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Z폴드7 더 얇아질 것…폼팩터 한계 돌파" 작성일 07-14 3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갤럭시 언팩] 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 브리핑</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vzw4GrRLX"> <p contents-hash="9ce460eb6e35799510402ca97f175025fb8fd09e0e90e135c8fe5b95795f5fd7" dmcf-pid="PG9Ix1CnMH"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신영빈 기자)[뉴욕(미국)=신영빈 기자] "얇고 가벼운 것만이 아니라 '제대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매 선택의 지점에서 최고의 균형점을 찾아 가장 완성도 높은 폴더블을 만드는 것에 집중했습니다."</p> <p contents-hash="05ecfe08f1f9dda7f025a4de7c1f343c7611a21fac954b50586a78d062c6146e" dmcf-pid="QH2CMthLiG" dmcf-ptype="general"><span>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는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갤럭시Z폴드7과 플립7은 단순한 개선이 아닌, 폴더블 스마트폰의 미래를 재정의하는 제품"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span></p> <p contents-hash="70b290d48b041b7226c8bdcfeac1b76e9e3750e36b755cb19deef1c1e2fbf14d" dmcf-pid="xXVhRFlodY" dmcf-ptype="general"><span>삼성전자가 폴더블 스마트폰 영역에서 또 한 번 혁신을 이루며 갤럭시Z폴드7과 플립7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신제품은 단순한 업그레이드가 아닌, 디자인과 내구성,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모두 혁신한 제품이라고 소개했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69bb059cdae958af32b65b2d4d256e34a2b0674ea683e4fee893eed83e26188" dmcf-pid="yJI4Yg8tM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가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갤럭시 하드웨어 혁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10934158gfdv.jpg" data-org-width="640" dmcf-mid="1XtaqhNfM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10934158gfd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가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갤럭시 하드웨어 혁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456ec841fd9f42cedacca675a5a4323ad7c1aa716ddb8b50a3ce5d3e4e1fcf0" dmcf-pid="WiC8Ga6FMy" dmcf-ptype="general"><span>삼성전자는 2019년 세계 최초 폴더블 스마트폰을 선보인 이후, 디자인과 기술의 한계를 끊임없이 넘어서며 폴더블 영역의 리더로 자리매김해 왔다.</span></p> <p contents-hash="7623acad47e980b93a4ad87b327d85d7cad692c5d71cdebad99bc3c894e6050f" dmcf-pid="Ynh6HNP3RT" dmcf-ptype="general"><span>갤럭시Z폴드7과 플립7은 6세대에 걸친 전문성과 혁신의 결과물로, 더 얇고 가벼우면서도 최고의 성능과 내구성을 갖췄다.</span></p> <p contents-hash="5f12e065cfd07cca245b8f6ee579545c7f4b11bb17f325d97177f1c408e71640" dmcf-pid="GLlPXjQ0Mv" dmcf-ptype="general"><span>강 상무는 "이번 제품은 단순한 기술의 발전을 넘어, 고객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인 노력의 결과물"이라며 "더 뛰어난 휴대성, 사용 경험, 기술 혁신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탄생한 '획기적인 진보'"라고 강조했다.