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5G도 AI 맞춤으로 가야" 에릭슨, 6G 앞서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강조(종합) 작성일 07-16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16일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 기자간담회 "SA는 필수 인프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S8pVTqy52">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ad8122fa5ab1926fc2c72d0e3b0066e931233e4cbdc506a815b65a1e28fdd75" dmcf-pid="Hv6UfyBWt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시벨 톰바즈 박사(Dr. Sibel Tombaz) 에릭슨 코리아 파트너스 CEO가 16일 서울 HSBC빌딩에서 진행한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 기자간담회'에서 최신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Ericsson Mobility Report)'를 설명하고 있다.ⓒ에릭슨"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dailian/20250716135432841rmxs.jpg" data-org-width="700" dmcf-mid="WxBX7sFOG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dailian/20250716135432841rmx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시벨 톰바즈 박사(Dr. Sibel Tombaz) 에릭슨 코리아 파트너스 CEO가 16일 서울 HSBC빌딩에서 진행한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 기자간담회'에서 최신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Ericsson Mobility Report)'를 설명하고 있다.ⓒ에릭슨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83718788d3916e32e7ef4ea5cc7e24c737a6ddce6b52dbace0b710013b20c4f" dmcf-pid="XTPu4WbY1K" dmcf-ptype="general">생성형 AI(Gen AI) 확산이 네트워크 트래픽에서도 큰 폭의 구조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업링크 트래픽 비중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5G 네트워크 구조 혁신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p> <p contents-hash="4f3205e475125a24b35de3a85fa2b9fe110d54e2403cc796cd717166ec2e7d5b" dmcf-pid="ZyQ78YKGtb" dmcf-ptype="general">글로벌 통신장비 기업 에릭슨(ERIC)은 16일 서울 HSBC빌딩에서 진행한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 기자간담회'에서 최신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러한 전망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236b605ea3c90a5eeb625a002c545e2094463b540b04895ca6894580e99d6268" dmcf-pid="5Wxz6G9HHB" dmcf-ptype="general">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초 기준 생성형 AI 트래픽은 현재 전체 네트워크 트래픽의 0.06%에 불과하다. 그러나 트래픽 구성에서는 기존 패턴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p> <p contents-hash="8ca9157a1ea01558919e07cce1bdec952678ab46a34383fec1eff4ecc90f1ae0" dmcf-pid="1YMqPH2X5q" dmcf-ptype="general">전체 모바일 네트워크 트래픽이 일반적으로 다운링크 90%, 업링크 10%로 편중된 반면, 생성형 AI 트래픽은 다운링크 74%, 업링크 26%였다.</p> <p contents-hash="40adee00520ab99cc257306e27cd70032e2eb7546160015f33a99c109b7752eb" dmcf-pid="tGRBQXVZtz" dmcf-ptype="general">업링크는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예: 영상 업로드, 클라우드 파일 전송)하는 형태이고, 다운링크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데이터를 받는(예: 앱 다운로드, 웹서핑) 형태다.</p> <p contents-hash="287018cca036cca7b70b5ab442301307713652d01a2c7ceac40e5253bc08e98e" dmcf-pid="FHebxZf5H7" dmcf-ptype="general">예를 들어 챗GPT는 전체 AI 트래픽의 60%, 업링크 기준으로는 70%를 차지했다. 이 앱의 트래픽 분포는 다운링크 71%, 업링크 29%였다. 이는 AI 시대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임을 시사한다.</p> <p contents-hash="fee1d9469275021cefa41b12f0c54d4b93a6b48043c69c3d6c30ac88ff79a740" dmcf-pid="3XdKM541Xu" dmcf-ptype="general">이러한 양상은 더욱 고도화된 생성형 AI 스마트폰과 XR(확장현실) 기기, 대역폭을 많이 소모하는 신규 미디어 포맷 확산에 따라 진화할 것으로 보고서는 진단했다.</p> <p contents-hash="b290ac8384d0b84cac1586beb7f68911402804c86e7e98ead71db0b46e38bcc0" dmcf-pid="0ZJ9R18ttU"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신규 트래픽 증가를 수용하려면 정교한 네트워크 설계와 함께, 업링크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도록 미드밴드(중대역) 및 센티미터파 대역의 추가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07fdd2b757b9e92b7a4dbe0ad703de48d56a6f77db3755a84453002997d2deff" dmcf-pid="p5i2et6FHp" dmcf-ptype="general">예를 들어 AR 헤드셋과 같은 실시간 상호작용형 단말이 늘어날수록 업링크·다운링크 트래픽 모두의 실시간성과 안정성이 중요해진다.