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명이 우주를 쏘아올리다…국산 소형 발사체, 우나스텔라의 야심찬 비행 작성일 07-14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인터뷰]박재흥 우나스텔라 대표<br>지난 5월말 시험 발사 성공···국내 기관 협조 이끌어<br>항우연 발사체 기술 이전 받고, 첨단 기술 적용<br>박 대표 "최소 인력으로 빠르게 우주 헤리티지 확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y4nsQ7vTQ"> <p contents-hash="99eedcfa3ea8c08a477f73c18bd96418b83d46bbe6926b9b6762e041d40e618f" dmcf-pid="ZW8LOxzTTP"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스타트업답게 적은 인원으로 빠르게 국내 기술로 유무인 소형 발사체를 개발해 우주에 올리는 것이 목표입니다.”</p> <p contents-hash="ebf928d9746d12599e3aa5e2d1aad6db2ab58345b499ba68d6ecfb8ad10e8ab5" dmcf-pid="5Y6oIMqyv6" dmcf-ptype="general">국내 우주 발사체 스타트업 우나스텔라의 박재흥 대표는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2022년 2월 설립된 우나스텔라는 유무인 우주 발사체 개발을 목표로 하는 차세대 항공우주 스타트업이다. 하나벤처스, 하나증권,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등으로부터 누적 280억 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며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30d70924109e9a6983b4421fd8c4583245acc17f158264522c92901b68d5ab1" dmcf-pid="1GPgCRBWv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발사 장면.(사진=우나스텔라)"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daily/20250714141007111ysly.jpg" data-org-width="670" dmcf-mid="WLHtVWDxC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daily/20250714141007111ysl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발사 장면.(사진=우나스텔라)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7b0c9d44a38ec9c99be4670a8517fc334b87fa99bf7fca30d5fcd47c1c33c0e" dmcf-pid="tHQahebYT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daily/20250714141008969aypl.gif" data-org-width="654" dmcf-mid="YgtUPZOJW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daily/20250714141008969aypl.gif" width="654"></p> </figure> <div contents-hash="2eea16dfcd255119b58bbd377ef24b25fc8e53c9b036851d1cdbdcf840c8f7b0" dmcf-pid="FXxNldKGhf" dmcf-ptype="general"> 지난 5월 말 우나스텔라는 전남 고흥군 봉래면 발사장에서 오후 11시 50분 야간에 자체 개발한 소형 발사체 ‘우나 익스프레스 1호’를 시험 발사하는 데 성공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div> <p contents-hash="19216a20c14df638f00d8c6d8a59b1b760eab2d2ec19e0bd457aafa8d1de04be" dmcf-pid="3W8LOxzTyV" dmcf-ptype="general">총 19명의 인력으로 기술적 제약과 까다로운 규제 환경을 돌파해 국내 기업이 국내 영토에서 쏘아 올린 첫 민간 우주 발사체라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p> <p contents-hash="dfb8a1ef8bfd903775ba211eddb29c15d0ffb26c4b0eb29df4600cd0a42b9412" dmcf-pid="0Y6oIMqyl2" dmcf-ptype="general">‘우나 익스프레스 1호’는 길이 9.45m, 무게 2t, 추력 5t급의 케로신·액체산소 기반 엔진을 탑재한 소형 발사체로, 핵심 추진 시스템을 자체 개발한 것이 특징이다.</p> <p contents-hash="8f974828cffc317b28b8b1eae65a1f0e21fa91fefa0e15b98481f1c52bdeb2a3" dmcf-pid="pGPgCRBWy9" dmcf-ptype="general">박재흥 대표는 “정부기관, 군 당국, 지자체, 지역 주민 등 30여 개 기관의 협조를 일일이 구해가며 어렵게 발사를 성사시켰다”며 “이번 시험은 우리가 개발한 엔진이 실제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집중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1e5379451e92f662ddbbf7ea81bee84f0046332811c8805c7b86f7b10e1ab038" dmcf-pid="UHQahebYCK" dmcf-ptype="general">비츠로넥스텍과 독일항공우주센터(DLR) 등을 거치며 실력을 인정받은 항공우주 엔지니어 출신인 박 대표는 우주 기술을 직접 실증하고 싶다는 일념으로 창업에 뛰어들었다. 