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게이트, HAMR 기술 적용 30TB HDD 본격 상용화 작성일 07-16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용량·효율성 동시 확보... 일반 소비자용 '아이언울프 프로'도 출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774OPEQch"> <p contents-hash="7c74660673dd3d75dda83fa591380aae303609244b5865a74933946129745395" dmcf-pid="Fzz8IQDxkC"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권봉석 기자)씨게이트가 AI 확산과 클라우드 수요로 늘어나고 있는 전 세계 데이터 생성량을 처리하기 위한 대용량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상용화에 주력하고 있다.</p> <p contents-hash="e9e43bc4a4d31be14bd4ae8ce6061b0971314fd952dcc6ad02a91bc68e9b79cd" dmcf-pid="3qq6CxwMaI" dmcf-ptype="general">전 세계 각국이 자국 내 데이터 저장을 의무화하는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대용량 저장장치가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fcd4af1072aa2453988a422d2ff11dc6975889a3894f439166ec35025089cfd" dmcf-pid="0BBPhMrRj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씨게이트 엑소스 X 모자이크 3+(Exos X Mozaic 3+) 30TB.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26638yubb.jpg" data-org-width="640" dmcf-mid="qkzDumtsA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26638yub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씨게이트 엑소스 X 모자이크 3+(Exos X Mozaic 3+) 30TB.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b3a7d426e9c6e59de55117ec568d18021263c6a203f9c4c0f9f468b81e017cc" dmcf-pid="pbbQlRmecs" dmcf-ptype="general">지난 해 1월 30TB 이상 고용량 HDD를 위한 새 플랫폼 '모자이크3+'(Mozaic 3+) 플랫폼을 공개한 데 이어 올 초부터는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CSP) 등에 제품 공급을 시작했다.</p> <p contents-hash="2a22098fdfd5be7e170b4bc065dfa78e2ce5e2e29d679fb5e76a87e8018068b2" dmcf-pid="UKKxSesdNm" dmcf-ptype="general">15일(미국 현지시간)에는 일반 기업용 HDD 이외에 일반 소비자들도 네트워크 저장장치(NAS)에 활용할 수 있는 '아이언울프 프로' 라인업 등 총 4종을 시장에 신규 출시했다.</p> <p contents-hash="5b14ec500a6f2cca4e13912fcbba66d3e49a94b4734bd3595d78fbbd2afe32cc" dmcf-pid="u99MvdOJar" dmcf-ptype="general"><strong>지난 해 초 차세대 대용량 저장 기술 '모자이크3+' 공개</strong></p> <p contents-hash="f82a75ddb36d4bd4f2485fecd026036b3315261cd3ceb46fb2880ad05020b37c" dmcf-pid="722RTJIicw" dmcf-ptype="general">HDD는 회전하는 원반인 플래터(Platter)에 자기장을 이용해 0과 1 신호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주요 제조사는 플래터 재질을 바꾸고 신호 기록 방향을 바꾸는 등 여러가지 방식을 이용해 이를 극복해 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781f4e9d71f319a11944bc8c7341a31f4449154437100b9ceb6195dbe02fd23" dmcf-pid="zVVeyiCnj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모자이크3+ 플랫폼의 HAMR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전시물.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28054cyhf.jpg" data-org-width="640" dmcf-mid="BFn1J3Q0A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28054cyh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모자이크3+ 플랫폼의 HAMR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전시물.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153823f88fcf2b7eec8d10b4d6a4cc980b144511d37d20069a5f48a96fa5e07" dmcf-pid="qqq6CxwMoE" dmcf-ptype="general">씨게이트는 지난 해 1월 30TB 이상 고용량 HDD 구현을 위한 '모자이크3+' 플랫폼을 공개했다. 