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 '팔레스타인 감독 피습 침묵' 비판에 사과 작성일 03-30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이름 없는' 비판 성명에 할리우드 스타들 반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c8b9Nme3h"> <p contents-hash="6b2f437edaacd6e5c692e52219f9112d48905ab62387ebe8e5b5c251696bda20" dmcf-pid="3k6K2jsdpC" dmcf-ptype="general">[윤현 기자]</p>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bfa7d2d2c9ffff2cb80a0c9bcd9f05ea90be3bb4c6d44006dc165d0ec7f68931" dmcf-pid="09GlvB6FUI"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30/ohmynews/20250330085102238vnrl.jpg" data-org-width="851" dmcf-mid="tpKU7ic67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30/ohmynews/20250330085102238vnrl.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팔레스스타인 영화 감독 함단 발랄 집단 구타 사건에 대한 미국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 비판 성명을 보도하는 미국 CNN 방송</td> </tr> <tr> <td align="left">ⓒ CNN</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cf4438779163833f80792b94647668512f33f0fd48a4670f68b3a7e34b9e3d72" dmcf-pid="p2HSTbP3UO" dmcf-ptype="general"> 아카데미 시상식을 주관하는 미국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가 올해 수상자인 팔레스타인 영화 감독 함단 발랄의 구금 사건에 '이름 없는' 사과문을 냈다가 비판이 나오자 사과했다(관련 기사 : <strong>오스카 수상 팔레스타인 감독 '집단 구타'... 이스라엘군에 체포</strong>). </div> <p contents-hash="bfaff27fdf3e1a760091a0e7bf6e3a69f374bd712bed8b81d3ecd9b13f5bcf16" dmcf-pid="UVXvyKQ0us" dmcf-ptype="general">AMPAS는 28일(현지시각) 회원들에게 서한을 보내 "우리는 발랄을 포함해 앞선 성명에서 충분한 지지를 표명하지 못했다고 느끼는 모든 예술인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904595ed08baa1ea4b259e798bf6721a5512f7990aab0562e6ac27b8e99c3911" dmcf-pid="ufZTW9xp3m"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아카데미는 전 세계에서 어떤 종류의 폭력도 반대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리고자 한다"라며 "어떤 상황에서든 표현의 자유에 대한 억압을 증오한다"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60502b03b1a4bcc37975d197cd26b723e5a17ce8125051cd3172285600ecd891" dmcf-pid="745yY2MU7r" dmcf-ptype="general"><strong>팔레스타인 주민 현실 알렸다가 보복 당해</strong></p> <p contents-hash="b39bdc3aceb05034e74b83cb52ef63c0f40102356f122bc93341b11923ca054b" dmcf-pid="z81WGVRuzw" dmcf-ptype="general">발랄은 요르단강 서안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현실을 다룬 다큐멘터리 <노 아더 랜드>(No Other Land)'로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상을 받았다.</p> <p contents-hash="11259049ed0c3e9f8a08671d649858dc72a95a82536fc357c44b93d38170fcff" dmcf-pid="q6tYHfe7zD" dmcf-ptype="general">팔레스타인 농부 출신인 그는 이스라엘에 집과 땅을 빼앗기고 고향을 떠나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사연을 다큐멘터리에 담았다.