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석훈 도의원 “경기도, AI 유니콘 키우는 혁신 사령탑 되겠다” 작성일 07-09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첨단산업 육성·혁신 생태계 구축에 정책 역량 집중<br>현장 소통·실질 성과로 도민이 체감하는 미래산업 추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7JSba6Ft0"> <p contents-hash="f90a2519c0ae58f21011c92bbf6647085f3fda609c2812bd7ae5763e9297358e" dmcf-pid="fzivKNP3H3" dmcf-ptype="general">━<br>“경기도는 초연결·초융합·초지능 혁신 생태계를 바탕으로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할 것입니다.”<br>제11대 경기도의회 후반기에 신설된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전석훈 부위원장의 말이다.<br>경기도는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조직과 정책 전반에서 대대적인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AI국과 국제협력국을 신설하며, AI,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고 정책 공조와 지원을 강화해 왔다. 이런 변화의 중심에 미래과학협력위원회는 첨단기술 분야의 법·제도 정비, 예산 확보, 현장 소통과 실질적 연구를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 창출에 집중하고 있다.<br>전 부위원장은 “미래과학협력위원회의 핵심 역할은 경기도가 AI, 바이오, 반도체 등 미래 핵심 산업에서 선두주자가 되도록 정책을 만들고 지원하는 것”이라며 “현장 소통과 연구를 토대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성과 창출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br>그러면서 “경기도가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미래 과학 혁신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 실행과 혁신 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일문일답.<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b919fd21a011328cc45f6a4dc27af41607e66179cd93b95283b7befeb5a54de" dmcf-pid="4qnT9jQ0H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9/etimesi/20250709050244750lclx.jpg" data-org-width="700" dmcf-mid="beL3eCaVG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9/etimesi/20250709050244750lcl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aa61c32617a1717de1860b584a69a4cb2b847dc1f7975c951255cfe213f3c24" dmcf-pid="8BLy2AxpGt" dmcf-ptype="general"><strong>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으로서 위원회의 주요 역할과 앞으로의 비전이 있다면.<br></strong><br>미래과학협력위원회는 경기도의 미래를 책임질 과학기술과 산업 정책을 만들고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AI,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경기도가 선두 주자가 될 수 있도록 법규 정비와 예산 확보에 힘쓰고 있다. 앞으로 비전은 경기도를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미래과학 혁신 거점으로 만드는 것이다.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를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소통하겠다.</p> <p contents-hash="03ef04dd9b103cd33f2b1116435bce5a54d481ea5221dab9a6e06d61ecf510fd" dmcf-pid="6boWVcMU51" dmcf-ptype="general"><strong>‘경기도 인공지능(AI) 기본 조례’는 전국 최초로 제정돼 큰 화제가 됐다. 이 조례를 발의하게 된 계기와 주요 내용을 설명해주신다면.<br></strong><br>AI 기술의 빠른 발전에 비해 관련 법규나 제도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이 있었다.</p> <p contents-hash="0ba907d141e95a8560bfa2af96fd3e0d4b0a9e94f118fa4cc4a396ca9ad8bc35" dmcf-pid="PvqgYVFOG5" dmcf-ptype="general">경기도가 선제적으로 AI 산업을 육성하고, 윤리적·사회적 문제에 대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전국 최초로 조례를 발의했다. 주요 내용은 AI 산업 육성과 지원, 도민 권리 보호와 윤리적 활용 원칙, AI 인력 양성과 연구개발 지원 등이다.</p> <p contents-hash="b0bb67f6687d8d86639dbad120c18ebb25639eb2abefa49e8bc92dbfbc830bbf" dmcf-pid="QTBaGf3IZZ" dmcf-ptype="general"><strong>AI 제조혁신 지원, 인공지능원 설립, 스타트업 육성 등 AI 관련 5개 조례가 경기도 산업과 도민에게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br></strong><br>AI 제조혁신 지원 조례는 도내 중소기업이 AI 기술을 도입해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공지능원 설립 조례는 AI 전문 기관을 통해 핵심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의 산실 역할을 한다.