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V 공정서 수천억 손실 막는다...반도체 '톱5' 중 4곳이 쓴다는 '이것' 작성일 07-16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美 프랙틸리아 'FAME' 독자 SW기술로 스토캐스틱 오류 정밀 계측</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eaUhMrRoo"> <p contents-hash="2802b67d8446b05fd0a47d372a8f99482139ddec564d7bb96ae153e8c7366adb" dmcf-pid="PdNulRmeAL"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장경윤 기자)반도체 공정이 2나노미터(nm) 수준까지 미세화되면서, 기존 공정 제어로는 해결할 수 없는 '스토캐스틱(Stochasitcs)'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해당 오류는 EUV(극자외선) 공정 팹(Fab) 당 수천억원 규모의 수율 손실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 <p contents-hash="97f576a76aa8f86e551f8615643ab8f251e5c9ce6a881f719118d2d5f3385939" dmcf-pid="QJj7SesdNn" dmcf-ptype="general"><span>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프랙틸리아는 독자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스토캐스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상위 5대 반도체 기업 중 4곳이 프랙틸리아의 솔루션을 도입한 상황이다. High-NA(고개구수) EUV 등 차세대 공정에도 이미 활용되고 있다.</span></p> <p contents-hash="8d05d4b4cbbc5e768eadfd305fc886439c69f238fb891f7ac2cc2530a2440c46" dmcf-pid="xiAzvdOJki" dmcf-ptype="general"><span>프랙틸리아는 16일 국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반도체 수율 혁신을 위한 기술 로드맵을 발표했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ac7b2f259f5da4c1545abce23133a927a551da64e1a563d5038016ec90f1acf" dmcf-pid="yZUEPH2Xk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에드워드 샤리에 프랙틸리아 CEO가 기술 발표를 진행하는 모습(사진=장경윤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54043381recb.jpg" data-org-width="640" dmcf-mid="GwJFqI0Cj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54043381rec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에드워드 샤리에 프랙틸리아 CEO가 기술 발표를 진행하는 모습(사진=장경윤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3fa7b2a2171bdf9b96de0b801eeb063460ae57efffe0e95ac401a09c31e6c7e" dmcf-pid="W5uDQXVZad" dmcf-ptype="general"><strong>스토캐스틱 못 잡으면 EUV 공정서 '수천억원' 손실</strong></p> <p contents-hash="99725472af053f4cd14dac8e4232404ec0df693608f0d8bd987a6bf9d977f1ec" dmcf-pid="Y17wxZf5Ne" dmcf-ptype="general"><span>스토캐스틱은 </span><span>원자 수준의 미세한</span><span> </span><span>패터닝 </span><span>오류를 </span><span>뜻한다. </span><span>노광 공정(반도체에 회로를 새기는 공정)에</span><span> 활용되는 광자·감광액(PR) 등 여러 소재를 완벽하게 정밀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양산 과정에서 무작위적으로 발생하게 된다.</span></p> <p contents-hash="54e10adb578801cd92e418748eb81d065e75f9efd8982fe2e9fdc972cb618f4f" dmcf-pid="GtzrM541cR" dmcf-ptype="general"><span>스토캐스틱은 특히 EUV</span><span> 등 초미세 공정에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반도체 회로 선폭이 최소 3~2나노미터까지 줄어들면서, 미세한 결함으로도 반도체 수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대두됐기 </span><span>때문이다.</span></p> <p contents-hash="6ca27ba108382f627f1c6032b9b425bd07fec85599287788d47a96ac4dae49b2" dmcf-pid="HFqmR18toM" dmcf-ptype="general"><span>이로 인해</span><span> 팹당 수천억원 규모의 수율 손실, 초미세 공정 전환의 지연 등이 발생하고 있다는 게 프랙틸리아의 입장이다.</span></p> <p contents-hash="7e4c092f6fc6260ade791d7fdc392692729361000f1d1c28af7fdaf163bca5db" dmcf-pid="XpKIJ3Q0kx" dmcf-ptype="general"><span>에드웨드 샤리에 프랙틸리아 최고경영자(CEO)는 "연구개발 단계에서는 최소 12나노의 피처(웨이퍼 상의 미세한 </span><span>구조물) </span><span>구현이 </span><span>가능하나, </span><span>실제 </span><span>양산에서는 </span><span>보통 </span><span>16~18나노 </span><span>수준의 </span><span>피처만 </span><span>안정적으로 </span><span>생산할 </span><span>수 </span><span>있어 </span><span>스토캐스틱의 </span><span>해상도 격차</span><span> </span><span>문제가 </span><span>발생하게 </span><span>된다"며 </span><span>"만약 </span><span>스토캐스틱을 </span><span>줄이고자 </span><span>피처 사이즈를 </span><span>키우면, </span><span>칩 </span><span>면적이 </span><span>2배까지 증가해 </span><span>제품 </span><span>생산성이 </span><span>떨어지게 </span><span>된다"고 </span><span>설명했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b98dd5c60d33134d6cc0a2845e26fe911f256d146c40bf00f68364cbec94222" dmcf-pid="ZU9Ci0xpg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EUV 공정에서 12나노미터 수준의 피처에서 발생하는 스토캐스틱스 이미지. 