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CC, AI·전장서 수요 급증…삼성전기, '더블 A' 전략 선언 작성일 07-15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 서버 MLCC 수요, 일반 대비 13배…전장용도 자율주행 고도화에 수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2TRo1CnMj"> <p contents-hash="ad497fe9ab44b6db826098a37257efe9c34c31d9ac0138f1180aa2c977d69e7e" dmcf-pid="q4YJN3SgMN"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장경윤 기자)"AI 서버,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산업 발달에 따라 요구되는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 수량 및 정전용량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삼성전기는 각 산업의 앞 글자를 따 두 시장을 동시 공략하는 '더블 A'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휴머노이드 등 신시장 역시 대응을 준비 중입니다."</p> <p contents-hash="f2c2ac333cff1e833f11aafd8a29aca32e9b15ede924710e29c47589eca13dd8" dmcf-pid="B8Gij0vaRa" dmcf-ptype="general"><span>이민곤 삼성전기 상무는 14일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세미나를 열고 회사의 MLCC 사업 전략에 대해 이같이 </span><span>밝혔다.</span></p> <p contents-hash="c2d12f38ed344fe18ed74550a7a57027bb661d04e9cd02adb3b8f81f8ca6e573" dmcf-pid="b6HnApTNLg" dmcf-ptype="general"><span>MLCC는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조절하고, 부품 간 전자파 간섭현상을 막아주는 전자부품이다. 스마트폰, PC 등 가전제품과 서버, 자동차 등 산업 전반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d04b87ce0638c13a8fb13418a7eed7b9ac07acf0aeaa0a93cf7a22477ccaf37" dmcf-pid="KPXLcUyje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일반 MLCC와 삼성전기의 초소형 MLCC의 제품 크기를 비교한 모습(사진=장경윤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ZDNetKorea/20250715085629989zkze.jpg" data-org-width="640" dmcf-mid="2AxGO91me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ZDNetKorea/20250715085629989zkz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일반 MLCC와 삼성전기의 초소형 MLCC의 제품 크기를 비교한 모습(사진=장경윤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59e1bd0b940d55f29aaac4cffcc5952505679f95cf6a86e98af04fdf94b5764" dmcf-pid="9QZokuWAiL" dmcf-ptype="general"><strong>AI 서버·ADAS서 MLCC 수요 '급증'…"더블 A 전략 추진</strong><strong>"</strong></p> <p contents-hash="dec4d66d52eac67e536cea66ce023f12be58050912a78d81dbf01b1026e3700d" dmcf-pid="2x5gE7Ycin" dmcf-ptype="general"><span>특히 MLCC는 AI 서버에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AI 서버는 일반 서버 대비 전력 소모량이 5~10배가량 높다. 때문에 서버 당 필요한 MLCC 수량도 2만8천개로 일반 서버(2천200개) 대비 13배 많다. 또한 AI 서버는 데이터 처리량이 높아, MLCC도 소형화 및 초고용량, 고온에 대한 신뢰성 등이 </span><span>요구된다.</span></p> <p contents-hash="c07d1eac2e954096079e7213dd6fc9cf080170f9bad4d28487dd1b2b7ce5dd61" dmcf-pid="VM1aDzGkJi" dmcf-ptype="general">이에 삼성전기는 지난 5월 0402 인치 사이즈의 AI 서버용 고성능 MLCC 신제품을 개발하는 등, 시장 공략에 주력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AI 서버용 MLCC 시장 점유율은 약 40%에 이른다.</p> <p contents-hash="7db8d287193d3c6fb87af150363044bf989b302c98806755e10729dffa7dbb65" dmcf-pid="fRtNwqHEnJ" dmcf-ptype="general">전장용 MLCC 역시 자율주행 시장을 중심으로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된다. <span>전장용 MLCC는 고온(125도 이상)·저온(영하 55도) 환경 및 습도, 외부 충격 등에도 안정적인 작동이 요구된다. 