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 폰 재정의한 갤럭시 Z 폴드·플립7..."내부 설계부터 부품 배치까지 새로 설계" 작성일 07-14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 기자간담회<br>"무게·두께만 줄인 게 아니라 경험 완성 추구<br>제대로 만드는 게 삼성 철학...단순 업그레이드 아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25Zuvc6v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34af53a8ad502969d8e051df754cdfd0bfcc373a7c350ba41c066ed8d42eee6" dmcf-pid="9V157TkPW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가 10일 미국 뉴욕 맨해튼 소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갤럭시 Z 폴드·플립7에 적용된 하드웨어 혁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hankooki/20250714180125073anne.jpg" data-org-width="640" dmcf-mid="BS0QL91mC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hankooki/20250714180125073ann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가 10일 미국 뉴욕 맨해튼 소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갤럭시 Z 폴드·플립7에 적용된 하드웨어 혁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6667721662947c4fc21544db41e20361938434cffe6ecb21e855ffd4dc43685" dmcf-pid="V4FtqWDxh4" dmcf-ptype="general"><strong>삼성전자가 이번에 내놓은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은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또 한 번 혁신을 이뤄냈다는 평가</strong>다. <strong>원 UI 8로 대표되는 소프트웨어 혁신에 이어 디자인과 내구성 등 하드웨어 측면에서도 한 걸음 더 진보한 제품</strong>을 내놨다.</p> <p contents-hash="eec53b8be1c6a6afc00c22b116180865960f50ff81b385b63ab6bdfea60b1b2e" dmcf-pid="f83FBYwMCf" dmcf-ptype="general">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소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strong>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strong>는 "이번 제품의 <strong>키워드는 '얇고 가볍다'지만 무게나 두께만 줄인 게 아니라 모든 경험에서의 완성을 추구</strong>했다"며 "<strong>제대로 만드는 것이 삼성의 철학</strong>"이라고 밝혔다. 그는 "모든 요소의 완벽한 밸런스가 있어야 진정한 혁신"이라며 "단순한 업그레이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9d0a4dcf80110634ee4a407cb154b921586ab9854093a46257e34c10f4454cd5" dmcf-pid="4603bGrRyV" dmcf-ptype="general"><strong>"내부 설계부터 부품 배치까지 모든 것을 새로 설계해야 했다"</strong>는 강 상무의 말처럼 이번 새 제품은 하드웨어에서 네 가지 혁신 포인트를 갖췄다. </p> <p contents-hash="f06cd05023cd6073442f324527803b885fb2451fcf9b8aac63f2de897b5c2e86" dmcf-pid="8bHG0hNfS2" dmcf-ptype="general"><strong>①폴더블 폰의 핵심인 힌지(경첩)는 직전 세대 제품에 비해 27% 얇아지고 43% 가벼워졌다</strong>. <strong>힌지 내부 구조를 완전히 분리·재설계해 폴딩 시 공간 효율성과 신뢰성을 극대화</strong>했다. <strong>②디스플레이 전체 두께는 39% 감소</strong>했다. 강 상무는 "디스플레이 하단 구조 소재를 <strong>탄소섬유에서 티타늄으로 바꿔 23% 얇아지고 64% 더 강해졌다</strong>"고 설명했다. 또 <strong>③</strong><strong>카메라는 2억 화소를 갖추면서도 모듈 크기는 18% 줄어들었다</strong>. <strong>④겉면 커버 스크린에는 코닝의 '고릴라 글라스 세라믹2'를 적용</strong>하고 <strong>프레임과 힌지 커버에는 아머 알루미늄을 적용해 내구성을 높였다</strong>.</p> <hr class="line_divider" contents-hash="30f84b2e5f4fb62e238ad51d2ca8f1b0f479fe9dc1daed7dd5a7897131be84cc" dmcf-pid="P9ZXUSA8vK" dmcf-ptype="line"> <h3 contents-hash="325770bb67ec9ba610fedd1b08a0bc904e378b5ac62d54a9e70f48ccb91bd2ac" dmcf-pid="Q25Zuvc6Cb" dmcf-ptype="h3">두께 줄어든 Z 플립7, 여덟 시간 더 비디오 시청</h3>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400a54eabba660db3b9c9dc596b1fdf04c1135d87f6f4ce0c5133783730eee9" dmcf-pid="xV157TkPC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0일 미국 뉴욕 맨해튼 소호 인근 한 지하철역 입구에 갤럭시 Z 폴드·플립7 공개를 홍보하는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뉴욕=김진욱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hankooki/20250714180126380upug.jpg" data-org-width="640" dmcf-mid="bm84dqHES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hankooki/20250714180126380upu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0일 미국 뉴욕 맨해튼 소호 인근 한 지하철역 입구에 갤럭시 Z 폴드·플립7 공개를 홍보하는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뉴욕=김진욱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259d1b4918475451ccbaaa8de6f7a68b291adccd198edd51ef7b6f6641411b9" dmcf-pid="WCoLExzTTz" dmcf-ptype="general"><strong>갤럭시 Z 플립7도 하드웨어 측면에서 세 가지 혁신 요소가 있다</strong>고 강 상무는 밝혔다. 그는 <strong>"고밀도 집적 설계로 두께는 줄이고 배터리는 300mAh 키워 비디오를 여덟 시간 더 볼 수 있게 됐다"며 </strong><strong>"힌지 두께는 전작보다 29% 줄었지만 내구성은 그대로"</strong>라고 덧붙였다. 디자인 측면에서의 혁신도 있었다. 강 상무는 <strong>"전면 플렉스윈도우를 면의 가장자리에서 가장자리까지 완전히 채우고 베젤도 스마트폰 중 가장 얇은 수준</strong>"이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83ca2f39d610509944b332c8b49b5096b21d068249a655c62816a6e1f0c57523" dmcf-pid="YhgoDMqyy7" dmcf-ptype="general"><strong>삼성전자의 혁신은 계속된다고 강 상무는 강조</strong>했다. 충성 고객이 있는데도 'S펜'을 뺀 것을 두고서는 "향후 소비자의 요구와 기술적 완성도에 따라 (채택을) 재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trong>화면 내부에 전면카메라가 들어가는 기술인 '언더디스플레이카메라(UDC)'</strong>에 대해서는 "이번에는 경량화와 화각 확대 등 이유로 적용하지 않았다"며 앞으로 탑재 가능성을 예고했다. <strong>두 번 접히는, 이른바 '트라이폴드' 폰에 대해서는 "갤럭시 Z 폴더·플립7 시리즈의 경량화 기술이 적용될 것"</strong>이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f5c51a4b4c01e982b4e3e8b77426cafa638e1d69330dd8b3100561b29c8ae946" dmcf-pid="ZTAjsJ9HS0" dmcf-ptype="general">뉴욕= 김진욱 기자 kimjinuk@hankookilbo.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알뜰폰·미성년자 판매장려금 주지마" SK텔레콤, 고객 차별 영업 의혹 07-14 다음 AI가 계획 짜고 로봇이 실험…신소재 개발 10배 빨라졌다 07-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