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항기 기종 2030년대 교체 전망... 지금이 항공 RSP 뛰어들 '골든타임' 작성일 07-14 3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세계 민항기 수요 20년 내 2배 증가 예상<br>위험 나누고 장기 수익 낼 RSP 전략 준비<br>팀 코리아 구성, 협상력 강화 나선 우주청<br>"복합소재, 엔진 등 기술 강점 확보해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XJ6fjQ0Sw">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96dce4d53c4b4fe47c59cb985ec82902d68ed3313c9c2e3dff0ee6329ad73e5" dmcf-pid="XZiP4AxpC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경남 창원에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1사업장에서 2019년 5월 엔지니어들이 항공기 엔진을 점검하고 있다. 한화에어로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hankooki/20250714043317244vjvv.jpg" data-org-width="640" dmcf-mid="6ZOJRmnbW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hankooki/20250714043317244vjv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경남 창원에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1사업장에서 2019년 5월 엔지니어들이 항공기 엔진을 점검하고 있다. 한화에어로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3ed776cb113ab693a67e973c858deece3e607774f11d2376e773eef0f1dc0f3" dmcf-pid="Z5nQ8cMUlE" dmcf-ptype="general">10년 전 한화테크윈(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신)은 세계 3대 항공기 엔진 제작사인 미국 프랫앤휘트니(P&W)와 국제공동개발사업(RSP·위험분담협력) 계약을 맺었다. 당시 2061년까지 약 38억 달러(5조2,200억 원)에 달하는 엔진 부품을 공급하기로 했고, 현재 개발 중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한 번 엔진이 개발되면 30~40년간 시장에 돌아다녀 수익성이 크다"면서 "수조 원이 투입되는 항공기 개발 위험을 나눠 부담하는 장점도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2fce193a9f11dc483e293148cd77dbac4fd9da1b37db8937e9568bbe6861a578" dmcf-pid="51Lx6kRuTk" dmcf-ptype="general">2043년 민항기 수요가 지금보다 두 배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항공업계에서 글로벌 공급망에 진입하고 자체 기술력을 키우기 위해 RSP에 참여하려는 기업이 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대응해 우주항공청도 우리 기업들의 RSP 참여 확대를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섰다.</p> <hr class="line_divider" contents-hash="2b70149d71924a8558263556001eef5fb82f790e5ab4785d55be4db4dfe03701" dmcf-pid="1toMPEe7Cc" dmcf-ptype="line"> <h3 contents-hash="d7e4ba3e3310506722b72bfe62100ae0cf1a112dfdba6dfcd87586fd1a344d11" dmcf-pid="tFgRQDdzSA" dmcf-ptype="h3">국내 기업 민항기 RSP 참여 비중 1% 그쳐</h3>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786da828314aeb1605493bb290e0a9b55f36031b13821169630f4f61f585b35" dmcf-pid="FiZvhUyjW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내 RSP 참여 체계. 그래픽=이지원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hankooki/20250714043318487xaks.png" data-org-width="640" dmcf-mid="QosAaTkPT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hankooki/20250714043318487xaks.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내 RSP 참여 체계. 그래픽=이지원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b984ce42117eed4b90ea6d573ac9b8265cc6586c936ffb89fd8fae1c7252b77" dmcf-pid="3n5TluWAvN" dmcf-ptype="general">우주항공청은 국내 기업의 민항기 RSP 참여 비중을 높이기 위한 '팀 코리아' 구성을 추진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지난달 말 주요 항공기업 관계자들을 모아 간담회를 열고 협의체 구성 방안과 RSP 확대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정부 주도로 기업들이 연합한 컨소시엄을 만들고,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공동 대응해 협상력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기술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과 정책금융 연계 등 각종 지원 방안도 논의됐다.</p> <p contents-hash="9fe8b4061335675eb1c2b6684f4a405858dcb64d7271cb0abc1ac93870873bd7" dmcf-pid="0L1yS7Ycla" dmcf-ptype="general">항공 선진국에선 RSP가 이미 기술 개발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미국 보잉은 새 민항기를 개발할 때 개발 지연이나 비용 증가 같은 위험을 분담하기 위해 이탈리아, 일본 등과 RSP를 해왔다. 