</p> <p contents-hash="e29cd4dba4a9a689e712cc06f2a98a883e4238aed5c30783af9fb8c6b4a61c31" dmcf-pid="xybNH40CXX" dmcf-ptype="general">AI 스타트업 육성 조례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자금, 기술, 인프라 등 전방위적 지원을 제공한다.</p> <p contents-hash="8ce848ce49fe60fa940100c7cabc195b7b7c66e0184f14b922ae3f400e98ac71" dmcf-pid="yxr0dhNfYH" dmcf-ptype="general">이외 조례들도 경기도 AI 산업 발전의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 경기도 경제 활성화와 도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2cba6e01f2e2514041bd4813ddc99d692efea001b65740d1d3451a18802e961" dmcf-pid="WMmpJlj4G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왼쪽 아홉 번째)이 김동연 경기지사(왼쪽 여덟 번째)와 지난 2월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경기 스타트업 협의회' 발대식을 갖고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9/etimesi/20250709050246070ijrd.jpg" data-org-width="700" dmcf-mid="KP1xOUyjt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9/etimesi/20250709050246070ijr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왼쪽 아홉 번째)이 김동연 경기지사(왼쪽 여덟 번째)와 지난 2월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경기 스타트업 협의회' 발대식을 갖고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18f5cf732786941750057672d9ecdddc97a1a80f9e39175432ca31e79d06a72" dmcf-pid="YRsUiSA81Y" dmcf-ptype="general"><strong>경기도가 대한민국 AI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나 인재 육성 정책에 대해 이야기 해주신다면.<br></strong><br>고성능 컴퓨팅 자원, 대규모 데이터셋, 클라우드 시스템 등 첨단 인프라가 필수적이다.</p> <p contents-hash="e90a7e4d93ae4f2059358cdad7d0210877b7908f79d7632a88bc7b483cd3c106" dmcf-pid="GeOunvc6XW" dmcf-ptype="general">경기도 내 이런 인프라를 충분히 갖추고,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p> <p contents-hash="339a5ab3fbd58a6bb10876f28903b072f0ab081ce205bc2627b640494b6019ea" dmcf-pid="HdI7LTkPty" dmcf-ptype="general">또 대학·연구기관·기업이 연계한 실무 중심의 AI 교육, 글로벌 연구기관과의 교류, 재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 초격차 인재 육성 정책도 중요하다.</p> <p contents-hash="2171fba6725c9e5a3eee86f53b298037e3ffc371fecdfaeb673924fb1e41d46b" dmcf-pid="XovKjHme5T" dmcf-ptype="general"><strong>미래산업과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앞으로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싶은 정책이나 프로젝트가 있다면.<br></strong><br>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싶은 정책은 '경기도형 AI 클러스터' 조성이다. AI 연구기관, 기업, 대학, 스타트업이 집적해 시너지를 내는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정보와 아이디어가 자유롭게 교환되는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p> <p contents-hash="14271c0032e787a3ed0b827f8e76f6005acda12b16207bc6c79f58121228614b" dmcf-pid="ZgT9AXsd1v" dmcf-ptype="general">특정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경기도 내 여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분산형 클러스터 모델도 고민하고 있다.</p> <p contents-hash="64a591396423bca055910532f46ee9c6d9d5f681f45f1d8b09291eff95370575" dmcf-pid="5ay2cZOJtS" dmcf-ptype="general"><strong>성남시를 포함한 각 지역이 균형 있게 미래산업을 분산·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지원은.<br></strong><br>각 지역의 기존 산업 인프라와 지리적 강점을 분석해 특화 산업을 발굴하고 집중 지원해야 한다. 