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디지털 자산 대중화 원년” 업비트 앞다퉈 서비스 내놔 작성일 07-15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slD5i2Xz9">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1c498235db8811fe1dc122fa241eb0c05580707bbf74f6d7a7134d5feb55790" dmcf-pid="uOSw1nVZU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업비트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ned/20250715104644565zbwk.png" data-org-width="1280" dmcf-mid="0rLQwqHE7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ned/20250715104644565zbwk.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업비트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6d0c05f272dc81dcb9d0b6cbcb54f615af316988cdb7a43b84609b1b5b24d40" dmcf-pid="7IvrtLf5ub"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박세정 기자] 디지털 자산 투자 비중이 늘어나면서 국내 1위 거래소 업비트가 잇따라 관련 서비스를 내놓으며 투자자들의 수요에 발맞추고 있다.</p> <p contents-hash="d2ac56ca46a7199ce770f13a4ecfec0ac762b65b556f842a28d6781a658934d0" dmcf-pid="zCTmFo41FB" dmcf-ptype="general">국내 디지털 자산 투자자가 약 1000만명을 기록했다. 원화 스테이블 코인 도입 필요성을 주장했던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면서 국내에서는 스테이블 코인을 비롯한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는 모양새다.</p> <p contents-hash="4548bfaa43e8668015fc94c7a6faad6bb2652f3ec23804bdea5e9a79f136da1f" dmcf-pid="qhys3g8t7q" dmcf-ptype="general">특히 하나금융연구소가 지난달 20~50대 금융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간한 ‘2050세대 가상자산 투자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초기 단기·비정기 투자 위주였던 디지털 자산 시장은 장기·정기 투자 위주로 변화하며 투기에서 투자로 인식이 변화했다. 또한 50대 투자자의 절반은 노후 준비를 목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자산 투자자의 75%는 초기 300만원 미만으로 투자를 시작했지만, 현재는 42%가 누적 투자액이 1000만원 이상이었다.</p> <p contents-hash="a0d57b367f584043fefd8897fb77ad00b3a2d8549098e469f6fdd79d27a79220" dmcf-pid="BlWO0a6Fuz" dmcf-ptype="general">업비트는 건전한 투자 시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이러한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에 발맞추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p> <p contents-hash="a80561e1e5d90a104a33c842f4aa15d818a582ee60dd5e1bae9470bfc6db4ee5" dmcf-pid="bSYIpNP3U7" dmcf-ptype="general">업비트는 지난해 8월 ‘코인 모으기’ 서비스를 선보였다. 코인 모으기는 증권 시장에서 있던 ‘적립식 투자’ 형태를 띤 것으로, 투자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일정, 금액에 따라 디지털 자산을 자동으로 주문할 수 있는 적립식 자동 투자 서비스다. 코인 모으기 서비스는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종목을 꾸준히 투자해 이익을 낼 수 있어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서비스로 꼽힌다. 현재 업비트에서 코인 모으기가 가능한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엑스알피(XRP) ▲솔라나(SOL) 총 4종이며 향후 확대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5240802d8ba4345c24b978d91373177a84040a7dc5392f4c56029dbcacee7770" dmcf-pid="KvGCUjQ00u" dmcf-ptype="general">이외에도 업비트는 고객이 디지털 자산을 블록체인 운영에 활용하도록 맡기고, 그 대가로 보상을 지급받는 서비스인 ‘스테이킹 서비스’도 2022년부터 제공하고 있다. 업비트 스테이킹이 가능한 디지털 자산은 현재 ▲이더리움(ETH) ▲코스모스(ATOM) ▲에이다(ADA) ▲솔라나(SOL) ▲폴리곤에코시스템토큰(POL) 등 총 5종이다. 최근(7/4 기준) 가장 높은 보상률을 보인 디지털 자산은 코스모스로, 연 추정 보상률이 약 2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15dd52407144997d0def156bfd6bd0ac681de71be19a91ad4768965597c812c" dmcf-pid="9THhuAxpz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업비트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ned/20250715104644835aoyc.png" data-org-width="1280" dmcf-mid="pA1TBDdzz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ned/20250715104644835aoyc.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업비트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bbe4ba032ccf01c9df2921e9de6297749e16e7a9c7d02ff53654dd62c8da487" dmcf-pid="2yXl7cMUFp" dmcf-ptype="general">특히 디지털 자산 시장의 투자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도 내놓고 있다. 업비트는 증권 시장의 코스피(유가증권시장) 지수가 있듯, 디지털 자산 시장에도 거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수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국내 거래소 최초로 2018년부터 디지털 자산 지수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p> <p contents-hash="ca8932da40a21757e3f5d21dc7464a59115b4d95c4ded40f5416dbde5e53f375" dmcf-pid="V50G2sLKu0" dmcf-ptype="general">디지털 자산 업계 관계자는 “디지털 자산 시장이 커질수록 거래소들은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이라며 “디지털 자산 투자에 필요한 정보들을 더 편리하고 쉽게 제공하려는 노력 또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현장]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 "성능보다 실행"…생성형 AI '실전 적용' 07-15 다음 “단 한 번 촬영→초고속 정밀분석” GIST, 초소형 AI 분광 센서 개발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