라인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아, 피처 사이즈를 18나노미터대로 키워야(맨 우측)하는 문제가 발생한다(사진=장경윤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54044676rnyu.jpg" data-org-width="640" dmcf-mid="FK1q4WbYA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ZDNetKorea/20250716154044676rny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EUV 공정에서 12나노미터 수준의 피처에서 발생하는 스토캐스틱스 이미지. 라인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아, 피처 사이즈를 18나노미터대로 키워야(맨 우측)하는 문제가 발생한다(사진=장경윤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45cff51f8314e02a522f8dc7dde48bee66f3bdc2a9ef16e43657f8969a444e3" dmcf-pid="5u2hnpMUcP" dmcf-ptype="general"><strong>독자 알고리즘으로 스토캐스틱 정밀 측정</strong></p> <p contents-hash="8cc0d24311282fad457f50fea7d1ee0f3c4f0795fe3560232b1279ff68ae6872" dmcf-pid="17VlLURuN6" dmcf-ptype="general"><span>이에 프랙틸리아는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에서 고정밀 데이터를 추출해 스토캐스틱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FAME(Fractilia Inverse Linescan Model)를 개발해냈다.</span></p> <p contents-hash="e57623f5c79f70e4ba5431c8a0943fb08dd9c601a112a141447ec4ea4a4e8b80" dmcf-pid="tzfSoue7j8" dmcf-ptype="general"><span>일반 SEM은 노이즈(잡음) 현상이 발생해, 정밀한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SEM 이미지 상에 검은 반점이 보이는 경우 이것이 실제 패터닝 오류인지, SEM에서 발생한 노이즈인지 구분하기가 어렵다.</span></p> <p contents-hash="5697b4d9405cecd6d13daf30121d6082b3906a13c4266ecc4ec914638f863509" dmcf-pid="Fq4vg7dzo4" dmcf-ptype="general"><span>반면 프랙틸리아의 FAME은 SEM 이미지에서 고정밀 데이터를 추출하는 물리 기반 알고리즘을 활용해, 실제 피처(웨이퍼 상의 미세한 구조물)와 노이즈를 정확히 구분 및 제거할 수 있다. 해당 알고리즘은 프랙틸리아의 독자적인 특허 기술이다. 이를 통해 반도체 제조업체들은 보다 정확한 공정 진단 및 개선이 가능해진다.</span></p> <p contents-hash="040009474b35705cfe1f26dc3ca8383b7de42cd11908b8622634bbc737cefe25" dmcf-pid="3B8TazJqcf" dmcf-ptype="general"><strong>상위 5대 반도체 기업 중 4곳 채택…"High-NA EUV서도 활용"</strong></p> <p contents-hash="b7e4864e3e7930071e1b0046e95f0e03fdf702e90e559521395d784bf3edd63d" dmcf-pid="0b6yNqiBaV" dmcf-ptype="general"><span>이 </span><span>같은 </span><span>장점 </span><span>덕분에, 프랙틸리아의 FAME 솔루션은 상위 5대 반도체 소자업체 중 4곳, 5대 부품업체 중 4곳, 12개 이상의 감광액 제조사, 유럽 주요 반도체연구소인 아이멕(Imec)에 도입되고 있다.</span></p> <p contents-hash="fd6b24644f7b2d0206e17ee4bee17946d5dfe52b4a74dd3cd01d15fd049f8440" dmcf-pid="pKPWjBnbg2" dmcf-ptype="general"><span>구체적인 고객사 명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국내 반도체 기업들과도 긴밀한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국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EUV를 활용해 첨단 시스템반도체 및 메모리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다.</span></p> <p contents-hash="7e1f5eab4a82d2ad8e0f90d1507a89566c6491c7cc6163fc67a90e57a6b2cc32" dmcf-pid="U9QYAbLKk9" dmcf-ptype="general"><span>향후 High-NA EUV가 도입되는 시점에서 프랙틸리아 솔루션의 중요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span></p> <p contents-hash="943099c0c476e6468a8e772b223da6f5865d51bc7c9c1b7eeae35816512daf69" dmcf-pid="u2xGcKo9kK" dmcf-ptype="general"><span>High-NA EUV는 EUV에서 성능을 한 차례 더 끌어 올린 기술이다. NA는 렌즈 수차로, 해당 수치를 높일 수록 해상력이 향상된다. 기존 EUV의 렌즈 수차는 0.33로, High-NA EUV는 0.55로 더 높다. </span><span>덕분에 High-NA EUV는 2나노 이하의 차세대 파운드리 공정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span></p> <p contents-hash="9466ca9888d334ee4e2b763163671c8e0c821e48545c5b58f8d7d26b07bc1f96" dmcf-pid="7VMHk9g2jb" dmcf-ptype="general"><span>크리스 맥 프랙틸리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스토캐스틱은 High-NA EUV에서 더 중대한 문제가 될 수 있다"며 "해당 기술을 도입하려는 고객사들이 프랙틸리아의 솔루션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 이를 도입해 활용 중"이라고 말했다.</span></p> <p contents-hash="4596ecdf2d57ed98321cc38040c7afc9ca19ac238e6198e4e028b24594d1cdcb" dmcf-pid="zfRXE2aVoB" dmcf-ptype="general">장경윤 기자(jkyo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소유 "2년 만의 신곡, 본능과 감정에 충실해지는 순간 노래" [일문일답] 07-16 다음 이재용 ‘대법 선고 D-1’⋯ 10년 사법 리스크 털고 ‘뉴삼성’ 속도 낼까 07-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