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번 촬영→초고속 정밀분석” GIST, 초소형 AI 분광 센서 개발 작성일 07-15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이흥노 교수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MXTBDdz3A">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64a6e72126c8723e323e20b955f557c28bd69d4da53193825910a41ba54abfc" dmcf-pid="9RZybwJq0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동전 크기와 비교한 연구팀이 개발한 초소형 센서 시제품.[GI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ned/20250715104651057yhcq.jpg" data-org-width="1280" dmcf-mid="7dLRsK5r0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ned/20250715104651057yhc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동전 크기와 비교한 연구팀이 개발한 초소형 센서 시제품.[GI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6bdf6aaff498f5c2aca1521dbd5c401184ad41f6673efb5cdecc4174b6bc6ec" dmcf-pid="2e5WKriBFN"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이흥노 교수 연구팀이 다층 박막 필터 기반 초소형 센서에 인공지능(AI) 복원 알고리즘을 결합, 단 한 번의 이미지 촬영만으로 정밀한 스펙트럼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는 신개념 계산 분광기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da091b1fbe5e6f4f35e617c2ed8f97dc266c4241c567088e468989886608f855" dmcf-pid="Vd1Y9mnbza"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에서는 AI 복원 알고리즘을 정밀 설계하고 시스템 전체를 최적화함으로써 측정 정확도와 처리 속도를 대폭 향상시켰다.</p> <p contents-hash="66ead99a3150ef668126d57bc2d7ece6aa8f90326b1da887aedea91dd02c820d" dmcf-pid="fJtG2sLKFg" dmcf-ptype="general">특히 광학 신호를 필터 단위로 압축 측정한 뒤, AI를 통해 전체 스펙트럼을 복원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융합 구조를 실제로 구현함으로써, 기계적 스캔 없이도 고정밀 파장 분석이 가능한 초분광 융합 기술을 완성했다.</p> <p contents-hash="088cee4fe6be5e3178167e039f1378e102649df91d3677e063c2e17f2e2be7a9" dmcf-pid="4iFHVOo9Fo" dmcf-ptype="general">기존 분광기의 한계를 뛰어넘는 고정밀·저전력·소형화를 동시에 실현했으며, 모바일 기기나 현장 진단 센서 등 차세대 광학 센서 플랫폼으로서의 활용 가능성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p> <p contents-hash="1601fc52f6ef5ffb4046a66e05866a6686c2b54f6041781c7e09d5980a87d92b" dmcf-pid="8n3XfIg2pL" dmcf-ptype="general">분광기는 물질이 빛과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는 고유한 파장 특성을 분석해 성분·구조·상태 등을 비침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핵심 분석 장비다. 의료 진단, 식품 품질 검사, 환경 오염 감시, 예술품 감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분석을 위한 필수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p> <p contents-hash="a3907963dc3a6f759af7afee00bad7ccbb44355d05a3bcd74a69af8e9caa9f57" dmcf-pid="6L0Z4CaVUn" dmcf-ptype="general">하지만 기존 고해상도 분광기는 정밀한 파장 분석을 위해 크고 무거운 기계적 장치를 필요로 하고, 복잡한 구조와 긴 측정 시간 때문에 실시간 현장 적용에 제약이 많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0067c081d117ec38e56cec614c87ebd4e1a1f5a6554774470f17fb08ca3586a" dmcf-pid="PrVqnZOJ0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안된 계산 분광기 실험 구성 및 센서 시제품(광원과 필터 어레이, 검출기 배열이 정밀하게 정렬된 측정 환경).[G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ned/20250715104651435sqbz.jpg" data-org-width="1280" dmcf-mid="q7nMmbZw0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ned/20250715104651435sqb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안된 계산 분광기 실험 구성 및 센서 시제품(광원과 필터 어레이, 검출기 배열이 정밀하게 정렬된 측정 환경).