지역 간 연계 및 협력을 강화해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인프라와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경기도 전역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를 통해 경기도 전역이 고르게 발전하는 미래를 만들겠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40fee1999237538f2acb950b1c04dbdd034ab4a24407ac85f9f486d2bad81b3" dmcf-pid="1NWVk5IiY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왼쪽 세 번째)이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위원들과 지난해 9월 성남시 경기도자율주행센터를 현장 방문한 뒤 자율주행버스인 '판타G버스'를 시승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9/etimesi/20250709050247367wtjm.jpg" data-org-width="700" dmcf-mid="9Dc5Qmnb1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9/etimesi/20250709050247367wtj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왼쪽 세 번째)이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위원들과 지난해 9월 성남시 경기도자율주행센터를 현장 방문한 뒤 자율주행버스인 '판타G버스'를 시승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718f5dfb0165eb09b5c9447803533b2a5b158599324ca51723809f40acd83aa" dmcf-pid="tjYfE1Cn1h" dmcf-ptype="general"><strong>성남 지역의 스타트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이나 제도적 개선점이 있다면.<br></strong><br>실질적인 글로벌 진출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 해외 시장 정보와 네트워크 제공, 글로벌 스케일업 자금 지원, 현지 전문가 멘토링 및 컨설팅 등 실질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p> <p contents-hash="b1e4e57df9699bbfd60d09d3a13436e49066abae3ddbcdf55e1c71fab5781f6f" dmcf-pid="FAG4DthLZC" dmcf-ptype="general">또 규제 샌드박스 등 제도적 환경을 개선해 신기술과 서비스가 시장에 빠르게 진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p> <p contents-hash="cbe62d18a3196876c1feac464a437cb8ed16adc7a81a6fc53014c21318681987" dmcf-pid="3cH8wFloGI" dmcf-ptype="general"><strong>성남시가 첨단산업 중심 도시로 지속 성장하기 위해 도의회, 지방정부, 기업 등 협력 방안은.<br></strong><br>정기적인 협의체 운영, 정보 공유 플랫폼 구축,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 추진, 인재 양성 프로그램 공동 기획 및 운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하겠다.</p> <p contents-hash="c99abd5050b9fc1742652a17e78fa43e4175075aa162d51630f3aea7dfb95199" dmcf-pid="0jYfE1CnXO" dmcf-ptype="general">이런 다각적 협력을 통해 성남시가 첨단산업을 선도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로 발전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p> <p contents-hash="0f8291b5375d1e292d82570f739f8d4f3f0c6c5c51121037b637f34a09804da3" dmcf-pid="pAG4DthLXs" dmcf-ptype="general"><strong>경기도가 미래 혁신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조건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리더로서의 각오는 무엇인가.<br></strong><br>경기도가 미래 혁신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초연결·초융합·초지능 기반의 혁신 생태계가 필요하다.</p> <p contents-hash="6663faabfbf048804c386d2030591e0232be82904d6b63870ab0ee8c075795aa" dmcf-pid="UcH8wFlotm" dmcf-ptype="general">글로벌 수준의 인프라,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인재, 유연하고 선제적인 제도와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p> <p contents-hash="a1ba40b651dcb3f7304c0c0b84f90aa45303670e415825c6e4735cd5e8845917" dmcf-pid="ukX6r3Sg1r" dmcf-ptype="general">현장에서 도민과 기업의 목소리를 듣고, 필요한 정책을 발굴하며, 관계 기관과 협력을 이끌어내는 실행하는 리더가 되겠다.</p> <p contents-hash="ea824424f7117ed346e56d0b5149f490c143453b09d40bb10efe7043a7227e12" dmcf-pid="7EZPm0vaGw" dmcf-ptype="general">경기도가 미래 혁신도시로 도약하는 그날까지 소임을 다하겠다. 앞으로 AI도의원이 될 수 있도록 AI 시대를 선도하는 정책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d63980b2d10647515e9b76c162a8e524c7c19e75e6359464abe85806d2bafab" dmcf-pid="zD5QspTNH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9/etimesi/20250709050248685ylkk.jpg" data-org-width="700" dmcf-mid="2O5QspTNY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9/etimesi/20250709050248685ylk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bd9135bb182c8428f8d82511c930c3111ea7bcdb4abad72771e2e8b87a6edec" dmcf-pid="qw1xOUyjYE" dmcf-ptype="general">성남=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DC유니버스 첫 영화 ‘슈퍼맨’…시각적 효과 풍부한 히어로물 07-09 다음 사진 없이 이상형 찾아준다…질문 100개 하는 'AI소개팅앱' 07-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