유럽의 에어버스 역시 동체, 날개 같은 하부구조물 제작을 RSP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정부 주도로 주요 항공 기업들을 컨소시엄 형태로 묶어 RSP에 전략적으로 참여하며 해외 시장에서 신뢰도를 높였다. 그 결과 보잉 787 개발 당시 일본의 RSP 참여율은 35%까지 확대됐다.</p> <p contents-hash="dc6fa46daed75a520e3c4a1f4ba50738d0f5645a621b4264abb3496fe55c9faf" dmcf-pid="potWvzGkvg" dmcf-ptype="general">반면 국내 기업의 RSP 참여율은 저조하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한항공처럼 기술력과 자금력을 갖춘 소수의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보잉, 에어버스 같은 주요 항공기 제조업체들과 수천억 원 규모의 RSP 계약을 체결했지만, 부품 일부를 수주해 생산하는 수준이다. 우주청 관계자는 "항공기 한 대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국내 기업이 담당하는 비중은 1% 정도에 그친다"며 "정부와 기업이 협의체를 구성해 협상력을 키우고 지분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p> <hr class="line_divider" contents-hash="a7eb43f27a415d39d21f44536a72f6e400b772c9eae5a333275dbf75f0f4f6c4" dmcf-pid="UgFYTqHEvo" dmcf-ptype="line"> <h3 contents-hash="544bf6a071a842d027c34913ae05ec8af5f990a3a1d910d40fff43e678c1664c" dmcf-pid="ua3GyBXDlL" dmcf-ptype="h3">"처음 판에 못 끼면 하청 생산만 하게 돼"</h3>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3775c44874dbce7158fd93b148581cd02d95d4fb97a64d71ffef2e948dd9e58" dmcf-pid="7N0HWbZwv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대한항공의 보잉 787-9 항공기. 대한항공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4/hankooki/20250714043319760tbyc.jpg" data-org-width="640" dmcf-mid="G1mjgvc6C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4/hankooki/20250714043319760tby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대한항공의 보잉 787-9 항공기. 대한항공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a517c8050be8b1df265b19371d2f3be80511cc7e4b1f124a1e4c53791c3e84d" dmcf-pid="zjpXYK5rhi" dmcf-ptype="general">국내 항공산업이 경쟁력을 키우려면 RSP에 참여해 설계와 생산을 포괄하는 개발 경험을 쌓을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기술력과 신뢰도가 높은 글로벌 제작사와의 공동 개발에 초기 단계부터 참여할 경우 설계, 공법, 특허 등을 배울 수 있다. 장기 납품권도 확보할 수 있어 타국 경쟁사로의 물량 이전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설계 역량을 높이고 글로벌 업체와 신뢰를 쌓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경로"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88301bfd907a793ca744a54c0a93887f68087209b85df946b0050f1ed8ad90a5" dmcf-pid="qAUZG91mWJ" dmcf-ptype="general">지금이 RSP 협의체를 구성할 '골든타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는 단거리 노선에 주로 쓰이는 에어버스 A320이나 보잉 737의 개발 시점으로 미뤄볼 때, 2030년대 중반을 차기 기종 교체 시점으로 예측한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2027년까지 RSP 협의가 본격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새 기종이 개발되면 장기간 시장을 점유하는 항공산업 특성상 초기 참여 기회를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성일 한국우주항공산업협회 우주항공정책실장은 "처음 판에 끼지 못하면 하청 생산만 하게 된다"며 "기회를 놓치면 다시 수십 년을 기다려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95909669dad625441b5c3ae53e8b95934fecb7766c88a887fc9569898f0d78d" dmcf-pid="Bcu5H2tsvd" dmcf-ptype="general">다만 주요 기업과 공동 개발에 나서려면 기술 역량을 높여야 한다. RSP는 수익뿐 아니라 실패할 경우 손실도 공동으로 부담하는 구조여서, 글로벌 항공기 제조사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력을 갖추고 품질과 납기 신뢰도를 검증받은 기업과 협력하길 선호한다. 김광일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군수용 항공기 개발 경험은 풍부하지만, 민항기 분야에선 아직 초보 수준"이라면서 "국내 기업이 강점을 보이는 복합 소재, 자체 제작 역량을 확보해가고 있는 엔진 기술 등에 R&D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p> <p contents-hash="3bc5d2f5351c103a328b04071c05d553efca6afe7c4421df65571a3bb2098b10" dmcf-pid="bk71XVFOhe" dmcf-ptype="general">김태연 기자 tykim@hankookilbo.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알카라스의 3연패는 없었다···신네르, 이탈리아 선수 최초 윔블던 남자 단식 정상 07-14 다음 신네르, 알카라스 꺾고 첫 윔블던 우승...지난달 프랑스오픈 결승 패배 설욕 07-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