[G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e8ec5f3e46eaa33a7c84238a88018c9d70d1aeef971198e38eba36d5be2790a" dmcf-pid="QmfBL5IizJ"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다층 박막 필터 기반의 초소형 필터 센서와 U-Net 기반 AI 복원 알고리즘을 결합한 새로운 계산 분광기 구조를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입증했다.</p> <p contents-hash="65a794c6aa47bcef6b7d9cd1f3ce6ed3f08a9beef3322406e20c04ae6e7f242e" dmcf-pid="xs4bo1Cn7d" dmcf-ptype="general">굴절률이 다른 이산화타이타늄(TiO₂)*과 이산화규소(SiO₂) 박막을 조합해 36개의 서로 다른 필터를 설계하고, 이를 6×6 배열로 구성해 상용 CMOS 이미지 센서 위에 장착했다.</p> <p contents-hash="ee36d2589864a6113e6b3ededddb6993eb687d7dfebd701d0b5cb652fd125b68" dmcf-pid="y9hrtLf5ze" dmcf-ptype="general">이렇게 제작된 센서는 단일 이미지 촬영만으로 500~850nm 범위의 파장 정보를 필터 단위로 분산 측정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e30c061f3593ca9ffb16267e40dd14c81ef922704bd6d07e3528dc79a7e8af55" dmcf-pid="W2lmFo41uR" dmcf-ptype="general">총 3223개의 실측 스펙트럼 데이터를 학습한 이 모델은 기존의 최적화 기반 방식보다 빠르고 정밀한 복원이 가능하며, 단일 촬영만으로 전체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비스캐닝* 구조를 구현해 측정 속도를 높였다.</p> <p contents-hash="c07d528d00ef67fc24d83893722025b1652670c852fb24c272f2080e88a3360a" dmcf-pid="YVSs3g8t7M"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해 다층 박막 필터의 구조적 균일성과 높은 제조 수율도 확인했다. 센서의 전체 크기를 4.5×4.5mm² 으로 줄여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기기, 현장 진단 플랫폼 등 다양한 응용 환경에 직접 탑재할 수 있는 수준의 초소형화를 실현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556cca8e603a5ccd2b9b60818f8eb289c038ae89a5b6e1206f056f09c427e2" dmcf-pid="GfvO0a6Fp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최영인(왼쪽부터)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학생, 이흥노 교수, 데이비드 사뮤엘 바티 연구원.[G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ned/20250715104651695xxuy.jpg" data-org-width="1280" dmcf-mid="bB3XfIg23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ned/20250715104651695xxu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최영인(왼쪽부터)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학생, 이흥노 교수, 데이비드 사뮤엘 바티 연구원.[G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785c1209ea8349409f132af0ccc873456f39fbb0a5475110460aa4fbb8c429f" dmcf-pid="H4TIpNP33Q" dmcf-ptype="general">향후 모바일 의료 진단, 식품 안전 검사, 위조 문서 판별,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차세대 정밀 광센서 플랫폼으로 주목된다.</p> <p contents-hash="08c0526ded29f68300ccba13c9f24bad4a4573de6412b2541e12b47c37df387a" dmcf-pid="X8yCUjQ0UP" dmcf-ptype="general">이흥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초소형 하드웨어와 AI 알고리즘을 통합해 계산 분광기의 정밀도와 효율성을 동시에 끌어올린 사례”라며 “향후 거대언어모델(LLM)과도 결합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 내부에 장착한 초분광 카메라로 건강 상태나 식품 품질을 스캔하고, 그 결과를 자연어로 실시간 안내받는 사용자 경험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d8e74da03d8ebce09fd1600b263417ec242224a71ab130d2f67a361efcdfc4f" dmcf-pid="Z6WhuAxp76"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7월 1일 게재됐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2025년 디지털 자산 대중화 원년” 업비트 앞다퉈 서비스 내놔 07-15 다음 피겨 김채연, 올림픽 프로그램으로 '태극기 휘날리며' OST 선택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