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과 사람이 공존하는 국가 전략 제시한 'AI 뉴딜' 출간 작성일 07-14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저자 노규성 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장, 광문각출판미디어 발행</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YQNVAxpG0">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6a90ce54a1639526d1626b8ed89ca5af07116f9f63314d15314eb3ebc80cb08" dmcf-pid="pGxjfcMUG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timesi/20250714102133378gqle.jpg" data-org-width="411" dmcf-mid="3lzQ3Mqy5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timesi/20250714102133378gqle.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c4b5f1ad0825a45be6b4777c4705b89651b556216143bb518a3eae0d5d999d8" dmcf-pid="UHMA4kRu5F" dmcf-ptype="general">디지털 전환 시대,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꿀 AI 기반의 국가 전략이 제시된다. 'AI 뉴딜:AI 기본사회 구현 전략'(노규성 지음, 광문각출판미디어 발행)은 AI 기술이 국가 발전을 어떻게 이끌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혁신적인 전략서로, 'AI 뉴딜'이라는 새로운 사회계약을 통해 대한민국의 미래를 재설계하고자 한다.</p> <p contents-hash="9cfd1341a54f331235b20ca28deceb1ae8ac41c1285d769904e2a30f6a561306" dmcf-pid="uXRc8Ee71t" dmcf-ptype="general">저자인 노규성 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장은 AI 뉴딜을 단순한 기술 투자나 정책이 아닌, 국가와 국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포용적 사회의 밑그림이라고 정의한다. 그는 이 책에서 “AI가 공동체를 해체하는 도구가 아니라, 오히려 사회적 안전망을 복원하고 불평등을 해소하는 도구가 돼야 한다”고 강조하며, 대한민국을 다시 세우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p> <p contents-hash="55f6aed5421dc7c65ffb6e1683db34f95e651550810e2db2d250ccb095a25dbf" dmcf-pid="7Zek6Ddz51" dmcf-ptype="general">'AI 뉴딜'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구조적 위기를 진단하며 시작된다. 고착화된 불평등과 저출생, 수도권 집중과 지역 소멸, 청년 세대 탈이념화 등 대한민국 경제·사회적 문제는 더 이상 과거의 방식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AI라는 점에서 저자는 AI 뉴딜을 통해 한국 사회 대전환을 꿈꾼다.</p> <p contents-hash="500ee35128b59f6045c51c076c17d502f22cd2677db77dea10f70304a22e1922" dmcf-pid="z5dEPwJq15" dmcf-ptype="general">이 책은 AI가 단순히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한다. AI는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며, 고용 있는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정부의 과감한 개입과 정책 혁신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AI는 공공성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다.</p> <p contents-hash="e595772cc2ead28104afbedb7bd0e7484205db768c633d8d6dc85bbd3a7c99dc" dmcf-pid="q1JDQriB5Z" dmcf-ptype="general">'AI 뉴딜' 핵심은 비전과 실행 전략이다. 이 책에서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과제를 소개한다. AI 뉴딜의 비전은 'AI 3대 강국' 'AI 유니콘 300개' '코스피 5000' '국민소득 5만 달러 시대' 실현이다. 이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AI 뉴딜은 7개 성장동력 창출 전략과 9개 인프라 혁신 전략을 제안한다.</p> <p contents-hash="a7535ecb1b33fc7fc56f2c4f8ab5133ce0486153ada468d8e67f4a359796c60e" dmcf-pid="BtiwxmnbGX" dmcf-ptype="general">성장동력 창출 전략은 제조업 및 주력산업 AX, 중소기업·소상공인 AI 스케일업, AI 스타트업 및 유니콘 육성, AI 기반 공공 혁신을 통한 신시장 창출, AI 융복합 신산업 육성, 지역 특화 AI 클러스터 구축, AI 기반 녹색산업 혁신 등으로 구성된다.