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해수욕장 수질과 토양정보 확인은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작성일 07-14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R7tHDdzTg"> <p contents-hash="9dcb29385971b155f63287a0dff125b155702d5ed15bb0ced549f0e4745e95b4" dmcf-pid="BezFXwJqCo" dmcf-ptype="general">[IT동아 김동진 기자] 본격적으로 시작된 무더위를 피해 해수욕장으로 휴가를 떠나는 피서객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각 지자체는 해수욕장 수질과 백사장 모래를 검사해 결과를 해양환경정보포털에 게시한다.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이 백사장 모래에 있는지, 장염을 유발하는 대장균이 해수욕장 물속에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이다. 휴가를 떠나기 전 목적지 해수욕장의 수질과 토양정보를 미리 확인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36fa402ef8b237d6e77ca79c79b1d1ceb55d5ed9bde4122cd3454e1d57fce2c" dmcf-pid="bdq3ZriBW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출처=엔바토엘리먼츠"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09129fzwj.jpg" data-org-width="1620" dmcf-mid="ZU9fbGrRT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09129fzw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출처=엔바토엘리먼츠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726aeecffff3eaab98f78255d0548f8a289d560f815d3d25088466118892828" dmcf-pid="KJB05mnbhn" dmcf-ptype="general"><strong>휴가지 선택하기 전 해수욕장 수질과 토양정보 미리 확인하기</strong> </p> <p contents-hash="5987077af09b336e3b7f71555ba8dac7ec28c6a7db572b83d71d71856f093c44" dmcf-pid="9ibp1sLKWi" dmcf-ptype="general">포털사이트에 ‘해양환경정보포털’을 검색한 후 메인화면에 진입하면 상단 카테고리 중에서 제일 왼쪽에 ‘해양관측&정도관리’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카테고리에 커서를 올리면 하위 항목 중 ‘해수욕장 환경정보’를 찾을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244c2b169e7600e690030207dda6022991e2b902308c815a747cbaca6fc7be8" dmcf-pid="2nKUtOo9C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해수욕장 환경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0518zgrv.jpg" data-org-width="1920" dmcf-mid="bmGXyAxpl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0518zgr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해수욕장 환경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f5811c590c6dc9e8b5d693793dadafaa39e8814dc7c495368674fa97d94fe3b" dmcf-pid="VL9uFIg2Td" dmcf-ptype="general">해수욕장 환경정보는 각 지자체가 해수욕장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질, 토양정보를 측정한 결과다. </p> <p contents-hash="631bb1aa33e5fcfb69544ffb67d4b6a246267c65dbc3d578787625415be9fb64" dmcf-pid="fre89Xsdve" dmcf-ptype="general">해수욕장 환경정보를 클릭해 해수욕장 수질정보 항목으로 진입, 전국 시도/시군구를 선택하면 원하는 해수욕장 명을 검색할 수 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a43f8d0864dda483095516a4591e739ac5115159eed84661ad3c500c7cc23a3" dmcf-pid="4md62ZOJS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해수욕장 수질정보를 확인하는 모습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1789rvla.jpg" data-org-width="1840" dmcf-mid="KDxR63SgT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1789rvl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해수욕장 수질정보를 확인하는 모습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85ee63365c3bc1c5fb3457e39007d94d0d00eb42deab89664923b2ba302b462" dmcf-pid="8sJPV5IivM" dmcf-ptype="general">예컨대 강원도 양양군에 있는 갯마을 해수욕장을 선택하면 해당 해수욕장의 수질을 조사한 조사일자, 조사차수, 조사위치, 대장균수, 장구균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b3c20e3cc05d348ad20289fee149cb54af53c944d92e747d50c095de9bcd2d1" dmcf-pid="6OiQf1CnS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해수욕장 토양정보를 확인하는 모습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3038xhuh.jpg" data-org-width="1823" dmcf-mid="2DQM8FloT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3038xhu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해수욕장 토양정보를 확인하는 모습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5317c2e6b1dfe2c0fa0eb6a79b72c6731372cbc09e455cdc6e44bc285d466ad" dmcf-pid="PInx4thLhQ" dmcf-ptype="general">해수욕장 토양정보를 클릭하면 갯마을 해수욕장 토양 조사일자와 조사차수, 조사위치, 카드뮴, 비소, 수은, 납, 6가크롬 등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 성분에 대한 조사 결과도 확인할 수 있다. </p> <p contents-hash="c59b5a6a9147b03939a3287022fe96887a3e036eb355cf8a32374c734875fca5" dmcf-pid="QCLM8FloCP" dmcf-ptype="general"><strong>해양정보환경포털서 전국 해수욕장 방사능 안전성 확인도 가능</strong> </p> <p contents-hash="fdf086abacd3695d1253455249307ee23099829d8dec91d5fcab62b03ca4ac89" dmcf-pid="xhoR63SgT6" dmcf-ptype="general">해양환경정보포털을 활용하면 전국 해수욕장의 방사능 안전성 확인도 가능하다. 