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연료전지 촉매 상온서 합성 성공…초음파 만으로 성능 7배· 수명 4.2배↑ 작성일 07-13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IST-POSTECH-KAIST-동국대 연구진, 공정 단순 경제성도 갖춰</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aePrhNfL4"> <p contents-hash="840b8c97fe34498b400f7a8583424422c346152c1176b51852d9dcb05cb807e4" dmcf-pid="4NdQmlj4df"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수소연료전지는 온실가스 배출 없이 고효율 전기 생산이 가능해 차세대 친환경 기술로 주목한다. </p> <p contents-hash="0df18527d1ec7a9b638244706ac632303339b41b3a4c8e392b27d68cf8d7f4a8" dmcf-pid="8jJxsSA8eV" dmcf-ptype="general">그러나 장시간 운전하면, 촉매 금속 성분이 녹거나 입자가 뭉쳐 반응 효율이 뚝 떨어진다. 촉매로는 백금을 주로 쓰는 데, 교체 비용도 만만치 않다.</p> <p contents-hash="b8b8c26d41b77a9b2cbe82a1de6bf3bb3686b46e0fc1cb8fd0e94ba9bddd425c" dmcf-pid="6AiMOvc6R2" dmcf-ptype="general">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은 수소·연료전지연구단 유성종 박사 연구팀이 POSTECH 천동원 교수, KAIST 양용수 교수, 동국대학교 진하늘 교수와 공동으로 고성능· 내구성 촉매를 상온에서 손쉽게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d0a18eeb3ba53b7f36421a9c421f9f687a7952861eef140c8df6d06ed478cf9" dmcf-pid="PcnRITkPR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상온 및 상압에서 초음파로 합성한 Ni3Pt 나노합금 형성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일러스트레이션=K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3/ZDNetKorea/20250713120245010kjki.jpg" data-org-width="640" dmcf-mid="9jmJlYwML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3/ZDNetKorea/20250713120245010kjk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상온 및 상압에서 초음파로 합성한 Ni3Pt 나노합금 형성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일러스트레이션=KIS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45e6ec3e819aac9482fd74f5b6417248c279018f4114ef0608ab1b7e39ec2a5" dmcf-pid="QkLeCyEQJK" dmcf-ptype="general">이응준 박사후연구원은 "수소연료전지는 전지 전체 비용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백금계 촉매 내구성과 경제성 확보가 상용화 필수 요소"라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이 이를 충족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ed13d2e93ded50a3349318f42965e48e8b8138a2b6782f07696b6a8c0de85d07" dmcf-pid="xkLeCyEQMb"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 촉매는 백금과 니켈을 정밀하게 배열한 나노입자"라며 "반응 면적을 넓히고 촉매 손실을 줄이기 위해 내부가 비어 있는 돔 형태 구조로 설계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0da6d67fef5da19914be7581f055d4d2d0f2458126f3927e9b6217f23a223d4" dmcf-pid="y71GfxzTJB" dmcf-ptype="general">기존 촉매는 600℃ 이상 고온에서 정밀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는 상온에서 초음파를 활용한 1단계 공정만으로도 촉매의 정밀한 구조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p> <p contents-hash="84bfaa9fc98dd4ed3c48a240fe74d645153c1bab52b3d7103a9aae96cfd16b07" dmcf-pid="WztH4Mqynq"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안경 세척기와 유사한 방식의 초음파 장치를 활용해 금속 원자가 자연스럽게 정렬되도록 유도했다.</p> <p contents-hash="e34dfaf302a7b1aebf4853a115de3d62b4fdf684075a9e47793d2d39202fbc3c" dmcf-pid="YqFX8RBWJz" dmcf-ptype="general">이응준 박사후연구원은 "이를 통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비용을 줄이면서도 촉매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었다"고 부연설명했다.