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현 리벨리온 대표, AI 생태계 구축 방안 제시 작성일 07-14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한국과학기자협회 16일 한국과학기술회관서 과학기자대회 열고 사회적·과학적 이슈 논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p8qHDdzJy"> <p contents-hash="212790dc197a1030e972bdf223e619e7efd8c0fd51e9917e3e53a55920182dcf" dmcf-pid="yjlDdqHEdT"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한국과학기자협회(회장 이은정)는 16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과학적 사회 이슈를 점검하는 ‘2025 과학기자대회’를 개최한다.</p> <p contents-hash="7db1020ba45fbbec8ca24f32edef26cf647b5aa102994c6f8bca68dc65814983" dmcf-pid="WASwJBXDRv" dmcf-ptype="general">올해 주제는 세션 2개로 나눠 인공지능(AI)과 기후 문제를 다룬다.</p> <p contents-hash="aa384e7206dd9ff3b2a527b080c749304ba2e6140505e45d915a49569d8e1eb1" dmcf-pid="YcvribZwdS" dmcf-ptype="general">과학·의학계와 언론인, 일반 국민으로부터 논의 아이디어를 공모한 결과 총 541명에 1천 63건(기후위기/환경 632건, 의과학 431건)이 접수됐다.</p> <p contents-hash="938beac43bd10d7c1cb611b32a021314725249f9f454047ea6161dfa2d0a7ab6" dmcf-pid="GkTmnK5rRl" dmcf-ptype="general">세션 1은 ‘AI 주권정부 정책 톡(Talk)-새 정부 비전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열린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f1d778c3218d57aca791fea9b9e9a0a1bdf7baf8f70bac51c96b95c17dc6393" dmcf-pid="HlFWDMqyn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I와 기후문제를 다룰 과학기자대회가 16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된다. (사진=챗GPT 제작)"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83628112ndnc.png" data-org-width="640" dmcf-mid="5Y2DQpTNe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83628112ndnc.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I와 기후문제를 다룰 과학기자대회가 16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된다. (사진=챗GPT 제작)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1e16bea6ef70a0e6be54b6fa78c3b282441e95093a3a15736bf9ee5ce426d64" dmcf-pid="XS3YwRBWMC" dmcf-ptype="general">이재명 정부가 강조하는 ‘소버린 AI(Sovereign AI, 주권형 인공지능)’ 정책 방향성과 산업 전략을 집중 조명한다.</p> <p contents-hash="7246321a46b7f28a4593fb42240ea858599061dce79d1849c794d5586e83dd7a" dmcf-pid="Zv0GrebYRI" dmcf-ptype="general">첫 발표는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가 맡았다. 박 대표는 ‘AI 반도체 산업계, 새로운 정부에게 바란다’를 주제로 최근 리벨리온이 개발한 AI 반도체 ‘아톰(ATOM)’ 공개와 함께 <span>민간 기술 역량과 정부 지원이 조화를 이루는 생태계 구축 방안을 </span><span>제언할 예정이다.</span></p> <p contents-hash="bf67267cff4e049aae9f98da4dddbe7e54a030c3b3851dd479b68c7583940c1d" dmcf-pid="5TpHmdKGJO" dmcf-ptype="general">이어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윤성로 교수가 ‘학계의 시각에서 본 AI 생태계 육성 정책 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유원필 인공지능창의연구소장이 ‘AX 대전환 시대의 R&D 전략’을 주제로 발표한다.</p> <p contents-hash="32fa842dd6f95243df262e8e9baac3c6806a4bdde07dfc53beda66c71053c0b1" dmcf-pid="1yUXsJ9His" dmcf-ptype="general">패널토론은 머니투데이 미래산업부 류준영 차장을 좌장으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박경준 피지컬AI 전략추진단장과 연합뉴스 테크부 조승한 기자가 참여패널로 참여한다.</p> <p contents-hash="37ccd88212ce60510e61bbbf4bc840f2f1555a8961a34dca03b8dbbdd76e4d38" dmcf-pid="tWuZOi2XMm" dmcf-ptype="general">세션 2는 ‘온난화 마지노선 1.5도 이후의 기후 저널리즘’을 주제로 열린다. 7월 초부터 40도에 이르는 극한 폭염이 나타나는 등 기후위기가 현실로 다가온 상황에서 언론의 역할이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p> <p contents-hash="dae65644fb4ad272745e3723b01d4b911b998ac651fae7c02a7cda1cf19d497a" dmcf-pid="FY75InVZJr" dmcf-ptype="general">중앙일보 환경전문기자를 지낸 강찬수 환경신데믹연구소장 겸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가 첫 주제 강연자로 나서 ‘설루션 저널리즘(Solutions Journalism)’을 기후 보도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0ecb748bc159ae61e55cdfc2279124c286633d212a5c8d1a2ca999680533bc85" dmcf-pid="3Gz1CLf5nw" dmcf-ptype="general">이어 넥스트 윤지로 미디어총괄이 ‘T의 딜레마’를 제목으로 주제발표한다. 세계일보 환경팀장을 지낸 윤 총괄은 기후변화가 과학·환경 이슈를 넘어 에너지·산업·금융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전문성과 대중성 사이에서 갈등할 수밖에 없는 언론의 현실을 진단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05b018266e383b11fb9a1cb70c25d00687ab260f6e4e8c14fbe443befe7c35a2" dmcf-pid="0Hqtho41LD" dmcf-ptype="general">패널토론은 신방실 KBS 기상전문기자가 좌장을 맡아 진행한다. 신우열 전남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와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신혜정 한국일보 미래기술탐사부 기자, 천권필 중앙일보 정책사회부 기자가 토론자로 참여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0f02a8e06a57ea0ef4b18b7a7f8c621d5bf8c403d291fef3b285612e6e58bb2" dmcf-pid="pXBFlg8te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기후 온난화를 다룰 과학기자대회가 16일 개최된다. (사진=픽사베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83629591yoen.jpg" data-org-width="640" dmcf-mid="1lpRUSA8e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83629591yoe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기후 온난화를 다룰 과학기자대회가 16일 개최된다. (사진=픽사베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047b222bc5b78068763bbfb29542c8802efb3cad867a79ef85d5f8cb5bfdac7" dmcf-pid="UZb3Sa6Fnk" dmcf-ptype="general">이은정 회장(KBS 기자)은 “이번 행사 주제공모는 지난해에 비해 참여율이 18%나 증가하고 사전질문도 전년도 대비 배 가까이 늘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c4fb57b050104ca844a586919c1d9a9f679d4ed5fafb856a9356efb9c1e55e0" dmcf-pid="u5K0vNP3Mc" dmcf-ptype="general">이 회장은 또 “우리 미래를 결정할 AI와 기후위기 두 개의 큰 주제에서 다양한 전문가와 현장 기자 논의가 가슴에 와 닿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 과학·환경·기술 정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c68c03ec65ea016ddeeb0a587ed48233f9edbc2e30f501cd168c4c3edc026313" dmcf-pid="719pTjQ0iA" dmcf-ptype="general">이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복권위원회,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등이 후원한다.</p> <p contents-hash="d7c3de965be9bc895758c86c37347bbb3ec5bb37253993f32837e5897ba90ac9" dmcf-pid="zEysL91mnj"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배경훈 "소버린 AI 2~3년 내 달성해야... 범용과 특화 AI 모델 둘 다 필요" 07-14 다음 서유리 "빚 20억, '엑셀 방송'으로 갚은 적 없어" 해명 [RE:스타] 07-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