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피해 알려봤자 회사만 손해?…기업 80% 신고 안하고 속앓이만 작성일 07-14 3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기업 보호방안 없는 해킹 신고제도<br>경미한 해킹 사고도 신고로 알려지면<br>고객이탈·주가 급락 등 피해 커져<br>"美·英처럼 익명신고, 보호책 필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Uo3NyEQvb"> <p contents-hash="df82424754bc6ef5610d28cbb52300442e98b6012e257224f92ad0fa7922d61c" dmcf-pid="1ug0jWDxvB"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최연두 기자] 국내 기업 10곳 중 8곳은 해킹 등 침해 사고를 겪고도 이를 당국에 신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가 올해 4월 공개한 ‘2024 정보보호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3년 사이버 침해를 경험한 기업 가운데 관련 기관에 신고한 곳은 19.6%에 불과했다. ‘피해가 경미하다’거나 ‘이미지가 훼손될까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8999453de5ff6ca260a3f4a8c03c8739d7ef1b21b9183ebddda8e2cbd9cec1f" dmcf-pid="t7apAYwMy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그래픽=김정훈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daily/20250714050807967rlgt.jpg" data-org-width="670" dmcf-mid="ZaOfhUyjh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Edaily/20250714050807967rlg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그래픽=김정훈 기자)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00a7dd7b24aca6af756616bb023c8e5e30d2a7167f5a9f36b400e33bd41a52f" dmcf-pid="FzNUcGrRSz" dmcf-ptype="general"> 그러나 보안 침해 사실을 감추는 관행은 2차 피해로 이어지고, 기업의 방어 역량을 오히려 약화시킨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보안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경영의 문제라며 CEO와 이사회가 주도하는 전략적 보안 체계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div> <p contents-hash="0621ba72f7aa9c32d1ec835ada447192e3c65e7792d43992bfc4bb482a20191f" dmcf-pid="33i1oSA8C7" dmcf-ptype="general">국내 기업 1000여 곳이 ISMS(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을 받았지만, 실제 해킹 피해를 입은 기업 중 절반 이상이 ISMS 인증 대상이었다. 인증은 받았지만, 방어는 못 하는 구조다.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명예교수는 “ISMS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위험을 평가하고 대응하는 구조지만, 범위 밖 자산이나 개발 서버는 심사에서 누락돼 실질적인 보안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e489ae9b2fd972f67426b6a824e8222f3720fd61e7b0f7898920d45b2bceea70" dmcf-pid="00ntgvc6lu" dmcf-ptype="general">또 현행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은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와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를 지정해야 하지만, 다수 기업에선 이들이 형식적으로만 존재하고, 실질적인 의사결정권이나 예산 권한은 없다.</p> <p contents-hash="829d1690adf84649168282f9c88b033089d0b6122a35c18324c9468a28092cc1" dmcf-pid="ppLFaTkPCU" dmcf-ptype="general">염 교수는 “사고 대응이 늦어지는 이유는 책임자가 책임만 있고 권한은 없기 때문”이라며 “보안 예산을 운영하고 이사회에 직접 보고할 수 있는 전략 임원으로서의 역할 강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35928098ae43df98f56227511b5711f5614845bee8218eaf05e1f648fb93dd1" dmcf-pid="UUo3NyEQWp" dmcf-ptype="general">하지만 피해를 당하지 않아도 다크웹 등에서 기업명이 거론되는 것만으로도 기업은 막대한 타격을 입는다. 최근 ‘업비트’와 ‘스마트스토어’ 관련 허위 해킹 사례가 대표적이다. 해커의 주장만으로도 고객 문의가 급증하고 주가가 흔들리는 등 허위 정보만으로도 리스크가 발생하는 현실이다.</p> <p contents-hash="b00692d4124fba7ab43d7dad6b9d8d547bb3f9407df2939aedd2c76394c06c5e" dmcf-pid="uug0jWDxT0"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사고 은폐 대신 투명한 공개를 장려하는 구조로의 전환을 제안한다. 미국은 사이버사고 신고 시 일정 수준의 법적 책임을 감면하는 사이버사고 신고법(CIRCIA) 를 오는 10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영국도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 체계에서 신속 보고 시 과징금을 감경하는 등 유인책을 마련했다.</p> <p contents-hash="ac16ce733f0e0c11f0c88273d18a08d59059f19db634d57af1d385818a8e9f66" dmcf-pid="77apAYwMW3" dmcf-ptype="general">국내도 유사한 면책 제도와 자발적 신고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박태환 안랩 사이버시큐리티센터(ACSC) 본부장은 “기업이 사고를 투명하게 공유해야 사회 전체의 보안이 강화된다”며 “익명 신고 시스템과 피해 기업 보호책이 함께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39eb6415abdef29a2d533b6a8fff9e185b6d1b8fd23fc14a3e21f520e54db8c2" dmcf-pid="zzNUcGrRlF"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문가영 부모 죽음? 피아노 전공→변호사 된 이유 암시 (서초동)[결정적장면] 07-14 다음 해외는 해킹 신고하면 면책주는데…한국선 '낙인효과'만 07-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