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만 살아봐라” 엔지니어 1000명 유치…佛 항공우주 수도로 발전 작성일 07-15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유럽 우주항공 수도, 프랑스]③ 툴루즈 키운 분산정책<br>삶의 질 만족도 높여야 도시도 성장<br>유럽 최대 중기·스타트업 육성 공간도<br>韓 정부·기업·기관도 툴루즈 문 두드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vjG3FloL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14dcf0068fa5c1e9507a85e5a059104db436f4fcb3c2c66ee1c1dbe475c064e" dmcf-pid="uTAH03SgR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05년 4월 27일, 툴루즈 공항에서 에어버스의 A380이 첫 비행을 한 것을 기념해 툴루즈 시청 과장에 대형 현수막이 펼쳐친 모습./Toulouse - Mairie et Métropole"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chosunbiz/20250715065138487smkx.jpg" data-org-width="3000" dmcf-mid="t5i2xQ7vR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chosunbiz/20250715065138487smk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05년 4월 27일, 툴루즈 공항에서 에어버스의 A380이 첫 비행을 한 것을 기념해 툴루즈 시청 과장에 대형 현수막이 펼쳐친 모습./Toulouse - Mairie et Métropole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4fc8557936eb456e1670ae5262645ac95b47a9fc8a3c2b7b61b2e6b82b752f7" dmcf-pid="7ycXp0vaL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chosunbiz/20250715065138771pzhl.png" data-org-width="1800" dmcf-mid="FNesTvc6d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chosunbiz/20250715065138771pzhl.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e9070a53ca2504cce86cdb34795a433ec9e4316ce38f1dcf496726a8bdfbe1d5" dmcf-pid="z0lzfVFOnw" dmcf-ptype="general">프랑스 파리에서 비행기를 타고 1시간 20분쯤 남쪽으로 이동하자 ‘장미의 도시(La Ville Rose)’라는 별명을 가진 툴루즈가 나타났다. 구도심의 건물 대부분이 붉은 점토의 테라코타 벽돌로 지어져 붙은 별명이다.</p> <p contents-hash="51a98d98d776bc5a37a786182710d5a00ec7881167af12e9ff255acd682ddca4" dmcf-pid="qpSq4f3IJD" dmcf-ptype="general">툴루즈는 낭만적 별명 말고도 다른 여러 수식어를 가지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도시’ ‘유럽 항공우주 산업의 수도’ 같은 수식어가 대표적이다. 도시 인구로만 보면 50만명 정도로 한국의 파주시와 비슷한 규모지만, 대형 항공우주 기업들이 밀집해 산업 영향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p> <p contents-hash="f9fdfba881bf7b34a45ebe938b32f756afea0aac5ef5fc413f25c355b7b791a7" dmcf-pid="BUvB840CLE" dmcf-ptype="general">툴루즈의 관문인 블라냑 공항에 내리면 가장 먼저 전 세계 최대 민항기 업체인 에어버스의 본사가 보인다. 공항에서 툴루즈 시내로 이동하면 에어버스와 함께 세계적인 인공위성 업체인 탈레스, 민간·군수용 항공기 엔진, 부품 업체인 사프란 같은 기업들의 공장과 사무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p> <p contents-hash="4929444ef6ddd14d4863685e00cb8d7e1652543390916bb0af2e6ab76dbb2d3e" dmcf-pid="buTb68phRk" dmcf-ptype="general">지난 3일 툴루즈 우주 박물관(Cité de l’Espace)에서 만난 장-클로드 다르들레(Jean-Claude Dardelet) 툴루즈 부시장은 “2차 대전이 끝난 직후 툴루즈와 보르도는 인구가 똑같이 20만명 정도였지만, 80년이 지난 지금 보르도가 여전히 25만명 정도인데 비해 툴루즈는 50만명이 넘는 도시로 성장했다”며 “전 세계 항공우주 분야 기업들이 툴루즈에서 고객을 찾기 위해 몰려왔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92a42bbd290c02f93302f69d104e53efd771c0bd7db4991b14f070a5b2ee469" dmcf-pid="K7yKP6UlJ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장-클로드 다르들레(Jean-Claude Dardelet·오른쪽) 툴루즈 부시장은 지난 