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 데몬 헌터스> '국밥 고증', 이렇게 나왔습니다 작성일 07-15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애니메이터가 전하는 무대 뒤 이야기 케이팝></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ZCUIo41EF"> <p contents-hash="98981f79340d935e2447f5e6f6c25787557085e8bda3532fa7e717988c5049e4" dmcf-pid="t5huCg8trt" dmcf-ptype="general">[정철민 기자]</p>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7d565923dcd85bbb394716f38fd5abb4cbc0bb08d279e8884d30dd0839f57355" dmcf-pid="F1l7ha6FD1"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ohmynews/20250715115712550zfvg.jpg" data-org-width="768" dmcf-mid="Zf58ZsLKD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ohmynews/20250715115712550zfvg.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케이팝 데몬 헌터스 공식 포스터</td> </tr> <tr> <td align="left">ⓒ Netflix</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97a01e46bd618bf233b5faf0b2ccf4d0670ca1d8d6d11fe362a161882795d219" dmcf-pid="3tSzlNP3E5" dmcf-ptype="general"> 케이팝은 더 이상 음악만의 영역이 아닌 듯하다.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가 되었고, 시각적인 스타일, 퍼포먼스, 세계관까지 아우르는 거대한 콘텐츠 산업으로 성장했다. 그 문화적 확장은 이제 애니메이션으로 이어지고 있다.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제작하고 넷플릭스가 공개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바로 그 예다. </div> <p contents-hash="16a9520cac8aed873c1abc6a01584f30acb41f7b294aa43a5499130f524996d9" dmcf-pid="0FvqSjQ0rZ" dmcf-ptype="general">케이팝 걸그룹이 악령을 퇴치한다는 독창적인 설정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빠른 호흡의 이야기 전개와 역동적인 액션, 세심하게 배치한 한국 문화적 요소, 남녀노소의 귀를 사로잡는 대중적인 음악으로 공개 직후 전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았다.</p> <p contents-hash="e06e996ffccdcc1f123fff9db6387caa04f33c707977d735b9fe47bf434dd93d" dmcf-pid="p3TBvAxpEX" dmcf-ptype="general">나는 애니메이터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제작에 참여해 크레디트 타이틀에 이름을 올렸다. 3D 애니메이터는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직업이다. 영화에서 배우가 표정과 동작으로 맡은 배역을 연기하듯, 애니메이터는 디지털 공간에서 캐릭터가 어떻게 움직이고 어떤 감정을 어떻게 표현할지 설계한다. 즉, 캐릭터를 연기하게 만드는 셈이다.</p> <div contents-hash="ef67dfdb20819ce4fdd7c081f8923d02f958e1202296cde2ce5b93112a584966" dmcf-pid="U0ybTcMUwH" dmcf-ptype="general"> 캐릭터의 표정, 손동작, 몸의 무게 중심, 리듬과 템포까지 조율하며 장면에 맞는 감정선과 동선을 만든다. 애니메이션 속 몇 초를 위해, 애니메이터는 며칠 혹은 몇 주를 작업하고 수정하고 또 수정한다. 작은 움직임 하나로 감정을 전달해야 하는 것은 이 일의 어려움이자 가장 큰 매력이기도 하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a8ceb3646de835156c9530a2970548a9ebe3095b750783135da47aa74299b4e2" dmcf-pid="upWKykRuDG"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ohmynews/20250715115712836lykc.jpg" data-org-width="1920" dmcf-mid="54ybTcMUE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ohmynews/20250715115712836lykc.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한 장면.</td> </tr> <tr> <td align="left">ⓒ 넷플릭스</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6e341c5822ac051650f9c476e274d34fc428bfe23c664b53c312f2fb8e05bc60" dmcf-pid="7zXfHriBwY" dmcf-ptype="general">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내가 작업한 장면 중 특히 반응이 좋았던 건 진우의 감정 신과 귀마를 막는 엔딩 신이다. 감정 신에서는 눈빛, 입술, 손가락의 미세한 떨림 등을 섬세하게 표현하려고 노력하는데, 이를 위해 애니메이터는 다른 영상물을 찾아보거나 직접 레퍼런스 영상을 찍기도 한다. 나 역시 루미와 진우가 감정적으로 대립하는 장면을 작업하기 전, 해당 장면에서 루미를 작업한 다른 한국인 애니메이터와 직접 레퍼런스를 찍었다. </div> <p contents-hash="a0eda3ac3381b601b27d5ecf2481286a5a39b46414485c4df0c8812a73a91926" dmcf-pid="zqZ4XmnbEW" dmcf-ptype="general"><케이팝 데몬 헌터스>에는 다수의 한국 애니메이터가 참여했으며, 현장에서는 한국 문화에 대한 디테일을 살리기 위한 의견이 자유롭게 오갔다. 이러한 의견들이 실제 제작에 반영되는 과정은 매우 인상적이었다.</p> <p contents-hash="7fc3c00438b5b45a12d2c6f784eb90c2ec7d6f0a3db49c9e483973b441023d04" dmcf-pid="qB58ZsLKsy" dmcf-ptype="general">그중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건 국밥집 장면의 냅킨 에피소드다. 초기 콘티에는 수저받침이 놓여 있었지만, "한국 국밥집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저받침을 사용하지 않는다"라는 내 의견이 반영되어 냅킨으로 교체되었다. 그 당시에는 너무 사소한 것까지 의견을 낸 거 같아서 조금 민망하기도 했지만, 작품이 공개된 후 고증이 훌륭하다는 반응을 들었을 때는 괜히 뿌듯했다. 이것 외에도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는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의 문화적 디테일 제안이 많이 반영되었다.</p> <p contents-hash="2d135ded7fecf516b3b7569331226a9a55b430a396a16f8aaaff631ce9ba1600" dmcf-pid="Bb165Oo9rT" dmcf-ptype="general">공개 후 몇 주가 지난 지금,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전 세계 넷플릭스 영화 부문 1위, 넷플릭스 93개국 Top 10 진입 등 글로벌 흥행을 이어가고 있으며 수록곡들은 빌보드와 스포티파이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며 한국 콘텐츠의 세계적 영향력을 다시 한번 보여주고 있다.</p> <p contents-hash="2bfbb50035d66e686ef66e4abd600d1ac68c7549ddc30197c0aff79f76d499ea" dmcf-pid="bKtP1Ig2mv" dmcf-ptype="general"><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단순한 흥행작을 넘어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디지털 서사로 확장한 사례로 기억될 것이다. 귀신을 쫓는다는 전통적 모티프에 케이팝의 현대성을 접목한 이 작품은 한국적 상상력이 어떤 방식으로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지 보여준다. 이런 작품에 참여했다는 것은 기술적인 작업을 넘어 문화적 메시지를 전한 일처럼 느껴진다. 물론, 한 편의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람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내가 한 일은 그중의 아주 작은 부분이겠지만, 한국 애니메이터로서 한국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데 이바지했다는 것, 그것이 내가 이 작품에 갖는 자부심이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비혼모' 사유리, 위독한 건강 상태…"귀신이 위에서 찍어 눌러" ('귀묘한') 07-15 다음 [AI 리더스] 이동학 코코링크 대표 "국산 AI 칩 자립"…3년 내 범용 프로세서 상용화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