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정보보호에 향후 5년간 1조원 투자 작성일 07-15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LlhXdKGH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bca9f4d494d09c04085b56030e23ed60fe7569dcfb8cabb17c8046e13cdfa3d" dmcf-pid="qoSlZJ9Ht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etimesi/20250715100244595myoz.png" data-org-width="300" dmcf-mid="7FsmyQ7v5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etimesi/20250715100244595myoz.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48791580a113883be48a82c387c2a605a8311f193be1864b112268a87e2f4ce" dmcf-pid="BgvS5i2X53" dmcf-ptype="general">KT가 정보보호 분야에 향후 5년간 1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국내 통신사 중 최대 규모다. KT는 투자 규모 확대를 통해 고객이 안심하고 통신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보보호체계를 혁신한다는 구상이다.</p> <p contents-hash="655583360ccead1b78738591c51b2fc913922f1d41a48f0bb66be1fe08b6abce" dmcf-pid="bzJdApTNGF" dmcf-ptype="general">KT는 연간 1250억원 규모의 정보보호 투자액을 연간 2000억원 규모로 늘린다. 이를 통해 AI 모니터링 체계 강화, 글로벌 협업 및 진단 컨설팅 확대, 제로트러스트 체계 완성, 보안전담인력 확충이라는 4대 정보보호 혁신에 나선다.</p> <p contents-hash="6b9e4a9672e774b89e7a255ca24ce2b7c46d66b0710c9b47573f99a764b58b99" dmcf-pid="KqiJcUyj1t" dmcf-ptype="general">특히 KT 고유의 보안 프레임워크인 'K-Security Framework'를 운영해 고객 개인정보 보호 전 과정에 대한 철저한 통제에 나선다. 해당 프레임워크는 내부 보안 이해도를 기반으로 공격자 관점의 침투테스트를 수행하는 'K-Offense'와, 다양한 공격 표면에 대한 기술적·관리적 통합 보안 대응 체계인 'K-Defense'로 구성된다.</p> <p contents-hash="badff531fec686c8aba66fe246dcb64c5d776c7b07f9c0a4aa98319ae8a07d76" dmcf-pid="9BnikuWAX1" dmcf-ptype="general">KT는 이를 통해 단순한 방어가 아닌, 예측하고 차단하는 '막을 수 있는 보안'을 실현한다. 또한 정기적 모의해킹과 취약점 개선활동을 정례화하며, 3자 정보보호 점검을 통해 외부 위협요소를 사전에 예방한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901e57aee9277e09fbe6fb9e121e649b414d5411c6f7b56f3cb8f8a547060607" dmcf-pid="2bLnE7YcH5" dmcf-ptype="general">또한 정보보호를 위해 전사적 기술역량과 관제 인프라를 동원한다. 글로벌 보안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AI 기반 미래 보안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전문가와 인력을 확보해 대응체계를 만든다. KT만의 전국 365일 24시간 통합 네트워크 관제 인프라를 기반으로 국내 최초로 IT와 네트워크 통합 사이버보안센터를 구축해 운영한다.</p> <p contents-hash="28ff723bb814cc6deaf7db1ada5b8a4652b2e27589ad79ca951333e6cf64232a" dmcf-pid="VKoLDzGkHZ" dmcf-ptype="general">KT는 고객의 통신생활 피해를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는 차별화 서비스도 선보인다.</p> <p contents-hash="a0fa46ed1c397d815f9df130e746707362f9d078adb36b625f9d3dfdab5827dc" dmcf-pid="f9gowqHEtX" dmcf-ptype="general">먼저 하반기엔 화자인식에 딥보이스 탐지까지 가능한 'KT AI 보이스피싱 탐지 2.0' 서비스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승인 후 통신사 최초로 상용화할 예정이다. 