그는 속도와 효율성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자체 개발과 기존 기술의 전략적 활용을 병행해 소형 발사체 상용화 가능성을 빠르게 입증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26f0ee7743583416f05ca99906e27899fdad47e7ed7d0b236290ad22c9c22bf" dmcf-pid="uXxNldKGl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우나스텔라는 야간 발사에 성공했다.(사진=우나스텔라)"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daily/20250714141010592jjwp.jpg" data-org-width="670" dmcf-mid="G11bd0vav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daily/20250714141010592jjw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우나스텔라는 야간 발사에 성공했다.(사진=우나스텔라)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e783b6717fcd62febbf743aaa827ed3cb28ae5304255cb44c86f9a275a631bfb" dmcf-pid="7ZMjSJ9HTB" dmcf-ptype="general"> 우나 익스프레스 1호는 액체추진과학로켓(KSR-III) 외형을 따왔다. 우나스텔라는 사업 초기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해 핵심 기술과 경험을 전수받고 있다. 핵심 부품인 엔진은 자체 개발하고 있으며, 누리호의 터보펌프와 달리 전기모터펌프를 사용하는 발사체 개발을 목표로 한다. 전기모터펌프는 근래 미국 스페이스X의 경쟁사로 떠오르고 있는 로켓랩도 사용하고 있다. 전통과 첨단 기술을 아우른 셈이다. </div> <p contents-hash="b65afe3451a8a8927a42e6c5a1b6795f6ff4718e7d4ecd6aae7e28b436544912" dmcf-pid="z5RAvi2XTq" dmcf-ptype="general">우나스텔라의 목표는 준궤도(100km)에서 더 나아가 저궤도에 위성과 사람을 보낼 수 있는 소형 발사체 플랫폼을 제시하는 것이다. 스페이스X의 팰컨9로켓이 시장을 독주하고 있고 기존 아리안6호(유럽), H3로켓(일본), 소유즈 로켓(러시아) 등의 로켓이 있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이미 확보한 기술에 첨단 우주 기술을 적용한 우나스텔라만의 소형 발사체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7e9cb53a28ff9b193a4ebee4dae2b27d7c7732994feab61f3bfea649d8f916c" dmcf-pid="q1ecTnVZl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박재흥 우나스텔라 대표(왼쪽에서 두 번째)가 현장을 챙기고 있다.(사진=우나스텔라)"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daily/20250714141011933njft.jpg" data-org-width="670" dmcf-mid="HfQahebYC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daily/20250714141011933njf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박재흥 우나스텔라 대표(왼쪽에서 두 번째)가 현장을 챙기고 있다.(사진=우나스텔라)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82655f849aa8027e767737c5f0594a0d8356f01a1f028c85e560767722ce66f8" dmcf-pid="BtdkyLf5C7" dmcf-ptype="general"> 박재흥 대표는 “우주로 향하는 플랫폼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유무인 비행이 모두 가능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싶다”며 “이번에 발사한 시험체는 가압식 방식(기체 압력으로 추진제를 연소기로 밀어내는 방식)이었지만, 앞으로는 전기 모터 펌프를 탑재한 발사체를 개발해 더 높은 고도를 향한 비행을 실현하고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div> <p contents-hash="925aff2662aa4ab5674c369adf0d3f28e0959eb66d91a40d047341455f7567b5" dmcf-pid="bRStVWDxSu" dmcf-ptype="general">그는 국내 민간 우주 산업 생태계의 조성에 발맞춰, 제도적 뒷받침이 함께 이뤄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우주 스타트업은 기술 개발만으로도 벅찬 상황에서, 복잡한 인허가 절차와 규제는 큰 부담”이라며 “규제 샌드박스 도입과 우주 전용 펀드 확대, 그리고 발사체 개발을 위한 보다 기업 친화적인 환경 조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23296a5463eebe8fd34b758069fda5f152d410fcefa5a9c46a3264a179b9006b" dmcf-pid="KevFfYwMTU"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영상) 역대 가장 가까이서 본 태양…NASA 탐사선 ‘태양풍’ 포착 [우주를 보다] 07-14 다음 “챔피언은 패배에서 배운다” 한 달 전 프랑스오픈 역전패 충격 극복한 신네르, 라이벌 알카라스에 설욕하며 첫 윔블던 정상 07-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