</span></p> <p contents-hash="e600bb7c5fa830b0b7d805f712f32b519b153d0efe3e7d902a73b6ecc9002934" dmcf-pid="HoSQZAxpMS" dmcf-ptype="general"><span>그는 이어 "혁신은 단순히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중심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과정"이라며 "이번 신제품은 그 철학을 완벽하게 반영한 제품"이라고 덧붙였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f30a7e52647dfece1b425481851f799da8297c7e342c12aa4a43adb0759c6c2" dmcf-pid="Xgvx5cMUd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갤럭시Z폴드7(위)과 갤럭시Z폴드6(아래)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10934415eekj.jpg" data-org-width="640" dmcf-mid="tCXnUsLKd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10934415eek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갤럭시Z폴드7(위)과 갤럭시Z폴드6(아래)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39ff6b7259d3fe5de089e97c83df97d06d4e0e68bd07cd2b4a42c6ac43c26ad" dmcf-pid="ZaTM1kRuRh" dmcf-ptype="general"><span>갤럭시Z폴드7은 삼성 폴더블 스마트폰 중 가장 얇고 가벼운 제품이다. 접었을 때 8.9mm, 펼쳤을 때 4.2mm로 </span><span>1세대 폴드 모델 대비 두께가 약 48% 줄었다. 무게는 215g으로, 갤럭시S25 울트라보다 가볍다.</span></p> <p contents-hash="da1785d22eb9998f68d9a6a28acdf24e3956f884395d7823c76b07e514cffe0d" dmcf-pid="5NyRtEe7LC" dmcf-ptype="general"><span>강 상무는 "폴더블을 더 얇게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라며 "바 타입 스마트폰보다도 복잡한 구조를 가진 폴더블은 내부 설계부터 부품 배치까지 모든 것을 새로 설계해야 했다"고 설명했다.</span></p> <p contents-hash="564bbac3edd334a5485b663fe0c8179debd83584dca81476f4060ebe3fafcf35" dmcf-pid="1jWeFDdznI" dmcf-ptype="general"><span>강 상무는 갤럭시Z폴드7에 대해 4가지 혁신 요소를 강조했다. </span><span>우선 강화된 아머 플렉스 힌지를 적용해 전작 대비 두께는 27%, 무게는 43% 줄이고 내구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내부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했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9b39ff1dc0d2a1c5adc20cd0a51fef667354bac411e69c3264280709d89af57" dmcf-pid="tBntkVFOi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갤럭시Z폴드7 티타늄 플레이트 레이어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10934692ctlr.jpg" data-org-width="640" dmcf-mid="FNjusQ7vL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10934692ctl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갤럭시Z폴드7 티타늄 플레이트 레이어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74d77ca507667359b07513de14472d3f686b1ef43d4ae3e2d59dc3fb48a67e9" dmcf-pid="FbLFEf3Iis" dmcf-ptype="general">디스플레이 혁신을 위해 패널 구조를 최적화하고 새로운 고급 소재를 적용해 전체 두께를 39% 줄였다. 디스플레이 하단 구조 소재를 기존 카본 파이버에서 티타늄 합금으로 교체해 내구성을 강화했다.</p> <p contents-hash="b3d75ec63eae157e2260f8ff133835ae6adc1198f08b91d1b1d4d297605f8ed6" dmcf-pid="3Ko3D40Cdm" dmcf-ptype="general"><span>또한 새로운 액추에이터와 전체적인 구조를 재설계해 카메라 모듈 크기를 18% 줄이고 수만 건에 달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가장 얇은 2억 화소 카메라를 구현했다.</span></p> <p contents-hash="33b79cf81357359e0a4d0aa39722cd8957ba3468feafdab1db3e4e2a1779831c" dmcf-pid="09g0w8phMr" dmcf-ptype="general"><span>마지막으로 커버 스크린은 이전 세대 대비 강도가 약 30% 향상된 코닝 고릴라 글라스 세라믹 2를 적용했다. 프레임과 힌지 커버는 강화된 아머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등 내구성을 높였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5c068b1fcb0e6c866ce2fa63d0e1c52b4df868872e0c9c8f2d106b7d8ddf38f" dmcf-pid="p2apr6UlJ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갤럭시Z플립7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10934901nmjf.jpg" data-org-width="640" dmcf-mid="0fzw4GrRR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10934901nmj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갤럭시Z플립7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f9b8a78d7b1d249ccd7a9b688f69ba836a95697b7529f1b4b252b74e15f56ac" dmcf-pid="UVNUmPuSiD" dmcf-ptype="general"><span>갤럭시Z플립7은 펼쳤을 때 6.5mm, 접었을 때 13.7mm로, 이전보다 더 콤팩트한 디자인과 뛰어난 휴대성이 특징이다.