대신 </span><span>IT </span><span>제품 </span><span>대비 </span><span>가격이 </span><span>3배 </span><span>이상 </span><span>비쌀 정도로 </span><span>고부가 </span><span>제품에 </span><span>해당한다.</span></p> <p contents-hash="a24df450b31f678ae2e7f06865d98a74315e59099071f35de83a54b2c1b6ee0d" dmcf-pid="4eFjrBXDRd" dmcf-ptype="general">전장 시장은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고도화로 더 많은 고성능 센서를 탑재해야 한다. 이에 맞춰 소형 및 고용량 전장용 MLCC도 탑재량이 늘어날 전망이다. 일례로 자율주행 레벨 2단계에서는 전장용 MLCC가 5천개 정도 사용되며, 레벨 3단계에서는 6천개로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p> <p contents-hash="b799459ec35638d2357c0d61b02ad70b57cf3ee89eba94b9f5341c96c41b2598" dmcf-pid="8d3AmbZwJe" dmcf-ptype="general">이 상무는 "삼성전기 내부적으로는 AI 서버와 ADAS의 앞 글자를 따서 '더블 A'에 집중해야 한다는 전략을 가지고 움직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가장 높은 성능의 AI 서버용 MLCC는 삼성전기를 포함해 3개사 정도만이 대응 가능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32485f0d780f904bf99064cfe536536a5e872f7c49263abe19da09934403a899" dmcf-pid="6J0csK5rdR" dmcf-ptype="general"><strong>휴머노이드 등 차세대 성장동력도 주목</strong></p> <p contents-hash="a5fd46a0a599c152dc2684402b5a8cd9d76240d9f2677469a6743576f7b20a58" dmcf-pid="PipkO91mJM" dmcf-ptype="general"><span>한편 </span><span>삼성전기는 </span><span>차세대 </span><span>산업으로 </span><span>주목받는 </span><span>휴머노이드 </span><span>로봇 </span><span>분야에서도 </span><span>MLCC </span><span>시장 </span><span>진출을 추진한다</span><span>. </span><span>기존 </span><span>AI </span><span>서버, </span><span>전장용 </span><span>MLCC에서 </span><span>확보한 </span><span>고신뢰성 </span><span>및 </span><span>고성능 </span><span>기술을 </span><span>적극 </span><span>활용할 계획이다.</span></p> <p contents-hash="4864e54c488372f80645149b1bee60f9c8df127e57062059cc000172370c8a11" dmcf-pid="Q3DK6lj4dx" dmcf-ptype="general"><span>이 상무는 "그간 삼성전기가 산업별로 필요한 MLCC 제품을 준비해 온 만큼, 다양한 기능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span></p> <p contents-hash="266f6531dc0efdb3fb92b39548c7cde9d7ec3f3dfdbbaef11599c54d1426b137" dmcf-pid="x0w9PSA8nQ" dmcf-ptype="general"><span>인쇄회로기판(PCB) 안에 MLCC를 내장하는 임베디드(Embedded) MLCC 기술도 향후 AI 서버에서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내장형 MLCC는 PCB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집적도를 높여 노이즈 억제 및 고주파 특성이 우수하다.</span></p> <p contents-hash="8299f019835ba01cc54cf0ebe5902b416b9b4f9a2522de3c5d8a54218e636cc4" dmcf-pid="yNBsv6UlJP" dmcf-ptype="general"><span>이 상무는 "임베디드 MLCC는 AI 서버 시장에서 고객사의 요구가 있어서 함께 개발을 시작해보는 단계"라며 "다만 제품이 언제쯤 양산될 지 등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span></p> <p contents-hash="f6718f3afe8b7f2bebaeee0e8a62d1455aac86c04f3b99aebbddb43e9ba22a6d" dmcf-pid="WjbOTPuSM6" dmcf-ptype="general">장경윤 기자(jkyo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박나래, 14kg 빼더니 또 수영복 공개…"누아르 영화" 분위기 물씬 (홈즈) 07-15 다음 GIST, 실시간 정밀 성분 분석 가능한 초소형 AI 분광 센서 개발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