데이터를 읽고 쓰는 부품인 헤드에 기록면 가열을 위한 레이저를 부착해 기존 기록방식 대비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열보조자기기록(HAMR) 방식을 적용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bd6e7f4c74b1a7cf2df5712518e8bd88f479b98a2aa02558e0f73483ce2d540" dmcf-pid="BBBPhMrRo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HAMR 기술은 HDD 내 플래터를 레이저로 가열해 기록 밀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29438bdrt.jpg" data-org-width="640" dmcf-mid="b3e1J3Q0c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29438bdr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HAMR 기술은 HDD 내 플래터를 레이저로 가열해 기록 밀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8150622dcab234762cd2440106fce34ed3c09a6af112bcdbba62db790d5562f" dmcf-pid="bbbQlRmejc" dmcf-ptype="general">HAMR 기술은 헤드에 부착된 레이저를 매우 짧은 시간인 나노초 단위로 데워 기존 대비 더 많은 데이터를 기록한다. 씨게이트에 따르면 HAMR 기술을 이용해 플래터당 3TB, HDD당 30TB를 담을 수 있고 연구실 환경에서는 플래터당 6TB까지 기록에 성공한 상태다.</p> <p contents-hash="b3f3ef7be94fe3602855b652f7104d03f8101c33e83d27fd203c26f8e9c2d4d5" dmcf-pid="KKKxSesdNA" dmcf-ptype="general"><strong>HAMR 적용 일반 소비자용 제품도 시장에 공급</strong></p> <p contents-hash="8c8ee6487dc73c21c2d9376caf3c658bea66bb5f8809fe399042dd16eb0c78d0" dmcf-pid="999MvdOJkj" dmcf-ptype="general">씨게이트는 지난 해 하반기 HAMR 기술을 활용한 32TB HDD인 '엑소스(Eoxs) M 32TB' 시제품을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나 대형 고객사에 공급했다. 올 1월부터는 시제품이 아닌 완제품 공급에 나섰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4f7b613006132e59da66d42ab4706eb4e378be16ec8cb4260b68e91fcba7e48" dmcf-pid="222RTJIio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씨게이트 엑소스 M 30TB(좌) / 아이언울프 프로 30TB(우) HDD. (사진=씨게이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30807ruxi.jpg" data-org-width="640" dmcf-mid="KRkKDVNfk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30807rux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씨게이트 엑소스 M 30TB(좌) / 아이언울프 프로 30TB(우) HDD. (사진=씨게이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e89aa48527015ba8755fd48976035e615a6d9310d3ed0c078add5433515268f" dmcf-pid="VVVeyiCnga" dmcf-ptype="general">15일 씨게이트는 HAMR 기술을 활용한 HDD 4종을 추가 출시했다. 데이터센터나 기업용 제품인 '엑소스 M' 30/28TB 제품에 더해 네트워크 저장장치(NAS)에 장착할 수 있는 '아이언울프 프로' 30/28TB 제품이다.</p> <p contents-hash="889719b33607c41b0e2e24eb59552497a510e372d1d70a6eb67967d9c73bd5e3" dmcf-pid="fffdWnhLog" dmcf-ptype="general">특히 아이언울프 프로는 예산이 허락한다면 일반 소비자도 구매해 직접 NAS에 설치하고 성능 향상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일부 대형 사업자를 벗어나 일반 소비자까지 공급할 수 있는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p> <p contents-hash="207c954778b334ae31b5897bd5657a261625f567390e67414a04a522d18f758b" dmcf-pid="444JYLloNo" dmcf-ptype="general"><strong>전세대 대비 전송 속도 소폭 향상</strong></p> <p contents-hash="63d1ab8f554aea459b00a5d79c2a8811a9b9fa0af78bd9b89349ec97bcc54fa7" dmcf-pid="888iGoSgoL" dmcf-ptype="general">씨게이트는 신제품 4종 공개와 함께 자체 측정한 성능 관련 수치도 공개했다. 최대 전송 속도는 초당 275MB로 전세대 대비 약 5MB 가량 향상됐다. 