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말라요”…토마토가 ‘비명’ 지르자 나방은 부화를 멈췄다 작성일 07-16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kGRr4A8Z9">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b6463e1407db3daa5539e6d560b1e40cb0dabd7fa6ed2e39efd013a1c9a9828" dmcf-pid="2EHem8c6X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EPA]"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61406200huqw.jpg" data-org-width="746" dmcf-mid="KuN3PH2X5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d/20250716161406200huq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EPA]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6dc3e8c6d848d20d351ecc8a2c312c933da526452c6e1bc32fe72db51047384" dmcf-pid="VDXds6kPYb"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주리 기자] 식물이 내는 소리에 동물이 반응하는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됐다는 과학 논문이 나왔다.</p> <p contents-hash="6df3df479f0b921226f491d7554b4967714088cfc9b69c5ebb57dda5a5396aa8" dmcf-pid="fwZJOPEQZB" dmcf-ptype="general">15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교의 한 연구팀은 토마토가 물 부족으로 고통을 겪고 있음을 나타내는 소리를 내면 암컷 나방들이 이 토마토 식물에 알을 낳는 일을 피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p> <p contents-hash="7751e826150924cef57c8c32d9dff3d3e2b816d8592d9b7a1e588aa73a71e210" dmcf-pid="4r5iIQDxtq" dmcf-ptype="general">이 팀은 2년 전에는 식물들이 고통을 겪고 있거나 건강하지 않을 때 특정한 소리를 내더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80c0bd51f840919a2a110e2f9e48a5f74d0d87a6530e2bd7153e4107da26060f" dmcf-pid="8m1nCxwMHz" dmcf-ptype="general">식물들의 이런 ‘비명’은 인간에겐 들리지 않지만, 많은 곤충, 박쥐, 그리고 일부 포유류에는 들린다.</p> <p contents-hash="b437ca14eeab229b5d72f53bf5c93831e974493a7c73ff648c4dbe6034576740" dmcf-pid="6stLhMrRX7" dmcf-ptype="general">텔아비브대의 요시 요벨 교수는 “식물이 내는 소리에 동물이 반응하는 것을 입증한 첫 사례”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c134213ebe718b2560a2030dde7081e78cf75a4cfd11fe102614d513af3db2e" dmcf-pid="POFolRme1u" dmcf-ptype="general">그는 이어 “현 단계에서는 추측에 불과하지만, 온갖 종류의 동물들이 식물에서 들리는 소리를 바탕으로 꽃가루를 옮겨줄 것인지, 식물 안에 숨을 것인지, 식물을 먹을 것인지 등 결정을 내리는 것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2ae301a9da32b7add94715c60d92bc51d966a615a0ac85485cb535c3eeb7abd" dmcf-pid="QI3gSesdGU"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나방들이 소리에 반응하는 것이지 식물의 모습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실히 하기 위해 주의깊게 통제된 일련의 실험을 실시했다.</p> <p contents-hash="91d80a4cd5b3c36f9b840971dfca35b398be2bf83968ac6d3b58daaf1950497e" dmcf-pid="xJO9oue7tp"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앞으로 서로 다른 식물들이 어떤 소리들을 내는지 연구하고, 또 다른 생물종들도 이런 소리들을 바탕으로 꽃가루를 옮겨줄 것인지, 식물 안에 숨을 것인지, 식물을 먹을 것인지 등의 결정을 내리는지 연구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88330ce6a16fe2c0a00bd08fde11409fd093d5ca6d893859c7faff4102e17d8b" dmcf-pid="yX2stcGkZ0" dmcf-ptype="general">요벨 교수는 “다양하고 복잡한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고, 이번이 첫걸음”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273da1579a7e5ddc73ebeaa9594e8e29351a63b80774d3facea56f0c79c27da" dmcf-pid="WZVOFkHEt3" dmcf-ptype="general">또다른 연구 영역은 식물들이 서로에게 정보를 전달, 갈수기에 물을 아끼는 것과 같은 식으로 반응하는지 여부라고 텔아비브대 릴라흐 하다니 교수는 BBC 뉴스에 말했다.</p> <p contents-hash="627b0861a6006a1de51b667af74e0db2816bd3604b0371ed0637e8cf6d570666" dmcf-pid="Y5fI3EXDXF" dmcf-ptype="general">그는 “이는 매우 흥미로운 질문”이라며 “만약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그에 대해 가장 걱정이 많은 생명체는 다른 식물로,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1e2ae9bb0b773456c300c540daf8e340b61ab0815f683524431d5bf8348bb600" dmcf-pid="G14C0DZwYt" dmcf-ptype="general">다만 연구진은 식물들이 의식을 지닌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BBC 뉴스는 전했다.</p> <p contents-hash="9dea598f19a291b1c40631527509020235a9b38aea4762fe912c817e5080170c" dmcf-pid="Ht8hpw5rX1" dmcf-ptype="general">식물들이 소리를 일부러 내는 것이 아니라, 식물이 처한 여건이 변화해 물리적 효과가 발생해서 소리가 난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4e3f7a8f27b2910cfa748aafc6dfd2ab824a1a5556c786df48b63cd18918d5c4" dmcf-pid="XF6lUr1mY5"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가 보여주는 바는 이런 소리들을 들을 수 있는 다른 동물들에 소리로 전달되는 정보가 유용할 수 있으며, 어쩌면 다른 식물들에도 그럴 수 있다는 점이다.</p> <p contents-hash="7908d8df0d5711ba99e47ea13294210c5398eb070971c71bdeb32fa59951a8bc" dmcf-pid="Z3PSumtsZZ" dmcf-ptype="general">만약 그렇다면 식물들과 동물들이 이런 소리들을 내고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면서 공진화(共進化·coevolution)해왔다는 것이라고 하다니 교수는 말했다.</p> <p contents-hash="6e1bb469661a07d73497d1469efae1d85e512cf0a10732b78a8108434e6d6f70" dmcf-pid="50Qv7sFOYX" dmcf-ptype="general">이런 연구결과가 담긴 논문은 오픈 액세스 저널 ‘e라이프’(eLife)에 작년 12월 게재됐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해저케이블 시장, 내가 잡는다"…LS전선·대한전선 '생산 능력 확대' 경쟁 치열 07-16 다음 벌 조종해 수색···매미가 캐논 연주···'사이보그 곤충' 기술이 뜬다 07-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