</span></p> <p contents-hash="7aba11e6c72828a246213242ff92d353005854edc6f92e71c800059ab696e176" dmcf-pid="ufjusQ7vME" dmcf-ptype="general"><span>강 상무는 이 같은 성과는 3가지 핵심 하드웨어 혁신을 통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span><span>먼저 </span><span>힌지 두께를 전작 대비 29% 줄였지만 안정적인 플렉스 모드와 내구성은 그대로 유지했다.</span></p> <p contents-hash="4be5249bf9e2b329444028b1fe6791eb8353bcda32041b1a6a7477ca23014420" dmcf-pid="74A7OxzTnk" dmcf-ptype="general"><span>카메라와 리시버, 마이크 같은 부품 사이 공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고밀도 회로 기판을 새롭게 설계해, 전 갤럭시 스마트폰 중 가장 집적도 높은 내부 실장을 갖췄다. </span><span>또한 카메라 모듈, 배터리 등 주요 내부 부품 모두 부피를 더 얇게 최적화했다. 특히 배터리는 더 콤팩트 해지면서도 용량은 전작보다 300mAh 키웠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04454a6a6a1c3b11e76b3ac6a6bb9767fcd69e9f3e9e4586d7447a3a8a3eb68" dmcf-pid="z8czIMqyJ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갤럭시Z플립7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10936209osvh.jpg" data-org-width="640" dmcf-mid="83SQZAxpR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ZDNetKorea/20250714110936209osv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갤럭시Z플립7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1e82d61644d32a27589781288d341431bca4be18a17c039432919b8e6c02b2e" dmcf-pid="q6kqCRBWeA" dmcf-ptype="general">갤럭시Z플립7은 휴대성과 함께 디자인의 완성도를 한층 높였다. 모든 면의 가장자리까지 시원하게 확장된 커버 스크린 디자인으로 더 깔끔한 화면 구성을 제공한다.</p> <p contents-hash="2332d6a666be77310014f2cb97d9888cdcea43bc26b87d8864b263c1b36cfb0b" dmcf-pid="BPEBhebYJj" dmcf-ptype="general"><span>디스플레이 베젤은 전작 대비 70% 얇아진 1.25mm로 더 넓은 화면 사용성과 세련된 디자인을 동시에 구현했다.</span></p> <p contents-hash="b47444b03b5569aece6e90ded311d25bf65de99f09b13c25841900d8bafe716f" dmcf-pid="bQDbldKGLN" dmcf-ptype="general"><span>강 상무는 "플립7은 단순히 작은 크기가 아니라,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사용성을 제공하는 제품"이라며 "이것이 바로 혁신의 진정한 의미"라고 말했다.</span></p> <p contents-hash="153c7bab7c396667c16f2983e545c0149f1b67dc86b07b5532ad2068815f6c2a" dmcf-pid="KxwKSJ9HJa" dmcf-ptype="general"><span>그는 "갤럭시Z폴드7과 플립7은 디자인과 내구성, 사용자 경험의 완벽한 균형을 찾아낸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폴더블 영역에서 삼성만의 혁신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span></p> <p contents-hash="4687fb83dad3db9b2e026777d7ecda620650ff30b09ef80e11c1ff0f67d2d203" dmcf-pid="9Mr9vi2XMg" dmcf-ptype="general"><span>다음 세대에서는 더 얇은 제품도 가능할 것이란 관측도 내놨다. 강 상무는 "갤럭시Z8 시리즈에서는 또 다른 혁신을 준비하고 있다"며 "얇기 측면에서도 더 나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span></p> <p contents-hash="9cd7709f0bc19309024270fe6a1aaab8a0ce9f0ac9b5747619e7264d04366020" dmcf-pid="23QWL7YcLo" dmcf-ptype="general">신영빈 기자(burger@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강하늘, 의도를 알 수 없는 식성…"감 씨앗 파먹는다" 일동 경악 ('틈만 나면') 07-14 다음 “사람처럼 소통…멀티모달 AI, 일상 스며들것” 07-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