해양수산부는 2011년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해양수산 분야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2015년부터 연안을 대상으로 해양방사능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3a3b1ae8203e6611bd579fce91bf75e4994061f791c157585110210ef6db339" dmcf-pid="y4tYSa6FC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해수욕장 방사능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법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4392lsbc.jpg" data-org-width="1920" dmcf-mid="fViQf1Cnv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4392lsb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해수욕장 방사능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법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4f3d35019d8a641dec3295067d6be55b2376b9a4d273f86ccaaecdb7182b398" dmcf-pid="WKHSOi2Xy4" dmcf-ptype="general">해양환경정보포털 메인화면에서 커서를 제일 왼쪽 카테고리인 ‘해양관측&정도관리’에 올린 후 하위 카테고리 중 ‘해양 방사성물질 조사정보’를 클릭하자.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2495d946cb6b727cdbaf2be43ffd327f0fa81669e6db1f4275da254a99aefa5" dmcf-pid="Y9XvInVZC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해수욕장 방사능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법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5727knii.jpg" data-org-width="1920" dmcf-mid="76WCrebYy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5727kni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해수욕장 방사능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법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9472eba4bfc551aa73c24ecb29419cbda8fedf8fe7e15c1c39a60305387fc69" dmcf-pid="G2ZTCLf5lV" dmcf-ptype="general">이후 해양방사능 감시체계 창에서 제일 오른쪽에 있는 카테고리 ‘해양방사능 안전지도’를 클릭하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과거에는 해양방사능 조사 결과를 표 형식으로 나열했지만 최근 지리정보체계(GIS)를 활용, 지도로 쉽게 확인하도록 서비스를 개편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b1c29dc732664daf2d2bc0e62f657f9c5c1a3068c16dc2555c2953a3477cf18" dmcf-pid="HV5yho41C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확인 가능한 해양방사능 안전지도 / 출처=IT동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7097qxrc.jpg" data-org-width="1920" dmcf-mid="z7iQf1CnT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itdonga/20250714154517097qxr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확인 가능한 해양방사능 안전지도 / 출처=IT동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456d5ed6c0707885734c5c3a356e59474ac2f7636db137b1ba8ebca0d2bf193" dmcf-pid="Xf1Wlg8ty9" dmcf-ptype="general">해양방사능 지도에서 알고 싶은 지역의 정점을 선택하면 조사 시기별 조사항목과 분석 결과 확인이 가능하다. 전국 해수욕장의 방사능 안전지도를 확인하고 싶다면 지도 왼쪽 레이어에 해수욕장 방사능 항목을 체크한 후 나타나는 초록색 정점을 선택하면 된다. 각 해수욕장의 세슘과 삼중수소 농도 등 방사능 안전성을 살펴볼 수 있다. </p> <p contents-hash="7038d6e295710308afb10a3cdcfc24c9e400fb1627464176323b88ffaaa4aa91" dmcf-pid="Z4tYSa6FSK" dmcf-ptype="general">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는 해수욕장 정보 외에도 해양 대기질 측정정보나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통계, 해양보호생물 등 다양한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p> <p contents-hash="1f559a746fc61c4c49236d9f900220464abc09418e22bda9cce6c8c19e0118a6" dmcf-pid="58FGvNP3Wb" dmcf-ptype="general">IT동아 김동진 기자 (kdj@itdonga.com)</p> <p contents-hash="c28b4031ae02108b0d33e811e471edea798b97da338a7bc9cae0410e1a8ff49a" dmcf-pid="163HTjQ0lB" dmcf-ptype="general">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span>it.donga.com</span>)</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IT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포티넷, ‘2025 글로벌 OT 사이버 보안 현황 보고서’ 발표 07-14 다음 배경훈 장관 후보자 "소버린 AI, 내년 안에 만들어야.. R&D 체계 혁신할 것" 07-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