</p> <p contents-hash="c1e3e53a696233bb638c38650741e13086830821d1e68439a4a53e6bf023df2b" dmcf-pid="bFnrMsLKGH" dmcf-ptype="general">이와 함께 인프라 혁신 전략은 AI 인재 양성 체계 혁신, AI 연구개발 생태계 혁신, 데이터 자원 확보 및 활용 인프라 고도화,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법·제도 및 규제 합리화, AI 신뢰성·윤리 기반 구축, AI 분야 투자 및 재정지원 연계, 거버넌스 및 협력 인프라 확충, AI 보안·사이버 방어 체계 구축 등으로 이루어진다.</p> <p contents-hash="8ec55941b10ce2b891eb6535d7364a66d96bc36539ddccde883fd8164204d07d" dmcf-pid="KeypCuWAGG" dmcf-ptype="general">노규성 회장은 이 책이 정치인에게는 국가 전략서, 공직자에게는 정책 설계 도구, 현장 전문가에게는 실천 매뉴얼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한다. 시민들에게는 AI가 어떻게 우리의 삶과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을지 상상하고 실현하는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p> <p contents-hash="29bd5193fe5b083d2b512c69ba4edb19b867a434da342105b512f2c6ffe17611" dmcf-pid="9dWUh7YcZY" dmcf-ptype="general">“AI 뉴딜은 단순한 기술 혁신이 아닌, 국민 모두의 존엄과 주권을 회복하는 민주주의 전략”이라고 노 회장은 결론짓는다.</p> <p contents-hash="67dca98aba4a72d081a2e0ce730b64bc2142bfe6e5a3c729363dc72cc20dff6c" dmcf-pid="2JYulzGktW" dmcf-ptype="general">저자인 노규성 박사는 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장이다. 현재 한국생성형AI연구원장, 전자신문 부설 디지털융합연구원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p> <p contents-hash="5e08922a87f2235281cd8a609fab75a7e03214d3eaa7a0eda2e07be8911a50d8" dmcf-pid="ViG7SqHEHy" dmcf-ptype="general">한국외대 경영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영정보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선문대 경영학과 교수,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2분과 자문위원, 제19대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경제2분과 전문위원,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 한국생산성본부 회장, APO(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이사, 한국디지털정책학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대통령 표창장(정부혁신 기여), 근정포장(정부업무 발전 기여), 동탑산업훈장(국가 정보통신 정책 수립 공헌)을 수상했다.</p> <p contents-hash="a4dc61086ad5af8377f26bfaf1b1ac5d43bc2f1d87ccaa75488a58ca5d16fa8d" dmcf-pid="fnHzvBXDGT" dmcf-ptype="general">저서로 '의사를 위한 챗GPT'(2025), '미디어 콘텐츠 AI 프롬프트 디자인'(2025), '인공지능 앞에 선 CEO'(2024), '생성형 AI 프롬프트 디자인 실무'(2024), '생성형 AI 프롬프트 디자인'(2024), '빅데이터 개론'(2023), '디지털 비즈니스 디자인'(역, 2022),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전략경영 혁신'(2022) 등이 있다. '생성형 AI 활용 역량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생성형 AI에 관한 인식 및 집단간 차이 분석' 등 다수의 연구논문과 보고서가 있다.</p> <p contents-hash="36186526838d5069280165e207a9068311908e9c2d88c9fcf62599e59e21a857" dmcf-pid="4LXqTbZw1v" dmcf-ptype="general">〈도서 정보〉</p> <p contents-hash="a9d4158da9a063d0819cc570ee820ea64d56e018ca99e67e207ccc83af71a576" dmcf-pid="8oZByK5rtS" dmcf-ptype="general">도서명:'AI 뉴딜: AI 기본사회 구현 전략', 저자:노규성, 출판사:광문각출판미디어, 판형:신국판/240쪽/2도 인쇄, 가격:1만9000원, 발행일:2025년 7월 15일, ISBN:979-11-93205-65-5</p> <p contents-hash="cbe14215dc2de70205a3c9552d760db93b0208d8200a65cea105e88148b51887" dmcf-pid="6g5bW91m1l" dmcf-ptype="general">김현민 기자 minkim@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삼성전자, 15일부터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사전 판매 07-14 다음 포시에스, 日 파트너사 메트로와 현지 제조업 디지털 전환 시장 '정조준' 07-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