</p> <p contents-hash="8364b91afbc2bf6afbf0ebe46e7b059c980a3a18a902229d8e1c3e352802794b" dmcf-pid="U1nVdFP3Z0" dmcf-ptype="general">이러한 다양한 통신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과 같은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커넥티비티 구조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p> <p contents-hash="2e80ee0545db38145134cea22da2b0cb60dd26ccb06c343d7f67665c75bd89f6" dmcf-pid="umbZzO3I13" dmcf-ptype="general">네트워크 슬라이싱은 하나의 5G 네트워크를 서비스·산업별로 ‘가상 맞춤망’처럼 쪼개 각각의 필요에 따라 최적화된 연결을 동시에 제공하는 5G 핵심 기술이다.</p> <p contents-hash="4a3d0f5a01378ad66b5c5aab37c7a76517fde3b62b64ada3a4102f1688391034" dmcf-pid="zO91BCphGt" dmcf-ptype="general">시벨 톰바즈(Dr. Sibel Tombaz) 에릭슨 코리아 파트너스 CEO는 "향후 성장 잠재력을 위해서는 다목적 네트워크를 구현할 프레임워크를 필요로 한다"면서 "이를 구현하려면 실시간성과 일관성을 갖춘 버티컬 슬라이싱(산업 맞춤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aaaab178b34c8978d53ac04858ebfbc114bd29b60e473c60ab900de0a1341fe" dmcf-pid="qI2tbhUlH1" dmcf-ptype="general">여기서 에릭슨은 5G SA(Standalone)가 단순한 트래픽 전달 인프라를 넘어, 서비스 중심의 수익 모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4f8d921762399acae120f916d4f96c56b471c0ee463b66dc56f89d32ce707766" dmcf-pid="BCVFKluSH5" dmcf-ptype="general">5G SA는 4세대(LTE)망에 의존하지 않고 5G망만으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구조로, 국제표준기구 3GPP에서 정의한 글로벌 기술 규격이다. 에릭슨은 이 5G SA 기술을 상용화한 대표적인 장비업체 중 하나로, 전 세계 주요 통신사에 관련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0506c41e4f3d13627364325a7cb1d13d64ddc10b907b12d3dab37b60da9ee73" dmcf-pid="Kl402vzTG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시벨 톰바즈 박사(Dr. Sibel Tombaz) 에릭슨 코리아 파트너스 CEO(오른쪽)가 16일 서울 HSBC빌딩에서 진행한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응답에 답하고 있다.ⓒ에릭슨"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dailian/20250716135434250ttkc.jpg" data-org-width="700" dmcf-mid="YYbZzO3It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dailian/20250716135434250ttk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시벨 톰바즈 박사(Dr. Sibel Tombaz) 에릭슨 코리아 파트너스 CEO(오른쪽)가 16일 서울 HSBC빌딩에서 진행한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응답에 답하고 있다.ⓒ에릭슨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0c713bc2d070b1d02cd96dc0bfe49674a6357f8713693a71adc6a26110bdbb2" dmcf-pid="9S8pVTqyGH" dmcf-ptype="general">국내 통신사들은 SA 전국망 구축이 더딘 상황이다. 비단독(NSA) 모드에서도 일상적 5G 서비스 제공이 충분하고, 시장 수요도 뚜렷하지 않다는 것이 주요 이유로 꼽힌다.</p> <p contents-hash="5c9f6af73ac076a1c84a1275523e09d0f14f696bf90d0c4ccc8d9739567e5641" dmcf-pid="VTPu4WbYGY" dmcf-ptype="general">한국이 5G SA 도입에 속도를 내지 못한 배경으로 에릭슨은 주파수 정책 등 규제적 제약을 원인으로 지목했다.</p> <p contents-hash="5ee856e0648360fb60274bd12fbb1a4d1da880114adfba62ad6407df88396e92" dmcf-pid="fyQ78YKGHW" dmcf-ptype="general">시벨 톰바즈 에릭슨 코리아 파트너스 CEO는 "차별화된 커넥티비티 구현을 위해 FDD(주파수 분할 이중화) 기반 5G 기술을 활용한 전 구간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한국 시장은 규제에 묶여 있다 보니 SA 도입이 더디다. 올해에는 이런 상황이 개선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d98be7cac9f9f013a4fb32320b4f4022886b047e798cc236b2b0d261eb95ee3" dmcf-pid="4Wxz6G9Hty" dmcf-ptype="general">박병성 테크니컬디렉터도 "통신사들도 SA 전환에 고민할 것으로 본다. 전통 방식의 서비스로는 통신사 수익 구조 개선이 어려운 상황이니 SA 활용 서비스를 통해 추가 비즈니스 기회를 넓혀야 한다"면서 "주파수 상에서의 효율적 연동을 위해 통신사들이 6G 전 5G SA 단계를 거치는 것이 굉장히 효율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1829e96625547b5632e51ef476760b1834d20b8ad509ffebfa609ce2cd6fecd1" dmcf-pid="6GRBQXVZGv" dmcf-ptype="general">에릭슨은 앞으로 고객사들과 함께 글로벌 생태계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5G SA 기반 AI 패러다임 전환에 핵심적인 기여를 하겠다는 방침이다.</p> <p contents-hash="b190f2bb8c622cc9d54ce2a0802be9a625d2e06fe02c506ffe38448bd5beae90" dmcf-pid="Q4Cas6kPXl" dmcf-ptype="general">시벨 톰바즈 CEO는 "올해 MWC에서도 AR 글래스 등 다양한 AI 기반 기기들이 시연됐다. 여러 디바이스나 애플리케이션이 시장에 출시되더라도 SA망이 아니라면 이와 같은 기능이 동작할 수 없다. SA는 반드시 갖춰야 할 네트워크 인프라"라고 재차 강조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76세 한진희 근황…"요즘 전철 타는 법 배워" 07-16 다음 '두 도시가 만나 하나로'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메달 공개 [뉴시스Pic] 07-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