레이드(RAID) 등으로 여러 대를 엮으면 초당 500MB 이상 전송도 가능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762ae7e5468e45c10ae3fa1d53285e2dd6d3293321661bd534991bf1130ec42" dmcf-pid="666nHgvak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32TB 울트라스타 DC HC690 SMR HDD. (사진=웨스턴디지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32139anas.jpg" data-org-width="640" dmcf-mid="2l4y6G9Hc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32139ana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32TB 울트라스타 DC HC690 SMR HDD. (사진=웨스턴디지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1f3e701db1384f2a4bb06e4d703398f2bfd5ca24d63a5e692d920c851fcba58" dmcf-pid="PPPLXaTNoi" dmcf-ptype="general">경쟁사인 웨스턴디지털은 플래터 위에 여백 없이 데이터를 여러 번 겹쳐 써 기록 밀도를 높이는 SMR 방식을 이용한다. 플래터 장수를 줄이고 생산 단가를 높일 수 있지만 쓰기 성능이 떨어지고 장애 복구 등에 시간이 더 걸린다.</p> <p contents-hash="2e7131c25db1802d8def8cd5939a0c8a43e92a86f2ef75b4d35e188e431cac94" dmcf-pid="QQQoZNyjaJ" dmcf-ptype="general">반면 씨게이트 HAMR은 기존 CMR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해 성능이나 복구 난이도 면에서 기존 제품과 큰 차이가 없다. 가격은 아이언울프 프로 30TB가 125만원 선으로 책정됐다.</p> <p contents-hash="643956430ccacb06314e4cb829fc6931a60eacc330d0eacd5a1962e65f881d36" dmcf-pid="xxxg5jWAcd" dmcf-ptype="general"><strong>"30TB HDD, 데이터 주권 요구사항 충족할 것"</strong></p> <p contents-hash="b14e376f67b8c9fad8daaf7737c2c9d88b5096f3e6d9d20619bb6bd45bf994d5" dmcf-pid="yyyFnpMUNe" dmcf-ptype="general">대용량 데이터를 저렴하게 보관해야 하는 기업용 시장에서는 전체 데이터의 80% 이상이 여전히 HDD에 저장된다. 또 AI 보편화에 따라 모델 훈련과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AI로 처리를 거친 데이터 등 저장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예정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4a4eee569897c7fc4c10e243b43d5c23d195efcd649ccedfbe9afd1706210a7" dmcf-pid="W009wfj4c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씨게이트 대용량 HDD에 내장된 플래터 장당 기록 용량.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33534cmmn.jpg" data-org-width="640" dmcf-mid="1Wmy6G9Hc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60833534cmm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씨게이트 대용량 HDD에 내장된 플래터 장당 기록 용량.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1ec5a55c5174260452e8bbfafcc024d985d90b5582ab6dad137aa9764619bbf" dmcf-pid="Ypp2r4A8NM" dmcf-ptype="general">HDD 개당 저장 용량을 늘리면 같은 면적에서 데이터나 스토리지 수를 줄일 수 있고 소모 전력 절감도 가능하다.</p> <p contents-hash="598237d13538e5371a39438a36f467e6ea4f46905858895a883983af7076509e" dmcf-pid="GUUVm8c6Nx" dmcf-ptype="general">멜리사 밴다 씨게이트 엣지 스토리지·서비스 부사장은 "현재 전체 데이터의 90% 가량이 단 10개 국가에 저장되고 있지만 데이터 주권 관련 규정을 도입하는 국가와 지역은 150개 이상이며 30TB HDD는 AI 워크로드 처리를 위한 용량과 효율, 회복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b8f64b54b719eaf797f5d615ff581a1456e5771163330742e5078eb41b056bd3" dmcf-pid="Huufs6kPjQ" dmcf-ptype="general">권봉석 기자(bskw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TSMC, 내년 2나노 생산능력 2배 늘린다… 삼성전자는 빅테크 수주 ‘총력’ 07-16 다음 "과학기술 사이클 5년보다 길거나 짧아…정책 5년에 맞춰선 안돼" 07-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