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연 개발 기술, 기업 이전 완결해야 국가 경쟁력 ↑ " 작성일 07-15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김영식 NST 이사장, 완결형 R&D로의 연구 패러다임 전환 강조</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UruwQDxj0"> <div contents-hash="31bf89c740d7f25e1dd57c2d96ba22c94ed7f14f947fe48de55086695951f586" dmcf-pid="Xum7rxwMN3" dmcf-ptype="general"> <p>"연구 성과가 실험실 수준에 머물지 않고 산업과 사회에서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수요-공급 간 간극을 줄이는 '완결형 R&D'로의 연구 패러다임 전환이 필수적이다." </p>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ce41dfa0ce1643a651a6348e4f63fdfd294520e62c8357ac8c7d88f52f736b9" dmcf-pid="ZCxhQFP3N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영식 NST 이사장이 15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출연연 기술사업화 정책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김 이사장은 연단에 설치된 마이크를 뽑아 들고 무대를 오가며 완결형 R&D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백종민 테크 스페셜리스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akn/20250715180233242xjnd.jpg" data-org-width="745" dmcf-mid="GVGPYjWAj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akn/20250715180233242xjn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영식 NST 이사장이 15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출연연 기술사업화 정책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김 이사장은 연단에 설치된 마이크를 뽑아 들고 무대를 오가며 완결형 R&D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백종민 테크 스페셜리스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873af5633f570bf8b82499ce1afd06652dbf1127f9f9a0002934631a09e15f9" dmcf-pid="5hMlx3Q0jt" dmcf-ptype="general">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은 15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완결형 R&D 실현을 위한 출연(연) 기술사업화 정책 심포지엄' 에서 직접 기조 발제를 위해 연단에 올라 축사가 아닌, 대한민국 R&D 역량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와 확보한 기술을 기업과 연계해 사업화 하기 위한 해법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e55971f82f930b0854c15662dbb4dfa46354dccd8202cbc9361c46f3d3157040" dmcf-pid="1lRSM0xpa1" dmcf-ptype="general">김 이사장은 연구개발비는 증가하는데 국가경쟁력은 하락하는 '연구개발 패러독스'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한국의 R&D 투자 비용은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임에도 불구하고, 성과는 아직 '밑바닥'에 머물고 있어 투자 대비 성과가 저조하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상황은 투자 비용 대비 성과가 선행적으로 상승하는 곡선을 그려야 하는 일반적인 경향과는 상이하다고 덧붙였다. </p> <p contents-hash="900bde0af6585517e78b1008717267f097ed200162f81b916aeca05c6fb0c4c9" dmcf-pid="tSevRpMUg5" dmcf-ptype="general">이를 해결하는 방안이 '완결형 R&D 체계 구축'이다. 기획 단계에서부터 연구 성과가 시장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엔드 포인트'를 고려하여 시작과 끝이 잘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는 게 김 이사장의 제안이다.</p> <p contents-hash="d30a74a97b6f96fd5823b77caa25bc3f0e76a174d7e97a26c24b4b70019e740f" dmcf-pid="FvdTeURujZ" dmcf-ptype="general">그는 연구자가 수요자의 관점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연구 수요와 공급간 연계를 위한 기술사업화 통합지원 플랫폼 NSMAP(Needs Supply Matchmaking Platform) 필요성도 힘주어 강조했다. 기존의 기술이전 전담조직(TLO)이나 벤처캐피탈(VC) 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장 논리에 따라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매치메이커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p> <p contents-hash="53e779b3b95d4809cd02bfccafdb36abf2520258352c8527e46a2b449eabd91b" dmcf-pid="3TJydue7gX" dmcf-ptype="general">김 이사장은 오프라인 연계를 위한 사이언스 비즈니스 메카(Science Business Mecca, SBM) 조성 필요성도 거론했다. NSMAP이 온라인 플랫폼이라면, 오프라인에서 필요한 가시적인 건물과 사람 간의 만남의 장소가 필요하며, 이를 '사이언스 비즈니스 메카'라고 명명했다. </p> <p contents-hash="9d9aee6ae0b14979203af704193ae4cc1b590d5053977922dd0e8499e7fc562a" dmcf-pid="0yiWJ7dzgH" dmcf-ptype="general">이날 심포지엄 발표자들도 같은 의견이었다. 손수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손수정 실장은 "건수와 기술료 중심의 기술사업화 정책을 도전적 기회와 사회·경제적 파급력 중심의 기조 전환을 제안하고, 기술사업화 전방위 지원 시스템 구축과 브랜드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p> <p contents-hash="f0ce4d3eddcd0e6a265e341352f84268037e1cd24569794b1ef06b9bb9bed0ee" dmcf-pid="pWnYizJqNG" dmcf-ptype="general">박성진 포항공과대학교 박성진 교수는 "실리콘밸리에서는 투자자인 VC가 빅테크들이 필요한 향후 5년간의 기술을 꿰뚫고 해당 기술에 대해 투자의뢰를 하고 있다"면서 기술 방향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성공적인 기술 사업화가 이뤄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p> <p contents-hash="49de3951768fd3594924c70721c1de98d18db5654f1b4e9d2f3abc16f23a4506" dmcf-pid="UYLGnqiBAY" dmcf-ptype="general">NST는 이번 심포지엄에서 확인된 현장의 다양한 의견과 공감대를 바탕으로 출연연 기술이 완결형 R&D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NSMAP의 본격적인 구축 준비와 세부 실행 전략 마련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p> <p contents-hash="602fa85ca2fb1a8789910bc3b34a940c694d91deea2b72f4a5e70bef0453e4fe" dmcf-pid="uGoHLBnbcW" dmcf-ptype="general">백종민 테크 스페셜리스트 cinqange@asiae.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실패 확률 높은 연구 기피하는 韓…中은 전력 다하면 책임 안 물어 07-15 다음 [단독] 네이버, MIT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이달 '1784'에서 테스트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