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사용시간 챗GPT 7.5배”…1020 꽂힌 토종 AI 서비스 인기 작성일 07-15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다양한 AI 캐릭터와 대화하며 즐기는 ‘제타’<br>월 사용자 챗GPT 6분의 1 수준이지만<br>사용 시간은 약 1000만시간 더 많아<br>뤼튼의 ‘크랙’과 채팅형 소설앱 ‘채티’ 등<br> AI와 감정적 교류하는 엔터테인먼트 앱 부상</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B1ZJK5rk1">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b0ef2351e83c9d2bbf7c0ee0a2599c96a62f03bfd5810c5957108737272a419" dmcf-pid="Wbt5i91ma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앱 데이터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추정한 AI 챗봇 앱 월 사용자 수 [출처 = 와이즈앱·리테일]"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mk/20250715154210711mxxw.png" data-org-width="700" dmcf-mid="QVtZJK5ro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mk/20250715154210711mxxw.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앱 데이터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추정한 AI 챗봇 앱 월 사용자 수 [출처 = 와이즈앱·리테일]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771dbc6fc5d568882256a50ee99d754655c115ee08a6bc8617d17de0c3db9042" dmcf-pid="YKF1n2tskZ" dmcf-ptype="general"> 지난달 한국에서 사용자들이 가장 오랜 시간 이용한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는 챗GPT가 아닌 스캐터랩의 ‘제타’였다. </div> <p contents-hash="560d91864f505e098956a18c12f5dfa630bf753fe2f325361ec8d9b612cf2aab" dmcf-pid="G93tLVFOaX" dmcf-ptype="general">사용자 수에서는 여전히 챗GPT가 압도적이지만, 제타처럼 AI 캐릭터와 대화를 주고 받으며 즐기는 서비스가 1020 세대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ad4a6733936f7e505bc49c2a1e995b7583d85f058e66acac328344969258c508" dmcf-pid="H20Fof3IcH" dmcf-ptype="general">AI 활용 패러다임이 단순 정보 검색과 생산성 향상을 넘어, 정서적 교감과 엔터테인먼트의 영역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p> <p contents-hash="4010d15dffc49bda9a0db339e9644f6393e48d88ccd08255393cee1ae4c7c2af" dmcf-pid="XVp3g40CoG" dmcf-ptype="general">15일 애플리케이션(앱) 데이터 분석 플랫폼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챗GPT가 월 이용자 수 1844만명으로 1위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be51d70e3eae1f82c8f219ea7a713d8218fc5aaa5f270179f5418b7e23df9b0f" dmcf-pid="ZfU0a8phoY" dmcf-ptype="general">그 뒤를 스캐터랩의 제타(304만명), 뤼튼(245만명), 퍼플렉시티(171만명)가 이었다. 앤스로픽의 클로드는 42만명,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xAI의 그록은 36만명을 기록하며 각각 8위와 9위를 차지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5c89ad36c3e9b44f4b18d06ac8a2c43514ba4b9a0e2954e385d3405350199d5" dmcf-pid="54upN6Ulg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앱 데이터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추정한 한국인의 AI 챗봇 앱 월 사용시간 [출처 = 와이즈앱·리테일]"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mk/20250715154211988fndl.png" data-org-width="700" dmcf-mid="xxdRWEe7o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mk/20250715154211988fndl.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앱 데이터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추정한 한국인의 AI 챗봇 앱 월 사용시간 [출처 = 와이즈앱·리테일]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5304d70ecf8fd23dc6657ab5cc1eca41d8b484b7359074d62c3fe310c313fe0e" dmcf-pid="187UjPuSNy" dmcf-ptype="general"> 다만 이용자들의 체류 시간을 비교할 수 있는 월 사용 시간에서는 제타가 5248만 시간을 기록하며 1위를 기록했다. 2위인 챗GPT는 4254만 시간을 기록했다. 또한 사용자 순위에서 10위를 기록했던 뤼튼의 AI 캐릭터 채팅 서비스 ‘크랙’은 사용 시간에서는 641만시간으로 3위로 올라섰다. </div> <p contents-hash="12bead63e585e8fb3f0a79f6a1dfdf0454519cd5cabd84085210498db9c28c5e" dmcf-pid="tQBzkMqyNT" dmcf-ptype="general">제타는 이용자들이 다양한 설정과 스토리를 부여한 AI 캐릭터를 제작하고, 다양한 캐릭터들과 상황극처럼 대화하면서 즐기는 일종의 게임이자 인터랙티브 웹소설 콘텐츠다.</p> <p contents-hash="62aec71df98d8a944121b4a784f0697276d38825df06503389b600780f927e90" dmcf-pid="FxbqERBWkv" dmcf-ptype="general">정보 검색이나 업무적인 용도의 활용이 많은 챗GPT와 다르게, 제타는 일종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 자리 잡으면서 사용자들의 이용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p> <p contents-hash="401c4c59f14bd01c584b21d523e754d448f252285753930176bd3bbf564c79fb" dmcf-pid="3MKBDebYaS" dmcf-ptype="general">이용자 1명당 월평균 사용 시간을 추산해보면 챗GPT 이용자는 월평균 약 2.3시간을 사용한 반면 제타 이용자는 월평균 17.3시간가량을 제타 이용에 쏟은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639a0f407f9b884fd63434669d7cbbb74d76499ef02f27d833304230b8a19fe0" dmcf-pid="0R9bwdKGAl" dmcf-ptype="general">이러한 흐름에는 AI에 상대적으로 친숙하고 심리적 저항감이 낮은 10·20 세대 이용자들이 있다. 제타의 경우 전체 이용자 중 10대와 20대 이용자가 거의 9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p> <p contents-hash="d11f69bb4e70d99e20eaf944043d580748c261bd1a6ba13a97fda42a949f7529" dmcf-pid="pe2KrJ9Hoh" dmcf-ptype="general">제타뿐만 아니라 뤼튼의 크랙 등은 이용자가 AI의 말투부터 성격, 세계관 등을 세부적으로 설정한 뒤 원하는 캐릭터와 감정적인 교류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p> <p contents-hash="7497fe117b00d847bab9228a96a6bbd9792bdc1ba637db24c67a384d6cc2c94b" dmcf-pid="UdV9mi2XgC" dmcf-ptype="general">AI 사용이 익숙한 젊은 세대는 이러한 캐릭터들과 마치 친구나 연인처럼 대화하면서 유대감을 쌓는 패턴을 보이면서, 이같은 앱들의 인기가 이어지는 모양새다. 제타에서 AI 캐릭터 순위를 보면 젊은 세대를 겨냥한 ‘고등학교 일진녀’와 같은 학원물 캐릭터들의 인기가 높다.</p> <p contents-hash="40e6632b380f00125859879f1b26b80f44d2bcf094af1b54c14c4f94aeaac1ef" dmcf-pid="uJf2snVZaI" dmcf-ptype="general">한편 사용 시간에서 5위를 기록한 ‘채티’ 또한 채팅형 소설 앱으로, 이용자들이 AI와 대화하면서 웹소설을 읽는 새로운 포맷이다.</p> <p contents-hash="2b97ba33fb593270eddd676f7c018aa9b0938dda75adc35652a416e8d20955c9" dmcf-pid="7i4VOLf5cO" dmcf-ptype="general">네이버웹툰 또한 웹툰 속 캐릭터를 AI로 구현해 이용자들이 캐릭터와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릭터챗’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용자의 약 절반이 10대인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출연연 기술 사업화 중요한데… 예산·인프라·지속성 모두 부족" 07-15 다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486] 럭비에서 왜 ‘럭크’라고 말할까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