</p> <p contents-hash="e5e6d7bc10786d4d548f8962b7d8480198b4e8002dfb889449e1fe0ab3b87141" dmcf-pid="BPFGX4dz7E" dmcf-ptype="general">요르단강 서안은 국제법상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행정권을 가진 지역이지만 이스라엘은 국제사회의 비판을 무시하면서 군대를 주둔시키고 정착민을 보내고 있다.</p> <p contents-hash="ad0fd9ea4c17c3c679ac46e287193fec14b8b336964601b3535cedc556400225" dmcf-pid="b1rjcXUlpk" dmcf-ptype="general">이 다큐멘터리로 이스라엘 정착민들의 보복 공격에 시달린 발랄은 지난 24일 서안지구 자택에서 집단 구타를 당해 크게 다쳤고, 이스라엘군에 체포되어 하루 동안 구금됐다가 풀려났다.</p> <p contents-hash="ed1616edfa10f706d2a9d3ccd6d1e2468afb6b5ab5d66a14fc0daf1e32e3009c" dmcf-pid="KtmAkZuS7c" dmcf-ptype="general">발랄과 <노 아더 랜드>를 함께 만든 공동 감독 바젤 아드라는 "아카데미상을 받고 돌아온 후 매일 공격을 받고 있다"라며 "우리가 영화를 만든 것에 대한 복수처럼 느껴진다"라고 말하기도 했다.</p> <p contents-hash="82aaacd465e2c1461a49054dcbfe8ffaa0fda65658230c62aba170a7d81bf04b" dmcf-pid="9FscE57v0A" dmcf-ptype="general"><strong>아카데미, 모호한 성명 냈다가 '역풍'</strong></p> <p contents-hash="b7972aa346460048914a3916d040a5787bca8f53f19897d719e9d9986fceb61c" dmcf-pid="23OkD1zTpj" dmcf-ptype="general">이 사건과 관련해 전 세계 여러 영화 단체가 우려를 표시했으나, AMPAS는 26일 회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발랄의 이름을 거론하지 않은 채 "작품이나 관점을 이유로 예술인을 다치게 하거나 억압하는 데 반대한다"라고만 밝혔다.</p> <p contents-hash="15d4512524d2f8bf44d1b298ddcba29525a0b546e229781c55b37a1aa4acc940" dmcf-pid="V0IEwtqypN" dmcf-ptype="general">아드라는 "AMPAS의 이런 대응은 발랄에 대한 폭행에 침묵하는 것과 다름없다"라고 반발했다.</p> <p contents-hash="6e9731e340b444d5d2d74ec6baf8e61a7553b84e43e348d49d5ed6e81e4b7dc4" dmcf-pid="fpCDrFBW0a" dmcf-ptype="general">이에 600명 넘는 회원들이 별도 성명을 내고 "우리는 이스라엘 정착민들과 이스라엘 당국이 아카데미상을 받은 팔레스타인 영화인 함단 발랄에게 한 잔혹한 폭력과 불법 구금을 비난한다"라고 나섰다.</p> <p contents-hash="5ff31d35af4e84ef0d22390d1133ca628efdf40bfa96433063ad9dd7596b42c4" dmcf-pid="4Uhwm3bY7g" dmcf-ptype="general">또한 "이달 초 영화의 가치를 인정해 상을 수여한 단체가 불과 몇 주 뒤 그 감독을 지키는 데 실패한 것은 용납할 수 없다"라고 AMPAS를 비판했다.</p> <p contents-hash="96d6d7668d3abd9ee576b8f62eb782de7746953491c3dbecd8d3689331ea2502" dmcf-pid="8ulrs0KG7o" dmcf-ptype="general">이 성명에는 호아킨 피닉스, 조지 클루니, 리처드 기어, 마크 러팔로, 수전 서랜던, 엠마 톰프슨, 페넬로페 크루즈, 올리비아 콜먼 등 할리우드 유명 스타들도 대거 참여했다.</p> <p contents-hash="f0fea8b5b1f0687d7714062804295c23acf03d805185b3dacb29989d7ccea24e" dmcf-pid="67SmOp9H3L" dmcf-ptype="general">결국 AMPAS는 "직접적으로 발랄과 그 작품의 이름을 언급하지 못해 유감"이라고 뒤늦게 다시 사과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지드래곤은 하루종일 날씨 지켜봤다" 콘서트 75분 지연 '재차 사과'[전문] 03-30 다음 '언더스쿨' 서강준♥진기주, 설렘 폭발 키스→김신록 무기징역 '해피엔딩' [종합] 03-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