3일 "도시의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이 지역에 이주해 오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툴루즈에 처음 이주해 온 엔지니어들이 파리와 다르게 살기 편하고 만족감을 느끼면서 정착한 덕분에 도시가 발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툴루즈=이종현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chosunbiz/20250715065140045lbtf.jpg" data-org-width="990" dmcf-mid="31BncAxpM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chosunbiz/20250715065140045lbt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장-클로드 다르들레(Jean-Claude Dardelet·오른쪽) 툴루즈 부시장은 지난 3일 "도시의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이 지역에 이주해 오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툴루즈에 처음 이주해 온 엔지니어들이 파리와 다르게 살기 편하고 만족감을 느끼면서 정착한 덕분에 도시가 발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툴루즈=이종현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5c7594d9fc00c17e7d9ed4c71b22e3c6484f4734bbde0215e2cd2cb825b0e3a" dmcf-pid="9zW9QPuSRA" dmcf-ptype="general"><strong>◇60년에 걸친 꾸준한 분산 정책</strong></p> <p contents-hash="3f5c8ccbf44ff3183bcea20125009c823e8b54bb2798e38226beac7ac4b2d2cf" dmcf-pid="2qY2xQ7vLj" dmcf-ptype="general">툴루즈는 중세 시대부터 유럽을 대표하는 교육 도시 중 하나였지만, 산업은 그다지 발전하지 않았다. 바다가 가깝거나 유명한 관광지가 있는 도시도 아니었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소규모 공산품 제조 공장들이 전부였다. 그러다 1927년 에어로포스테일(Aéropostale)이란 항공기 제조사가 들어선 이래 프랑스의 항공우주 산업을 대표하는 도시로 발전했다. ‘어린왕자’로 유명한 소설가 생텍쥐베리가 파일럿으로 활동했던 곳도 툴루즈였다.</p> <p contents-hash="0ba1e0e1dd5b4323d91329894d6398d4ee168c5f19eba0adbdece55352a4e24e" dmcf-pid="VBGVMxzTiN" dmcf-ptype="general">툴루즈가 유럽을 넘어 전 세계 항공우주 산업의 중심지가 된 데에는 프랑스 정부 차원의 분산 정책이 큰 역할을 했다. 프랑스 정부는 1960년대와 1990년대 두 차례에 걸쳐 대대적인 지방분산정책을 펼쳤다. 파리로의 인구 집중을 막기 위해 주요 산업과 고등교육기관, 연구기관 등을 지방으로 분산했다.</p> <p contents-hash="c70eca15f0f4677bb713125d6764bf3671f172e91885cc8014d3e183cf9976b1" dmcf-pid="fbHfRMqyJa" dmcf-ptype="general">툴루즈가 1964년 8대 균형도시에 선정되자 항공우주 산업을 중심으로 여러 기관들이 이전했다. 1968년 국립고등항공학교, 국립항공학교, 우주항공연구센터(ONERA) 등이 파리에서 툴루즈로 옮겼고,국립우주연구센터(CNES)도 일부 이전했다. 1970년에는 에어버스가 툴루즈에서 설립됐다.</p> <p contents-hash="9f89968d4e5af7f197a95a3db23e9a70924291048367f68b47471beb63f06f61" dmcf-pid="4KX4eRBWRg" dmcf-ptype="general">프랑스 정부의 분산 정책은 처음부터 쉽게 진행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파리에 살던 엔지니어들을 툴루즈로 데려오이가 어려웠다. 다르들레 부시장은 “당시 프랑스 정부가 파리에 살던 엔지니어 1000명을 툴루즈로 보내면서 ‘1년만 지내보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시 파리로 돌려 보내주겠다’고 약속했다”며 “1년이 지난 뒤에 거의 모두 돌아가지 않고 정착하면서 툴루즈가 혁신과 기술의 중심지가 됐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e2f4d3fb2068eeb441cd0963a98ee67ce892580d0637ecbe638f0b23ae45df2" dmcf-pid="89Z8debYR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3일 툴루즈 우주 박물관(Cité de l’Espace)에서 다르들레 툴루즈 부시장이 한국 기자들에게 툴루즈 시의 성장 비결을 소개하고 있다./툴루즈=이종현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chosunbiz/20250715065141354xyqi.jpg" data-org-width="1161" dmcf-mid="0NEXp0vaR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chosunbiz/20250715065141354xyq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3일 툴루즈 우주 박물관(Cité de l’Espace)에서 다르들레 툴루즈 부시장이 한국 기자들에게 툴루즈 시의 성장 비결을 소개하고 있다./툴루즈=이종현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c7e58f313a214c590fa809d29c86143e4f6771ce5d242044d2ae2b62a3b1234" dmcf-pid="6256JdKGeL" dmcf-ptype="general">엔지니어들은 툴루즈가 제공하는 ‘삶의 질’에 정착하기로 결심했닥 한다. 