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5주마다 변하는데 정책은 5년 단위…시스템 바꿔야" 작성일 07-16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025 과학기자대회 열려<br>이재명 정부 핵심 정책 ‘AI’ 주제로 논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PhFmEXDN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cb1b9f3210b8355178c9bffb0f514aaa6bb5ebcca03b40782c7ba327af64eb4" dmcf-pid="zQl3sDZwN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6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5 과학기자대회에서는 인공지능(AI) 정책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한국과학기자협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chosunbiz/20250716162905354gdvq.jpg" data-org-width="3744" dmcf-mid="UfZKWS7vA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chosunbiz/20250716162905354gdv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6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5 과학기자대회에서는 인공지능(AI) 정책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한국과학기자협회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5a83c1cd060179d378abc2f829c56a73c57aafa607b03fa93c3ed521ea8aa0a" dmcf-pid="qxS0Ow5rg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chosunbiz/20250716162905785yjbn.png" data-org-width="1232" dmcf-mid="uPZKWS7vc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chosunbiz/20250716162905785yjbn.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f599769a749a1f7f2c3cb44cd213419abec83d986f4acd18e61916fd2595db83" dmcf-pid="BMvpIr1mks" dmcf-ptype="general">한국이 인공지능(AI) 시대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어떤 전략과 과제를 갖고 나아가야 할지 산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전문가들은 “AI 기술이 일상과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정부와 민간이 함께 전략적 대응을 서둘러야 할 시점”이라고 입을 모았다.</p> <p contents-hash="6f2809ef23d9185bfc04ab8c87cf6a7458b0a6d516812f4fb8577e537f1ccc06" dmcf-pid="bRTUCmtsAm" dmcf-ptype="general">16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5 과학기자대회에서는 AI 반도체, 인재 생태계, 피지컬 AI 등의 분야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현실적 제언들이 쏟아졌다.</p> <p contents-hash="ef8aad409a608753417d3527978c847556fcc93af67067325b31b9885b4e8f98" dmcf-pid="KeyuhsFONr" dmcf-ptype="general">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AI 반도체 산업의 구조와 미래에 대해 설명하며 “AI 반도체는 훈련과 추론 분야로 나뉘는데, 실제 우리가 AI를 체감하는 영역은 추론 쪽”이라고 했다. 훈련은 주로 글로벌 기업들이 수행하는 반면, 추론은 다양한 서비스, 장치에 적용되며 훨씬 넓고 입체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1df4a6d49cbd3ad99e01667943aca0edb8d26d78ad9a01f720ced3e20f3ee5b7" dmcf-pid="9dW7lO3Iow" dmcf-ptype="general">박 대표는 “AI가 챗봇에 머무는 시대를 지나 실생활에 깊이 들어갈수록 추론을 위한 트래픽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이는 곧 추론 반도체의 수요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 시장이 한국 스타트업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b9d0197bc5db9f43aac7b33a9af78be6c160f1bf9dcf44e8ca9563f7a3125ceb" dmcf-pid="2JYzSI0CoD" dmcf-ptype="general">그는 이 시장에 진입해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는 현실도 설명했다. 박 대표는 “흐름이 계속 바뀌다 보니 장기적인 연구개발(R&D) 계획은 뒤처질 수 있다”며 “R&D는 민간 자본으로 해결할 수 있게끔 하고, 정부에서는 만든 제품을 실증하고, 실질적인 수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메모리 반도체 분야가 성장한 것처럼 이 분야도 정책 자금 지원이 필수”라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20748102661000c4b13350b421f10fb4b3cd8761f2805028954c6f68c8a83bac" dmcf-pid="V3LOeQDxkE" dmcf-ptype="general">윤성로 서울대 교수는 AI 생태계의 핵심은 결국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데이터와 인프라, 모델도 중요하지만 이 모든 것을 만드는 건 결국 사람”이라며 “인재를 어떻게 키우는지가 생태계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짚었다.</p> <p contents-hash="f04bf15fef092568c4df02bf23eff2fbcb9cffecec8b4fc7191f61b9f71117e7" dmcf-pid="f0oIdxwMok" dmcf-ptype="general">이어 “현재 한국에서는 AI 대학원, AI 융합 혁신 대학원들이 생기고 있으나, 연구비가 부족해서 GPU를 사지 못하거나 사더라도 둘 공간이 없고, 공간이 있어도 전기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며 “이는 단순한 자금 문제를 넘어서 정책의 일관성과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81516b10a9c3bbd241b76f6d84f50b8c7e67deba185fcb590959e1e637db1af4" dmcf-pid="4pgCJMrRNc"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기술 흐름이 5주 단위로 변하는 AI 산업의 특성을 감안할 때, 5년 주기의 정책으로 대응하는 현재 시스템은 현실과 맞지 않는다”며 “적절한 글로벌 협력과 함께 산업에 AI를 접목해서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045e7ad25b60451f1c7b09d0fb06f10e77d639ea2d537dc88fb690cb2e2cc767" dmcf-pid="8UahiRmeAA" dmcf-ptype="general">유원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인공지능창의연구소장과 박경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는 AI 산업의 다음 패러다임으로 ‘피지컬 AI’를 제시했다. 박 교수는 “피지컬 AI는 AI가 단순히 계산을 넘어서, 하드웨어와 합쳐져 지각하고 판단하며 물리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것”이라며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하드웨어도 동작해야 하기에 실증과 안전, 동시에 융합 인재 양성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2d57a07c462a831a5e4b7577ddb9cd25c326a26ded0b841d1f32e71409b97fa5" dmcf-pid="6uNlnesdNj" dmcf-ptype="general">유 소장은 “로봇 제어를 위해 라이다, 촉각, 고해상도 시각 데이터 등이 필요한데, 이를 수집하고 정제하는 데 큰 비용과 시간이 든다”며 “로봇마다 형태와 동작 방식이 달라 데이터의 표준화가 어렵고, 이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세계적으로도 미해결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데이터 허브 구축과 표준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4156f5b6e7ba20d4c1d972e74d0e4782ca9db6ae5785c066ffc50287a61e54d0" dmcf-pid="P7jSLdOJoN"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콜드플레이 크리스 마틴,콘서트 중 가사 까먹고"유튜브엔 올리지말아줘요" 07-16 다음 젠슨황 "中 AI는 월클...10년내 제조업 로봇팀 투입" 07-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