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8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가일수의 중요성 작성일 07-09 13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흑 백찬희 6단 백 김지석 9단<br>통합예선 결승 <5></strong><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09/0000874865_001_20250709043013879.png" alt="" /><em class="img_desc">5보</em></span><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09/0000874865_002_20250709043013980.png" alt="" /><em class="img_desc">9도</em></span><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09/0000874865_003_20250709043014071.png" alt="" /><em class="img_desc">10도</em></span><br><br>자신의 기력을 늘리고 싶을 때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지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는다. 포석, 수읽기, 사활 등 각 분야마다 좋은 공부방법은 여럿 존재하나 강사들 역시 무심결에 지나치는 중요 포인트가 있다. 바로 한 번 더 받아야 할지, 손을 빼도 되는지를 판단하는 가일수 여부다. 바둑 인구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아마추어 5단 이하에서 매 판 보이는 실수이기도 하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말 그대로 한 수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바둑에서 한 수 차이는 일반적으로 10집 이상의 큰 차이가 난다. 반대로 받아야 할 곳을 받지 않은 경우엔 이보다 더 큰 차이로 피해가 발생한다. 수상전에서 돌의 활로를 꼼꼼히 세고, 집과 세력 형태에서 공배가 메워질 때 생기는 차이를 인지하는 것이 이 커다란 실수를 예방하는 지름길이다.<br><br>우세를 잡은 김지석 9단이 백3에 틀어막으며 도로 흑 대마를 공격하는 장면. 흑4에 백5 역시 좋은 수. 좌하귀 사활을 살리며 흑이 하변에서 집 낼 여지를 차단하고 있다. 흑이 9도 흑1에 붙여 잡으러 올 경우, 백2, 4의 선수교환 후 백6이 사활의 급소. 백10까지 빅으로 백 대마 전체가 살아있는 모습이다. 결국 흑은 실전 흑6으로 우변 연결을 꾀할 수밖에 없어 괴로운 상황. 백15가 자충수였다. 이 수는 백27 자리에 붙여 더 괴롭혀야 했던 장면이다. 흑20까지 흑이 우변을 안정적으로 건너간 상황. 백21에 백찬희 6단은 난데없이 흑22로 손을 뺀다. 백27을 간과한 큰 착각.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장담할 순 없으나, 아마도 시간연장책이었을 것이다. 흑22로 10도 흑1, 3에 받아뒀다면 흑9까지 팽팽한 반집 승부였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09/0000874865_004_20250709043014164.jpg" alt="" /></span><br><br>정두호 프로 4단(명지대 바둑학과 객원교수)<br><br> 관련자료 이전 세븐틴·라이즈·투모로우바이투게더·보이넥스트도어, 7월 첫 번째 테마 키트앨범 ‘키테이크’ 주인공 선정! 07-09 다음 ‘심플리 케이팝’ 크래비티 앨런, 스페셜 MC 활약···타고난 예능감→진행력 발휘 07-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