다르들레 부시장은 도시의 성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주거, 일자리, 상업 활동, 여가 활동 네 가지를 꼽았다. 그는 “도시의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이 지역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툴루즈에 처음 이주한 엔지니어들이 이 네 가지에서 만족감을 느끼면서 정착한 덕분에 도시가 발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a39b2451769e5600941720924dd15d858b76e1060d8bc0b3cd83a75b3f28bcf" dmcf-pid="PV1PiJ9HJn" dmcf-ptype="general">다르들레 부시장 역시 파리에서 항공 분야 엔지니어로 근무하다 30년 전 툴루즈로 이주했다. 그는 “툴루즈로 올 때 파리보다 두 배 크기의 아파트를 장만할 수 있었다”며 “임금은 툴루즈가 파리의 85% 수준이지만, 물가나 생활 만족도 면에서 툴루즈가 훨씬 낫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aa263d7ace6386b59c7fe219f802fdd36b1a26c874f7fb29377f5877eb83d24" dmcf-pid="QbHfRMqyLi" dmcf-ptype="general">툴루즈는 항공우주 산업에서 생기는 수입을 기반으로 지금도 계속 도시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툴루즈 시는 연간 예산 30억유로(약 4조8317억원)를 기반으로 지하철 노선을 30㎞ 연장하고 교통 수단과 학교도 늘리고 있다. 다르들레 부시장은 “툴루즈는 연간 1만명씩 인구가 늘고 있어, 조만간 리옹을 제치고 프랑스 3대 도시로 올라설 것’이라고 했다.</p> <p contents-hash="76e4dbaf08af0bfdfa602b31140b25725947908fb7ec2dd7f50de5af2ca24fcc" dmcf-pid="xKX4eRBWJJ" dmcf-ptype="general"><strong>◇생텍쥐베리 활동 무대가 스타트업 집적지로 변신</strong></p> <p contents-hash="e537d1a427476599b1b69bbf12e2d61705041eb282cc8458d2442eb87b622240" dmcf-pid="ymJhGYwMJd" dmcf-ptype="general">툴루즈 성장의 기반은 기업이다. 툴루즈 시내에서 남동쪽으로 이동하면 유럽 최대 항공우주 클러스터인 에어로스페이스 밸리의 핵심 거점 ‘B612’가 나온다. B612는 생텍쥐베리의 소설 ‘어린왕자’에 나오는 소행성 이름에서 따 왔다. B612는 가로로 길쭉하게 이어져 있는데, 과거 활주로였던 공간을 항공우주 산업 혁신 지역으로 바꾼 탓이다. 생텍쥐베리가 직접 비행기를 몰고 날던 활주로다.</p> <p contents-hash="0b53826001520a7f0ac572cde5219c3fe7dd00c3451ace3a26ffe5e8b4e58c2b" dmcf-pid="WsilHGrRne" dmcf-ptype="general">에어로스페이스 밸리는 툴루즈와 보르도를 중심으로 자리한 항공우주 클러스터(산업 집적지)다. 항공우주 분야 산·학·연의 기술혁신과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2005년 구축됐다. 유럽 최대 규모의 항공우주 클러스터로, 800여 기업, 기관에서 14만명이 일하고 있다.</p> <p contents-hash="76a80ea7047f4abe04f7d60cf0a732ac2fa6cc1d4162a1ad88878b91d09271e8" dmcf-pid="YOnSXHmeMR" dmcf-ptype="general">틸로 쇤펠트(Thilo Schönfeld) 에어로스페이스 밸리 국제협력담당관은 “에어로스페이스 밸리에 소속된 우주항공 분야 종사자가 프랑스 전체 관련 산업의 40%를 차지한다”며 “에어로스페이스 밸리 차원에서 진행하는 R&D(연구개발) 프로젝트만 920개에 달하고, 프로젝트에 들어가는 자금만 20억6000만유로(3조 3171억원)”라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850a21c3fdaa3968cc87904cb11db1a64131469a485ae53bdb204f526fe4685" dmcf-pid="GILvZXsdn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B612를 비롯해 툴루즈에 들어선 에어로스페이스 밸리의 조감도. 과거 공항 활주로를 항공우주 산업 거점으로 만든 탓에 가로로 길쭉하게 건물들이 들어서 있다./툴루즈=이종현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chosunbiz/20250715065142753qghs.jpg" data-org-width="1324" dmcf-mid="pKuJjNP3n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chosunbiz/20250715065142753qgh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B612를 비롯해 툴루즈에 들어선 에어로스페이스 밸리의 조감도. 