</p> <p contents-hash="4377a5c87b834485874b9d3c272566c1d8746a29af2e08e2cff457510e3d4d95" dmcf-pid="GB3Z6ebYL7" dmcf-ptype="general">실험실에서 성능을 검증한 결과, 이 촉매는 기존 상용 촉매보다 질량 활성도는 약 7배, 연료전지 구동 시험에서는 반응효율이 약 5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5bf03a69fc8ad50ca9b77ce9286de8bc975c53b924d9369f4742ce058e9aa433" dmcf-pid="Hb05PdKGiu" dmcf-ptype="general">내구성 평가에서는 미국 에너지부(DOE) 기준으로 약 4만2천 시간 이상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e85037a593e35cdccee4a0f3de6ce84ee4fb4f38761209d74c2fe5703851801" dmcf-pid="XKp1QJ9He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IST 유성종 책임연구원(왼쪽)과 이응준 박사후연구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3/ZDNetKorea/20250713120246292dvls.jpg" data-org-width="638" dmcf-mid="25SOUbZwR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3/ZDNetKorea/20250713120246292dvl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IST 유성종 책임연구원(왼쪽)과 이응준 박사후연구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ab90bf73dbe1ca7215acb745acbe41148c2c8bcecf29078e60c0ae276990b79" dmcf-pid="Z9Utxi2XJp" dmcf-ptype="general"><span>산업계에서는 중·대형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상용화를 위해서는 제조비용이 최소 kW당 60달러 이하, 수명은 3만 시간 이상은 충족해야할 것으로 보고 있다.</span></p> <p contents-hash="8d915735e733ecffd259bddd42deba68a57d62c9a37378055c6d998e83899466" dmcf-pid="52uFMnVZn0" dmcf-ptype="general">유성종 박사는 "현재 상용 촉매 대비 수명이 약 4.2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트럭, 버스, 선박, 발전소 등 대형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교체 주기를 줄이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p> <p contents-hash="4f08bc4eb3a37b798f53a2391a4a71408f1c70611e4e3d07fa8a00f34635b937" dmcf-pid="1V73RLf5R3" dmcf-ptype="general">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촉매는 전체 제조비의 약 30% 이상을 차지한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수소연료전지 가격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p> <p contents-hash="826a50240dfe64f67b943ce730fb664afe8c27aab6df0d913a40c4a951d01342" dmcf-pid="tfz0eo41MF"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현재 다양한 전이금속(철, 니켈, 코발트 등) 조합으로 기술을 확장 중이다. 자동차용 연료전지 스택 단위 평가와 실증 연구도 진행 중이다.</p> <p contents-hash="e8fcc65149d884a36630f361d2feed02f0afb59a964cb73c9dead81cb2d6725c" dmcf-pid="F4qpdg8tnt" dmcf-ptype="general">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IST 주요사업,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지원을 받았다.</p> <p contents-hash="ca7629a07a1d100b7756fb85a8a037a26d84c2e442ba0e66483c0517a2cca150" dmcf-pid="38BUJa6Fn1" dmcf-ptype="general">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2bda078b2521f37f340d43875228fad196e5e59d23aee5f5c1cf846305d6f09" dmcf-pid="06buiNP3R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IST 수소연료전지 촉매 연구결과가 실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표지논문(백커버) 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3/ZDNetKorea/20250713120247612vrhu.jpg" data-org-width="500" dmcf-mid="V5JxsSA8d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3/ZDNetKorea/20250713120247612vrh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IST 수소연료전지 촉매 연구결과가 실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표지논문(백커버) 이미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8a7f4cba00ac3004a1ae964818ba6f154c330cfc7bdf52893565ef6f7aebb24" dmcf-pid="psAoyZOJLZ"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건보공단, 가명정보 결합 42건 ‘최다’…의료 데이터 활용 확대 신호탄 07-13 다음 KIST, 수소연료전지 상용화 앞장...복잡한 고온 공정 없이 촉매 성능·내구성 4배 높여 07-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