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AI 도입, 무엇부터 할 것인가? 조동욱 한국ESG데이터 대표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점검이 우선” 작성일 07-14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mrdOxzTXy">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9750cfe186a225c3e7f2edaaed955c25a86651a8349d6dcb5cd6ae5e60495ce" dmcf-pid="uZXr1kRuY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ESG데이터 조둥욱 대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timesi/20250714143533653gtol.png" data-org-width="349" dmcf-mid="3MZmtEe7Y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timesi/20250714143533653gtol.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ESG데이터 조둥욱 대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a681990105ed2761cd454e2a9b5a5f9894ba3ee8b9e0f20ee7279f838b7e057" dmcf-pid="75ZmtEe75v" dmcf-ptype="general">“공공기관의 AI 도입은 자연스러운 출발점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내부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를 점검하는 것이 우선이며, 각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AI와 결합해 어떤 차별점을 사회에 제공할 수 있을지 전략적 고민이 필요하다.”</p> <p contents-hash="3e25908e2018c5e0e58d4d59aeadacd3eef19373269fe3287bbcc8d3a55d75ba" dmcf-pid="z15sFDdzZS" dmcf-ptype="general">조동욱 한국ESG데이터 대표는 이달 23일 잠실 광고문화회관에서 열리는 '2025 공공기관 AI 도입 & 2026 계획 수립을 위한 세미나'에 앞서 가진 인터뷰에서 공공AI 도입을 위한 실무 프로세스 시작 전에 전략적인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557793d1929cde35868820a1459bc3363a081ebcb2652d95563fd218a3997dbb" dmcf-pid="qt1O3wJqGl" dmcf-ptype="general">조 대표는 “AI는 미국의 빅테크 기업이 주도하고 있는데, 각 나라에서는 나름의 AI 주도권을 갖기 위해서 자신만의 강점을 정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 없고, 공공기관의 AI 도입은 자연스러운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19b90039b9b242700bd6566f5530327031742b31abb0ef4e8591e55a95faa77" dmcf-pid="BFtI0riBGh" dmcf-ptype="general">조동욱 대표는 미국 나스닥 상장기업에서 데이터 플랫폼 엔지니어로 근무하며 미국의 AI 및 데이터 산업 생태계를 직접 경험한 전문가다. 2023년 한국ESG데이터를 설립해 국내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인권경영 컨설팅, ESG데이터 플랫폼 소프트웨어 개발, AI에이전트 서비스 개발 등을 하고 있다.</p> <p contents-hash="1dfc4b020f47eba0508ed76f469f4c4f1ac6985488e9db0fb875d5b6b0dbc85c" dmcf-pid="b3FCpmnbXC" dmcf-ptype="general">조 대표는 “각 국가가 가진 장단점을 고려해서 자신만의 AI 포지셔닝을 고민하듯이, 각 공공기관도 해당 기관만이 보유한 데이터를 AI와 결합해서 어떤 차별점을 사회에 제공할 수 있을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d13c8a3159090d0dc454558389f66426286f702c1add7ddc0f7c7a783da0d4e" dmcf-pid="K03hUsLKtI" dmcf-ptype="general">그는 새롭게 AI 도입계획을 세우는 공공기관들에게 '작은 성공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조 대표는 “무엇이든 이전에 해보지 않은 일의 추진 동력을 받기 위해서는 작은 규모의 잦은 성공 경험이 중요하다”며 “AI 도입에서도 너무 큰 계획보다는 작은 성공 경험을 지금부터 만들어보면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p> <p contents-hash="30d786d472730155b67d5be3e735cda4b208502d4da2df9b1542240d288f0683" dmcf-pid="9p0luOo9ZO" dmcf-ptype="general">구체적으로는 일상의 업무 중 반복되는 일, 순서도 그리듯이 매뉴얼화할 수 있는 일, 방대한 분량의 텍스트 또는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수기로 수집해서 처리해야 하는 일 등에 AI를 접목해보는 것을 제안했다.</p> <p contents-hash="1fe6ca7370695e627eb50ce3c02f8e6ec4fd43cc682570b32553c9a3d74e2097" dmcf-pid="2UpS7Ig2ts" dmcf-ptype="general">또한 공공기관 AI 도입을 위한 태스크포스(TF)팀 구성에 대해서는 최고 의사결정권자의 이해와 관심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조 대표는 “가장 먼저 최고 의사결정권자의 이해와 관심이 필요할 것 같다”며 “이를 위해서는 ROI 분석이 필요할 것이고, ROI 분석을 위해서는 현재 기관 내 직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f13ea34bc9811545348fe4773f21dad27f891fb020706988ad144059a92a6eee" dmcf-pid="VuUvzCaVHm" dmcf-ptype="general">그는 TF 구성원에 대해서는 “해당 기관의 각 직무에 대해 폭넓게 알고 있는 분과 특정 직무에 대해 매우 자세히 알고 있는 분이 함께 포함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2c2f37e4e317dc49a58383172eb19fc46472b15c56465777c888505e31d92e40" dmcf-pid="fHGDZAxpHr" dmcf-ptype="general">공공기관 AI 도입 프로세스에서 실무자들이 체크해야 할 부분으로는 업무 매뉴얼화를 강조했다. 조 대표는 “업무 매뉴얼이 있는 업무도 있고 없는 업무도 있을 텐데, 업무 매뉴얼화가 되지 않은 업무 중 빠진 것이 있다면 미리 준비하는 것이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74ceb0ca903a46eb939bdb9c70cd09d2617abb0b51cd04a2b1814b35c0aaf6a" dmcf-pid="4XHw5cMUZw" dmcf-ptype="general">그는 “특정 업무를 매뉴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얘기는 그 사실 자체가 인공지능 기술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업무일 확률이 높다는 얘기”라며 “아직 매뉴얼화하지 못한 업무가 있는지 체크해보면 좋겠다”고 조언했다.</p> <p contents-hash="6d323bd55b45a0296f5ff17c13673d9b8ed01fe5122047a2a9651494d7407c90" dmcf-pid="8ZXr1kRutD" dmcf-ptype="general">한편 조동욱 한국ESG데이터 대표는 23일 잠실 광고문화회관에서 '그래서 공공기관 AI 도입, 어디서부터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리는 세미나에서 공공기관 AI 도입을 위한 TF 구성 가이드와 도입 프로세스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f72ec85700d63857e169b3d1eae8366ab8bb7273c19de640f6abd0cf26acfafc" dmcf-pid="65ZmtEe7HE" dmcf-ptype="general">이 행사는 공공기관 LLM 도입 전략부터 필요기술, 공공AI 도입 TF구성 가이드까지 공공기관의 AI 담당자가 알아야 할 실무 위주의 발표로 구성돼 있다. 행사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행사 홈페이지(<span>https://conference.etnews.com/conf_info.html?uid=413</span>)에서 확인할 수 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d5205ff06c63932d560ce04938256dad6b50a5dd2d5d06fcad9c027f8252c17" dmcf-pid="P15sFDdzt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timesi/20250714143534970oajh.jpg" data-org-width="700" dmcf-mid="0mqYKvc6G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timesi/20250714143534970oajh.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0a73aaba8f8ef4b523de605e5e2c806d34bad1d63af396bdb4bf1474b491a523" dmcf-pid="Qt1O3wJqZc" dmcf-ptype="general">유은정 기자 judy6956@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해외선 자체 제작이 대세"…K게임사 뛰어드는 'UGC' 뭐길래 07-14 다음 [동아게임백과사전] “소닉이 토끼가 될 뻔했다?” 지금과는 다른 게임 캐릭터들의 초기 모습들! 07-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