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위성통신 컨퍼런스 개최…산학연관 협력 생태계 조성 작성일 07-15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WhjPL5IiG8">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e6c73e94e9267511af8f3153ab8de293c58a4e5cd40cd0b9a261de92a503ae4" dmcf-pid="YlAQo1CnY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저궤도 위성통신"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etimesi/20250715100249623ulan.jpg" data-org-width="647" dmcf-mid="yuXmyQ7vY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etimesi/20250715100249623ula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저궤도 위성통신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3e9e75e98a24fbb08473084cd469e972f49744128d542fe036f0359f155dc72" dmcf-pid="GScxgthLZf" dmcf-ptype="general">올해 스타링크와 원웹 등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의 국내 도입을 앞두고 최신 기술과 시장 동향을 공유하고 생태계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p> <p contents-hash="402302c80e2ae9342a8e84bcaa99940fe1435121af5dd73cc9664190f1643aae" dmcf-pid="HvkMaFloXV"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6G 위성통신 2025 컨퍼런스'를 개최했다.</p> <p contents-hash="a6d45362e4062d47573a28203729424ccb180650dfbe15b0ee45d6da80d31d95" dmcf-pid="XTERN3Sg12" dmcf-ptype="general">올해로 4회째를 맞이한 이번 컨퍼런스는 6세대 이동통신(6G) 표준 기반 위성통신 기술개발을 위한 국내 산·학·연·관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행사다.</p> <p contents-hash="3ef92f10bc11e5c77fe16551bf3cf77f771d93d68deda9f8f0496adebb51693c" dmcf-pid="ZyDej0vaZ9" dmcf-ptype="general">올해는 '우주를 향한 대한민국의 도약!! 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원년의 해'를 주제로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관계자 등 국내외 위성통신 전문가와 기업 관계자 약 350명이 참석했다.</p> <p contents-hash="d331b56bc1f038f560242532969205b417ddbb25390cc41367ae8272cf091426" dmcf-pid="5jx74CaVGK" dmcf-ptype="general">특히 올해는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동시에 6G 표준 기반 기술개발이 시작되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p> <p contents-hash="44ff235ab7ffa3050893daabf4bcad8ed228a09815eef7637a51d215f2ed25c7" dmcf-pid="1AMz8hNfHb" dmcf-ptype="general">이번 컨퍼런스는 차세대 위성통신 개발 전략 및 글로벌 동향, 위성통신 표준화 및 기술 동향, 저궤도 위성통신 국내 서비스 및 기술 동향, 6G 표준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혁신 기술 등 4개 세션으로 구성됐다.</p> <p contents-hash="bc14264dddb3473ac59f62e6cc7c07c43f6dad0131a6cdb5a2ca11e557e86084" dmcf-pid="tcRq6lj45B" dmcf-ptype="general">이어진 패널토의에서는 우리나라가 보유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위성통신 부품·장비·단말 등 분야별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공급망에 진출하기 위한 실질적 방안들이 활발히 논의됐다.</p> <p contents-hash="757074de7223c7e504787daf68598cec8eaebcf411df7523d8f43aa3bb8bb2a6" dmcf-pid="FkeBPSA8Zq" dmcf-ptype="general">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이번 컨퍼런스가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공공부문이 6G 저궤도 위성통신의 나아갈 방향과 함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교류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면서 “6G와 저궤도 위성통신을 AI 기반 사회의 핵심 인프라로 전략적으로 연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9392273789ece2dd0635df405facd2fdbf5c83a02af4b529b44b4baf64d4e941" dmcf-pid="3EdbQvc6tz" dmcf-ptype="general">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6G 초연결 통신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술자립화를 통해 위성통신 상용화 및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겠다”면서, “우주항공청도 지속적 소통과 협력을 통해 6G 위성통신 분야의 발전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0cbb9420df49dd275ad365d638dc40f75bef3d1d16c3dd07d7392c1b2ed25a0" dmcf-pid="0DJKxTkPX7" dmcf-ptype="general">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KT, 정보보호에 향후 5년간 1조원 투자 07-15 다음 미국에서 돌풍 일으킨 '킹 오브 킹스', 한국서도 기록 쓸까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