이는 올해 1월 출시한 실시간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의 차기 버전이다.</p> <p contents-hash="80b1d41ae00513f2fd54d870bc210ea314b631a43baa91c58b6e94839f2203ed" dmcf-pid="42agrBXDZH" dmcf-ptype="general">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협력해 2만5000건 이상의 보이스피싱 음성 데이터를 학습한 AI가 통화 중 문맥을 분석해 위험 신호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주의' 또는 '경고' 형태의 알림을 제공한다.</p> <p contents-hash="c6c846343b9543a55b12241e363254af7ea6b5668a48d3c6ecd4d662c7692c6c" dmcf-pid="8VNambZwtG" dmcf-ptype="general">AI 보이스피싱 탐지 정확도는 현재 통신사 최고 수준인 91.6%에 달하는데 상반기에만 약 710억원 규모의 범죄 피해를 사전에 차단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2.0에선 정확도를 95%까지 끌어 올리고, 범죄 피해를 약 2000억원 이상 예방한다는 목표다.</p> <p contents-hash="533c05f05a1cdc99de5979bbb1cda28757f406e93e0989d2c70f58d8e7ad5a7b" dmcf-pid="64AjO91m1Y" dmcf-ptype="general">특히 성문과 같은 목소리 특징정보를 추출해 화자를 인식하고, AI 기술로 위조된 '딥페이크 보이스피싱(딥보이스)'까지 탐지할 수 있는 통신사 서비스는 'KT AI 보이스피싱 탐지 2.0'이 유일하다.</p> <p contents-hash="dee6c2844f4143c4d85569f7e380622817fff76ea0250c9a0cf6d0c90c8a7428" dmcf-pid="P8cAI2ts1W" dmcf-ptype="general">KT는 문자 기반 스팸 대응도 AI로 고도화한다. KT는 통신사 중 유일하게 스팸차단에 실시간 AI 키워드 등록 시스템을 도입해 당일 스팸 차단건수가 기존 차단량 대비 150% 이상 증가했다. 하반기에는 투자 유도형, SNS 대화 유도형 등 새로운 유형의 변종 스팸에 대응하는 필터링 구조 고도화를 추진한다.</p> <p contents-hash="ef3e204e3fcd3e22e0d03bd14864d6083736a1c0e73de3af92dd94d2309aaea5" dmcf-pid="Q6kcCVFOHy" dmcf-ptype="general">또한 KT는 스팸신고 데이터를 AI가 학습해 스팸 문자를 탐지한 후 악성 URL, 문자, 발신번호, 발송 사업자를 원천 차단하는 AI 클린메시징시스템(AICMS)을 자체 개발해 운영 중이다.</p> <p contents-hash="0dc6f4ffff5fc32930f7fb90fed0cce9524ed4cf81a53d61ece12ce7fac01edf" dmcf-pid="xPEkhf3IZT" dmcf-ptype="general">기업 고객을 위한 보안 서비스도 강화한다. KT '클린존' 서비스는 KT가 보유한 최신 보안 위협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거부) 공격으로부터 기업 고객을 안전하게 보호한다.</p> <p contents-hash="21317acda759af161274c83f0421f4aa7a892f93b602a1b56c37acc45d419785" dmcf-pid="yvz74CaVYv" dmcf-ptype="general">이현석 KT 커스터머부문장(부사장)은 “이정도면 괜찮다는 안일한 생각으로는 더 이상 고객의 신뢰를 지킬 수 없다”며, “KT는 고객 신뢰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기존의 대응 방식에서 벗어나 선제적 보안의 새로운 기준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06f9c6f56c4b5ffbd412bf5d645789e84a65bf8cb0326329be0b2e80a615354" dmcf-pid="WTqz8hNfXS" dmcf-ptype="general">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인터뷰] CBT 앞둔 에테리아 "한국 유저가 안 좋아할 리 없다" 07-15 다음 토마토시스템, 한국사학진흥재단 U-ERP 4차 고도화 사업 연속 수주…대학 디지털 전환 독보적 선도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