfBa018t1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84218030ysnc.jpg" width="658"></p> </figur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신지, 처음으로 밝힌 속마음..."나 때문에 김종민-빽가, 미움받을까 봐" (유퀴즈) 07-16 다음 명지대, 7년 만에 전국대학테니스연맹전 남녀 단체전 석권 07-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