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ICT수출 역대 최대…AI 투자 힘입어 '반도체' 날았다 작성일 07-14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상반기 ICT 수출 1151.6억弗…수입 124.1억弗·무역수지 96.2억 弗<br>6월 ICT 수출은 역대 최대 220.3억弗…반도체 수출 사상 최대 기록</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QlJKa6Fh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50ab33cebbb0a40b42dd101452f0ccd3f531ced3a14395405143b61d92de509" dmcf-pid="1xSi9NP3y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에 최소 25%에서 최대 40%에 이르는 국가별 상호관세를 적시한 '관세 서한'을 보내 이를 8월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무역 상대국들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기존의 7월9일에서 8월1일까지로 연장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사진은 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모습. 2025.07.08. jtk@newsi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newsis/20250714110135859gdwb.jpg" data-org-width="720" dmcf-mid="Z4GN6DdzS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newsis/20250714110135859gdw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에 최소 25%에서 최대 40%에 이르는 국가별 상호관세를 적시한 '관세 서한'을 보내 이를 8월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무역 상대국들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기존의 7월9일에서 8월1일까지로 연장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사진은 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모습. 2025.07.08. jtk@newsis.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f4a0488e0a6df4e2a1699ec19d494355a60e105c9423269931ddba452183a52" dmcf-pid="tMvn2jQ0TO"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이 미국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6월 역대 최대 실적인 220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종전 기록인 2024년(210억4000만 달러)보다 10억 달러 가량 늘었다. 6월 반도체 수출 실적이 사상 최대 실적을 낸 덕이다.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확대에 따른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149억8000만 달러를 달성했다.</p> <p contents-hash="917593da3aacebdafcda0b204f88a8d2bcaad9372cf24d0793faf2cb847392c2" dmcf-pid="FRTLVAxpCs" dmcf-ptype="general">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의 ICT 수출입 동향 통계에 따르면 상반기 수출은 1151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수입은 5.8% 증가한 709억2000만 달러를 기록해 무역수지는 442억40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ac0f1794656f062e363282d5d3eaca7cbdb961fae9442331c0e41e339c322c91" dmcf-pid="3eyofcMUSm" dmcf-ptype="general">6월 수출은 220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7% 증가했고, 수입은 124억1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하며 96억20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b467add02ef054927ee94da5d991654b3997e28eaa8ed966df8c292db36182a9" dmcf-pid="0dWg4kRuTr" dmcf-ptype="general">상반기 ICT 수출은 주요 품목 무관세 적용과 AI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 등으로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 2022년(1224억6000만 달러)에 이어 상반기 역대 2위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b3ed7b8e6fcbc8d0d252133d00049e8ae1ed0e236aeebe71adc83401af610f2a" dmcf-pid="pzA21PuShw" dmcf-ptype="general">상반기 품목별 실적 및 특징을 살펴보면 반도체 수출은 11.4% 증가한 733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AI 서버 투자 확대에 따른 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의 수출 호조가 이어지고 D램, 낸드 등 주요 메모리 제품의 고정가격이 반등하며 역대 상반기 최대 수출 실적을 보였다.</p> <p contents-hash="d569975bae473d27b718cbda7a9544387fd99d17b5355a36560ffb8c62510673" dmcf-pid="UqcVtQ7vhD" dmcf-ptype="general">휴대폰 수출은 9.1% 증가한 60억8000만 달러였다. 국내기업의 스마트폰 주력 모델 판매 호조 및 완제품 생산을 위한 모듈 등의 부분품 선전으로 수출이 증가했다.</p> <p contents-hash="6186343d8d2b61975024f90717d5f70dc8ef218409891740177acc49085333a3" dmcf-pid="uBkfFxzTyE" dmcf-ptype="general">컴퓨터·주변기기 수출은 10.8% 증가한 66억4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AI 서버 확산으로 데이터센터의 저장장치에 사용되는 SSD가 수출을 견인하며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했다.</p> <p contents-hash="2f71aa84189f378df686f83616cd9373b093bd6c0ba15c0bae1bc9d5de0cd4b1" dmcf-pid="7bE43Mqylk" dmcf-ptype="general">반면 디스플레이 수출은 13.9% 감소한 87억 달러로 나타났다. 글로벌 소비 여건 악화 및 전방산업 물량 조절의 영향, 전년도 기저효과 등의 탓이다.</p> <p contents-hash="1bab5fe586b3799bf4866b0486b78a831579f679271ecba11d65257d7e7955a7" dmcf-pid="zKD80RBWTc" dmcf-ptype="general">통신장비 수출도 2.5% 감소한 11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글로벌 장비 시장 정체 지속, 단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베트남 해외 생산 확대(약 80%) 등으로 수출이 줄었다.</p> <p contents-hash="e3ffe918f255f0b7a034fdf63bc83531a982402d87ca2ffd6c42210c87d99e5e" dmcf-pid="q9w6pebYWA" dmcf-ptype="general">지역별 상반기 ICT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최대 수출국인 중국(홍콩 포함)은 11.5% 감소한 419억8000만 달러였다. 휴대폰 수출은 증가했으나 그외 모든 분야에서 수출 규모가 쪼그라들었다.</p> <p contents-hash="28fbf35f3b3b0302ed260e9d33bd1143ecad920bc643ce5518a6e476b6aebfc9" dmcf-pid="B2rPUdKGhj" dmcf-ptype="general">베트남 수출은 190억6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 늘었다. 반도체, 컴퓨터·주변기기가 전체 수출 실적을 견인했다.</p> <p contents-hash="22a224da5b64bb62768caf15f8d9ae619ea5208a8fe58168858819a429b0b681" dmcf-pid="bVmQuJ9HSN" dmcf-ptype="general">대만은 154억2000만 달러를 수출하며 89.6%가 증가했다. 휴대폰 등이 수출을 견인했다.</p> <p contents-hash="d23a74792f8fd5401b8087ec92299afe7b5231887abcb6a94d43cfa2fe5fdf84" dmcf-pid="Kfsx7i2Xva" dmcf-ptype="general">미국에는 14.5% 증가한 144억2000만 달러를 수출했다. 휴대폰 수출이 무려 191.6% 증가한 7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주요품목 전반의 수출도 늘며 전체 수출이 증가했다.</p> <p contents-hash="ee9528acb69e963007ffb5702619b55a5e7ece9bb4a1c924084946c788be95e8" dmcf-pid="94OMznVZSg" dmcf-ptype="general">유럽연합은 58억 달러 수출로 2.7% 줄었고, 일본은 19억5000만 달러 수출로 5.7% 늘었다. 인도는 28억4000만 달러 수출로 9.3% 증가했다.</p> <p contents-hash="f23b712fc30022366dfc88bf942b544097009da13b2a5ccb4bf886549721b18e" dmcf-pid="20oqGVFOyo" dmcf-ptype="general">한편 6월 ICT 수출은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6월 역대 최대 실적(220억3000만 달러)과 반도체 수출에서 사상 최대 실적(149억8000만 달러)을 기록했다.</p> <p contents-hash="abe1c3797919990d3b51e24cb8135254a18026a61175030eab65643fb8a912dc" dmcf-pid="VpgBHf3ISL"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hsyhs@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韓 ICT 산업 상반기 무역수지 60조9362억원 흑자… 수출 규모 역대 2위 07-14 다음 "폴더블폰 新세대" 자신감…삼성, 어떻게 '동전 두께폰' 만들었나 07-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