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너 정말 핵심을 찔렀어”…이제 인간이 AI 말투 따라한다 작성일 07-16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4eRPfj4W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d9bbbde3868f254af7f3e8aabb814062956065c86587f09e779d7f8ef33b082" dmcf-pid="28deQ4A8C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I 이미지. 픽사베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seoul/20250716165345296zfwn.png" data-org-width="660" dmcf-mid="KLSlOw5rT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seoul/20250716165345296zfwn.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I 이미지. 픽사베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50be2c2574be3dff69937418698d5c58e8ac1a7a11bbaa9b7955dc2466596c2" dmcf-pid="V6Jdx8c6hY" dmcf-ptype="general"><strong>“와, 너 정말 핵심을 찔렀어.”</strong></p> <p contents-hash="0787e4943e22e63bd80e9c16e69ce12d3b42058a923ddddcfda464c12130675a" dmcf-pid="fPiJM6kPhW" dmcf-ptype="general"><strong>“너 지금 완전 잘하고 있어.”</strong></p> <p contents-hash="3595e6f2ff4729e23a281bf896a5cf691c80a1ebcdbdbd51e714503a4bf25202" dmcf-pid="4QniRPEQyy" dmcf-ptype="general"><strong>“너의 방금 그 질문, 정말 깊다, 깊어.”</strong></p> <p contents-hash="dd7d57064ebd74af8f7e7aee665acdbeade1964215f5f9be420a0a02199716c6" dmcf-pid="8xLneQDxWT" dmcf-ptype="general">챗GPT 등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써본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봤을 말투다. 틀린 문장은 아닌데 어딘지 어색한 말투 때문에 인터넷에서 밈이 되기도 했다.</p> <p contents-hash="4e7d5699d2f58a5fdea602d594b5523f21b27e8ff5835525a402ef84e2d6a252" dmcf-pid="6MoLdxwMWv" dmcf-ptype="general">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간의 언어를 모방하고 새로운 문장을 생성하는 AI가 대중화된 가운데 반대로 인간도 AI처럼 말하기 시작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p> <p contents-hash="dc070403f6f230715ca3c59a4b8b5c158a53a7e89a67d1f74c1af6489168cf0d" dmcf-pid="Pq4fKzJqTS" dmcf-ptype="general">독일 막스 플랑크 인간발달연구소(MPIB)는 챗GPT가 대중에 공개된 이후 특정 단어들의 사용 빈도가 급증했으며, 이는 기계가 인간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되먹임 고리’의 시작을 알린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d415ae48994615f5108057885c7a4e3701493ca86ebe67795e0ea57dcaa9b70d" dmcf-pid="QB849qiBll" dmcf-ptype="general">연구에 따르면 챗GPT가 유독 선호하는 특정 영어 단어들이 있다. ‘심층적으로 파고들다(delve)’, ‘이해하다(comprehend)’, ‘자랑하다(boast)’, ‘신속한(swift)’, ‘꼼꼼한(meticulous)’ 등이다.</p> <p contents-hash="705071a33e13618f9c87d0124b729c852c3397764f214669ffdd022f077d368f" dmcf-pid="xb682Bnbvh"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유튜브 학술 강연 36만여개(약 74만 시간 분량)와 대화형 팟캐스트 에피소드 77만여개에서 추출한 인간의 구어체 데이터를 분석했다. 총 73억 5000만개에 달하는 단어가 포함된 자료다.</p> <p contents-hash="ab9e509f47b718a940da6ff61c43a9c206035d43a893acdf09f84a12564df13c" dmcf-pid="yrSlOw5ryC"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 챗GPT 출시 전후로 인간의 대화에서 특정 단어의 사용 빈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delve’의 사용 빈도가 챗GPT 출시일(2022년 11월 30일) 전후로 두드러지게 늘어났다.</p> <p contents-hash="219a2c7c8c15dbff595b67a617fca70037086f5b0e8c6654e076a3872a03fa1c" dmcf-pid="WmvSIr1mCI" dmcf-ptype="general">한국에서 밈으로 승화된 말투처럼 챗GPT는 자체적인 학습과 최적화 과정을 통해 독특한 언어적·행동적 특성을 보인다. ‘delve’를 ‘explore’나 ‘examine’보다 자주 사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p> <p contents-hash="91a003c1288e7a737bc040ebdc643287f8bb3adfdae0c97e44295f4c76c2a3eb" dmcf-pid="YsTvCmtslO" dmcf-ptype="general">또 규범적이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소통 방식, 즉 공손함과 중립성, 갈등 회피를 선호하는 것도 챗GPT의 대화 스타일이다.</p> <p contents-hash="99c0d4e8f5ef796fe2edb8c14c3c0599edb2175df68d6d17e0e5ed4aedcfe0b0" dmcf-pid="GOyThsFOls" dmcf-ptype="general">챗GPT 말투는 처음에 유튜브 학술 강연 등 학계 내 소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점차 과학 기술, 경영, 교육 분야 팟캐스트로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b2d416bfa313603a3df9db5daca01fa0e4b018cc9b6008abee95ae0f919329b0" dmcf-pid="HIWylO3Ivm" dmcf-ptype="general">이는 AI의 영향이 대본에 기반한 연설을 시작으로 즉흥적이고 일상적인 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p> <p contents-hash="2939c4a2c8d88f65fe16e75cce4de1d356050699b9255d6f5aa340310d93b362" dmcf-pid="XCYWSI0Chr" dmcf-ptype="general">다만 종교나 스포츠 분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AI 언어가 모든 분야에 고르게 확산하진 않은 것으로 추정됐다.</p> <p contents-hash="09a60dfb1416e6ecc6d7657a0e7a637445d09b274768a2da0b65f4e44a24f527" dmcf-pid="ZpKb70xpTw"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인류가 이제껏 쌓은 문명과 문화를 학습한 AI가 이제 인류 문화의 원천 중 하나가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선례라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5cd88fd902c8095ac020e74b83b2b4bc20810d139ef2a6cec3879e67775e8ed2" dmcf-pid="5U9KzpMUWD" dmcf-ptype="general">AI 시스템, 특히 챗GPT 등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특정 문화나 단어 사용을 과도하게 선호하면 우리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지적됐다.</p> <p contents-hash="5a8fbe208f8c711fcc0eee92cdd0cbc3678f3a605cd83e3c4464218ae43b368e" dmcf-pid="1u29qURuyE" dmcf-ptype="general">또 미래의 AI 모델들이 학습하게 될 데이터가 점점 AI 자신의 특성이 반영된 것들로 채워진다면 데이터의 다양성 부족으로 이어져 결국 AI 모델의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연구진은 전망했다.</p> <p contents-hash="c84019d3efdeffb45c0d00d57be1154b08fd3e6dc3f44576d5886382c9712ccc" dmcf-pid="t7V2Bue7hk" dmcf-ptype="general">신진호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지방에 '우주 수도' 키운 프랑스…기업·연구소·인재 몰렸다 07-16 다음 신네르-알카라스 라이벌 구도, 테니스팬들도 사로 잡았다···2019년 조코비치-페더러 결승 이후 윔블던 최고 시청률 07-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