과거 공항 활주로를 항공우주 산업 거점으로 만든 탓에 가로로 길쭉하게 건물들이 들어서 있다./툴루즈=이종현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d79cb79e3c4842dced9d493babe669380edf6878ddbd953c52ed8be258bb5f2" dmcf-pid="HCoT5ZOJRx" dmcf-ptype="general">툴루즈에는 에어버스, 탈레스 같은 대기업뿐 아니라 수많은 항공우주 분야 스타트업들이 모여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스타트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툴루즈를 세계적인 항공우주 도시로 키운 비결이기도 하다.</p> <p contents-hash="589d6940bd89a9899d4ace88a0b94e38d47df1b4985376b28ae732803d824c80" dmcf-pid="Xhgy15IiMQ" dmcf-ptype="general">B612에 입주해 있는 독일 우주 스타트업 익스플로레이션 컴퍼니(Exploration Company) 관계자는 “본사는 독일에 있지만, 항공우주 관련 공급망을 찾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에어로스페이스 밸리에도 사무실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5393db72255f8f3163bd59334a82813371fd4616de270429d049e42184e6113a" dmcf-pid="ZlaWt1CniP" dmcf-ptype="general"><strong>◇韓 영사관 검토 중…KAI 사무소도</strong></p> <p contents-hash="55d30c5a71c32922d722d9ed958ccca500dc56fd66141b84e05985d30edc2cff" dmcf-pid="5SNYFthLi6" dmcf-ptype="general">한국은 지난해 우주항공청을 세우고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인 뉴스페이스를 추진하면서 툴루즈를 본보기로 삼았다. 우주항공청이 자리한 사천시가 ‘한국의 툴루즈’가 되겠다고 공언하면서 이미 여러 차례 툴루즈를 방문했고, 경남테크노파크나 경남투자청 등 여러 기관이 툴루즈나 에어로스페이스 밸리 같은 기관과 소통을 늘리고 있다.</p> <p contents-hash="c8e13b5c6bff9d177cb549a858e2343f93c1ea3552b3389f84f0e2a20bdb147d" dmcf-pid="1vjG3FloM8" dmcf-ptype="general">다르들레 툴루즈 부시장은 주프랑스 한국대사관이 툴루즈에 영사관을 두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했다. 그는 “한국대사관이 툴루즈에 영사관을 설치하고 싶다며 연락을 해왔고, 굉장히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한다”며 “이미 툴루즈에는 43국의 영사관이 있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27b550b43426e9c138fa4014e1f56a26936a7678f8be5de03c31e8093cc0403" dmcf-pid="tTAH03SgJ4" dmcf-ptype="general">에어버스의 핵심 파트너사인 한국항공우주(KAI)산업도 2021년 툴루즈에 유럽사무소를 설치했다. 박병욱 KAI 툴루즈사무소장은 “핵심 고객인 에어버스 본사가 이곳 툴루즈에 있고, 항공우주 분야 엔지니어링 업체와 주요 경쟁사들이 모두 툴루즈에 사무소나 공장을 가지고 있다”며 “프랑스는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업무가 이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핵심 고객들과의 관계를 유지하려면 툴루즈에 사무소를 두고 만나서 소통해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2c1c5278128b4282da4d790733247499bba1c4004e743847f864955f8520f0f" dmcf-pid="FycXp0vaif" dmcf-ptype="general">박 소장은 “프랑스는 유럽 최초로 산업 부문에 외국인 투자를 개방했고, 기업수속센터(CFE)를 통해 여러 행정절차를 간소화해주는 등 외국인 투자에 적극적”이라며 “앞으로 현지 고객사 근처에 물류나 생산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까지 두면 자연스럽게 사업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58d3372655fdabf753e442e94deee304ed47318bacb31243c30816ce6e8abb5" dmcf-pid="3WkZUpTNdV"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문화연예 플러스] 악뮤 이찬혁, 솔로 정규 2집 'EROS' 발매 07-15 다음 [경륜] 나이는 숫자일 뿐! 경륜장 빛내는 베테랑들의 투혼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